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위기(GOS 이슈의 본질)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삼성전자의 위기(GOS 이슈의 본질)

모시송편 31 17
삼성전자 주주로서, 삼성전자, 애플, TSMC, 구글, 퀄컴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최근 GOS 이슈, 애플 실리콘의 약진으로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의 위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래의 기사는 참 좋았습니다.

https://news.v.daum.net/v/EERInKNCub

 

KBS에서 이런 '명품' 기사를 낼 수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본질을 꿰뚫고 있더군요. 제가 생각하는 근본적인 본질은 바로 '발열'입니다.


우선, 이과적이고 공학적인 따분한 긴 글이 될 수 있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발열은 전력손실과 관련있습니다. 전력(P)은 전압(V)과 전류(I)의 곱입니다(P=VI). 같은 전력일 때,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낮아집니다. 그래서 전력손실 해결책은 전류를 낮추는 겁니다. 그래서 220V가 110V보다 좋은 거고, 전기차 업체들이 배터리 충전시 고전압으로 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모바일 칩의 전압은 높이기가 어렵습니다.


발열은 반도체 설계에서도 이슈입니다. ASIC이 아닌 ISA를 가진 DSP 설계에서 클럭수(즉, MIPS)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같은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는데 더 적은 클럭수로 최적화하느냐는 아주아주 중요합니다. 클럭수 증가는 원하는 기능과 성능의 제약을 불러오고 발열도 증가하는데, 이건 칩의 불안 요소입니다. 즉, 클럭수 증가 -> 발열 -> 원하는 기능과 성능이 안나올 확률 증가. 반도체 설계에서 발열의 의미는 단순한 열손실 그 이상입니다.


발열은 반도체 공정에서도 이슈입니다. 더 낮은 공정으로 가는 이유 중에 하나가 발열입니다. 현재 저는 7nm로 생산된 AMD CPU를 사용하는 노트북을 사용합니다. 전에 사용하는 노트북의 CPU가 어떤 공정인지는 모르지만 확실히 발열이나 배터리 소모가 적어졌습니다. TSMC나 삼성 파운드리나 이제 4nm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논란이 된 S22의 AP는 퀄컴 스냅드래곤 8 Gen1은 삼성 파운드리 4nm에서 생산되었다고 합니다.


발열은 반도체 설계와 공정에서 '기술'과 '노하우'로 돌파하는 게 정공법입니다. 그런데 왜 삼성전자는 정공법을 택하지 않고 S22에서 GOS를 강제했을까요? 아시다시피, 아이폰 12와 13에 사용된 AP인 A14와 A15가 모두 스냅드래곤과 엑시노스를 뛰어넘는 전성비를 보여줬습니다. 동일한 전력소모에서 애플이 설계한 AP가 말도 안되게 우월했습니다. 삼성과 퀄컴은 적잖게 충격을 먹었을 겁니다. 도대체 애플 실리콘(Apple Silicon)은 어떤 외계인을 고문하여 오랜 기간동안 AP를 만들던 퀄컴과 삼성을 뛰어넘었을까요?

 

애플, 퀄컴, 삼성의 AP는 모두 ARM core 기반입니다. 즉, 재료는 같다는 겁니다. 저전력을 위해 big과 little 코어를 적절하게 섞어 사용합니다. A15의 코어(6)는 2 performance + 4 efficiency이고, 스냅드래곤 8 Gene1과 엑시노스2200의 코어(8)는 1 Ultimate + 3 big + 4 little이랍니다. 그런데 코어 배분도 중요하지만, 발열이 제어되어야지 원래 설계된 제대로 된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애플은 더 적은 전력소모로 제대로 된 성능을 내는 반면, 스냅드래곤과 엑시노스는 그렇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게 설계의 문제인지 공정의 문제인지, 아님 둘 다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애플은 M1 Max, M1 Ultra를 발표하면서, 인텔과 AMD까지 위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위의 기사에서도 언급된 내용인데요. 삼성과 퀄컴은 하드웨어에서 애플보다 우위라고 여겼지만 보기좋게 깨진거죠. 그리고 삼성전자는 올해 2022년 상반기에 3nm 버전 1을 보여주겠다고 했습니다(TSMC는 2022년 하반기). 저는 이 상황을 유심히 살펴볼 겁니다.


GOS 이슈는 단순한 S22만의 이슈가 아닙니다. 삼성전자의 위기이고 어쩌면 퀄컴의 위기일 수 있습니다(아님 둘 다). 삼성전자는 지금부터라도 정공법을 택하길 바랍니다.

31 Comments
뽐뿌개인정보… 2022.03.20 10:00  
주가는 위기는 아닌 것 같네요. 
모시송편 2022.03.20 10:00  
삼성전자에서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주가가 움직일 겁니다.
리스크헌터 2022.03.20 10:00  
메모리 회사가 취미로 로직쪽 하는중이고.. GAA 나오면 한순간 뒤집어짐
그손님 2022.03.20 10:00  
뒤집는단 얘기는 몇공정전부터 있었죠
소철 2022.03.20 10:00  
위기는 무슨 제일 안전한 주식이구먼 20-20%빠질때 5_6%정도 빠진것 같은데요 배부른 소리같아요 20-30%빠진 주식 가잔분들은 빡칠듯
dnjsep… 2022.03.20 10:00  
삼전 매출이 70조면 반도체 25, 무선 25조. 생활가전 기타 등등이 20조 반도체는 D램은 잘나가지만... 파운더리는 현재 폭망이란 소리고,  무선도 지금처럼하면 어떻게 될지 모를것 같은데...   10만전자 간다 어쩐다 하던 주식이 7만 깨지니 마니 하고 있는거 보면 제일 안전한지는 모르겠네요
소철 2022.03.20 10:00  
상황파악을 잘 못하시눈듯
닉네임은30… 2022.03.20 10:00  
@소철 평소에 분위기 파악 못한다는 소리 많이 들으실거 같은데 
holi 2022.03.20 10:00  
@소철  근거를 가지고 말하세요 상황파악을 못하시는듯 이런건 누구나 떠들수 있음
진골뽐뿌인 2022.03.20 10:00  
@소철 팩폭맞고 전사하셨답니다. 
닉네임은30… 2022.03.20 10:00  
삼성이 20~30프로 빠지면 코스피가 과연 어떻게 될까요??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왜 다른애들 20 빠질때 시총1위 삼송이가 5프로 빠졌는지는 아셔야할거 같은 문제입니다 
컴어려워 2022.03.20 10:00  
어차피 앞으로 배터리나 바이오때문에 향후 삼전이 지금처럼 코스피 지수를 좌지우지하는 압도적인 비중이 점차 완화될거라 생각합니다.
닉네임은30… 2022.03.20 10:00  
@컴어려워 확정적인건가여;; 
PpPpPp… 2022.03.20 10:00  
삼전 고점 대비 26.96% 빠졌는데.... 5~6%는 먼말이죠 ;;;; 먼저 후두둑 빠진게 삼전입니다만?
흑백사진가 2022.03.20 10:00  
누가 글을 쓰면 글에 대해서
그냥심심해서… 2022.03.20 10:00  
이분은 주식차트도 안보고 사시는분 같은데 뭘 믿고 이런 말도  안돼는 헛소리를 당당하게 적으셧는지 궁금하네요
구운호떡 2022.03.20 10:00  
삼성전자는 디램 파운드리반도체가 중요해요..
모시송편 2022.03.20 10:00  
맞아요. 이번 GOS 이슈는 파운드리와 연결되어 있어요.
-코코몽- 2022.03.20 10:00  
분석 잘 함. 팹도 문제지만 후공정 패키징도 문제 임.  
모시송편 2022.03.20 10:00  
맞아요. 그쪽도 중요합니다.
프라이 2022.03.20 10:00  
삼전 모바일은 어차피 저가폰이 주 매출 아니었나요?
풀차징 2022.03.20 10:00  
그건 그래픽카드나 카메라 시장도 마찬가지에요 플래그쉽으로 이미지 쌓고 저가라인으로 운영되는 구조...  근데 이미지가 깨졌죠
SP23 2022.03.20 10:00  
메모리 만으로도 돈은 앞으로도 계속 잘 벌 회사임. 하지만 결국 파운드리에서 이렇게 뒤쳐지면 한 단계 레벨업은 불가.
예쁜게죄라면… 2022.03.20 10:00  
ㅋㅋㅋㅋㅋㅋ???
내여친장원영 2022.03.20 10:00  
7만전자에 머무른다는 뜻인가여
늑대개놈 2022.03.20 10:00  
5만 전자에 머무른다는 뜻인듯
ㅂㅈㄷ11 2022.03.20 10:00  
별이야기 다 붙어도 삼전은 메모리반도체 회사인게 맞고 이걸 탈피하고자 파운드리에 힘을 주는 건데 맘처럼 안되는 거 같음
Killin… 2022.03.20 10:00  
공정이 문제냐 설계가 문제냐는 결론 난 건 없지만    일단 퀄컴이 삼성 파운드리에서 TSMC 파운드리로 도망갔으니 퀄컴의 다음 칩이 발열을 잡는 다면 삼성파운드리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상을   받는 상황이네요  
헤헤ㅋ 2022.03.20 10:00  
ㅋㅋㅋ 삼성문제인데 퀄컴한테 떠넘기려하네 ㅋㅋㅋ 
-코코몽- 2022.03.20 10:00  
라자 쿠드리라도 삼고초려라도 해서 모셔야와지 하는게 답답함
소울2341 2022.03.20 10:00  
애플은 비교대상이 아닐정도로 넘사벽이고 퀄컴과 비교도 힘든게 삼성은 그래픽쪽이 많이 약하죠 이번에 AMD과 협업한다고 했지만 남의거 가져오면 최적화는 또 힘들어요 퀄컴하고는 차이가 많이 나고 따라 잡기 힘들겁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