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코인 간단정리
과거와 현재 코인 시장은 좀 다른 것 같네요.
주식과 점점 비슷해지는 흐름입니다.
물론 언젠가는 거품이 꺼지겠지만 당장은 아닐 것 같네요.
요즘 코인시장은 주식처럼 테마가 있고 순환흐름도 있고 합니다.
최근 흐름만보면,
카카오톡에서 만든 클레이튼관련 코인의 상승
네이버에서 만든 라인코인 상승
업비트에서 참여한 마로코인의 상승
이런식으로 큰회사 코인이 강했고
백신여권관련해서 병원코인들
메디, 휴먼, 솔브케어 등 오르고
이런식으로 주식처럼 테마가 형성되고 명분이 강한 코인이 급등합니다.
제가 관심있게 보는 코인은 클레이튼 기반의 코인들입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메인 코인들이 있고 대부분의 코인들은 이더리움의 기술을 이용해서 만들어지고 있어요.
이런식으로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에서 메인이 될 수 있는 클레이튼이라는 코인을 만들어서 최근 급등중입니다.
그리고 이런 클레이튼 기술을 이용한 코인들도 최근에 다 올랐어요.
이제 조정을 주면 이쪽 코인들을 관심가져보세요.
왜냐하면 외국코인들보다 한국코인들이 더 유망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근거는 없지만 국내 투기자본이 거품을 만들어 준다고 보기에 한국에서만 거래되는 코인들을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아래는 김치코인(한국에서만 거래되는)정리 입니다.
* 클레이튼(KLAY) : 분산 어플리케이션 디앱을 만들기 위한 플랫폼 코인(이더라움과 비슷), 카카오자회사인 그라운드X에서 제작
* 메디블록(MED) : 의료기관의 정보를 개인에게 돌려주고 개인이 정보의 주인이 되어 의료정보를 유통
* 솔브케어(SOLVE) : 의료서비스의 지불정차 간소화
* 휴먼스케이프(HUM) : 환자들로 부터 모든 질병데이타 수집하여 치료제개발과 임상실험에 사용
* 엠블 (MVL) : 자동차관련 데이터 등을 블록체인에 기록, 타다에 사용하는 코인
* 페이코인(PCI) : 다날에서 사용하는 가상화폐
* 밀크(MILK) : 야놀자에 사용되는 코인
* 무비블록(MBL) : 독립영화, 단편영화 등 영화제작 등에 투자하는 플랫폼 코인
* 썸씽(SSX) : 썸씽 노래방앱에서 사용
* 캐리프로토콜(CRE) : 오프라인 상점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코인
* 디카르고(DKA) : 우버나 쿠팡처럼 일반인이 배송기사가 될 수 있는 배송시스템에 사용
* 플레이댑(PLA) : 게임아이템으 NFT 형태로 구현하여 유저간 거래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 픽셀(PXL) : 무료웹툰서비스 배틀코믹스에서 이용되는 코인
* 알파쿼크(AQT) : 영화, 드라마, 웹툰 등 저작권 수입관련 코인
* 아이콘(ICX) :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코인
* 리퍼디움(RFR) : 유투버등의 인플루언서들의 광고수익을 광고주와 사용자들에게 분산시키는 시스템
* 메타디움(META) : 개인정보 인증, 신원인증에 관련된 시스템
* 모스코인(MOC) : 증강현실 게임인 모스랜드에서 사용되는 코인
* 아르고(AERGO) :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원하는 기업에게 솔루션 제공
* 아인스타이늄(EMC2) : 교육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을 목적으로 만든 코인
* 아하토큼(AHT) : 질문하면 각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답변을 받을 수 있는 Q&A 사이트
* 옵저버(OBSR) : 기상관측에 이용되는 코인
* 퀴즈톡(QTCON) : 퀴즈플랫폼관련 코인
* 코박토큰(CBK) : 국내 최대 가상화폐앱 코박에서 사용되는 코인
* 톤(TON) : 디앱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생태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
* 트웰브쉽스(TSHP) : 친환경 침전식 냉각방식의 채굴기관련 코인
* 보라(BORA) : 디지털컨텐츠 플랫폼
* 피르마체인(FCT2) : 전자계약 플랫폼
코인처음이라면 코인하는 법 영상 제가 만든 것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s://youtu.be/g0x2gW2S6Z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