사업자 자동차 리스
Brrrrr
일반
1
45
03.15
저는 금융기관에서 기업평가를 하면서 재무제표를 들여다볼 일이 많습니다.
대표님들과 얘기할 기회도 적지 않은데, 종종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가 생기네요.
창업 초기기업들은 유동성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
부득이하게 자동차 금융을 통해 기업운영에 필요한 화물, 운송, 영업(직원용) 차량을 조달하게 되는데
이해가 되지 않는 점은 굳이 고가의 비영업용(승용) 차량을 왜 구입하는가 입니다.
대표님들 답변 대부분은 "비용처리가 되니 괜찮다"이기도 하고,
"개인이 국산 중형차 할부금 낼 금전이면, (법인)사업자가 독일3사 중형차 리스 가능하다"라고
구체적으로 얘기하는 분도 있더라구요.
근데, 제 짧은 지식으로 들여다보면 비용처리도 사업자가 이익이 나야 의미가 있는 부분이고,
창업한지 얼마 안되서 고정거래처도 없는 마당에, 당연히 1년 캐쉬플로우도 예측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고가차량부터 리스하는 것을 보는데 좀 이해가 되지 않더라구요.
심한 경우는 사업자 내자마자 수입차 리스하는 어린 대표들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사업에 대한 자신감도 좋지만 1명의 인건비를 비영업용 자산취득에 소진시키다니....
혹시, 제가 모르는 이유나 장점이 또 있는 것일까요.....
"All or nothing" 외에는 생각도 안납니다.
(직원급여도 못주면서 수입차 운용하는 인간도 더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