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플레이어 연준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메인 플레이어 연준

크리스준 4 174

 

 

개인적인 견해가 포함되어 있으며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양해부탁드립니다.

 

 

 

 

지난 3월 fomc에서 연준은 빠르면 5월부터

 

QT를 시작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긴축을 논하기 앞서 지난 긴축 사이클을 

 

하나씩 거꾸로 되짚어보겠습니다.

 

 


금리 인상의 막바지 2019년 9월 중순 레포 발작이 있었습니다.

 

아래는 19년 9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레포 금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16482188854911.jpeg

 

당시 기사를 살펴보면 jp모건에서 유동성 회수로 인해

 

초단기 시장에서 유동성이 경색되면서 레포 금리가

 

일시적으로 급등하는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당시의 매크로 상황은 어떤지 살펴봅니다.

 

아래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장단기 스프레드입니다.

 

 

16482188856465.jpeg

 

2019년 8월 말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습니다.

 

미중무역전쟁이 극에 달했던 시기입니다.

 


 

아래는 2016년 부터 2020년 까지 연준의 대차대조표입니다.

 

16482188857954.jpeg

 

 

2017년 말 QT를 시작해서 대략 4.5조 달러에서

 

2019년 9월까지 3.8조 달러까지 약 15%의 자산을

 

축소하였습니다.

 

(지난 QT 시기의 기울기를 잘 기억하셨다가

 

이번 QT의 기울기를 살펴가며 자산 시장 대응하시는 데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금리 인상 사이클을 보겠습니다.

 

아래는 지난 금리 사이클 연준의 기준 금리 그래프입니다. 

 

16482188859305.jpeg

 

 

결과적으로 보면,

 

지난 사이클에서 연준은 15년 부터 금리 인상을 시작했고

 

금리 인상 사이클 후반부(17년 말)

 

QT를 진행하면서 19년 7월 인상사이클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아래 10년물 차트를 보시면, QT가 시작된 1년 후인

 

2018년 말부터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면서

 

장단기 금리 역전을 전후로

 

사이클을 마무리지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6482188860645.jpeg



사실상 QT를 진행하면서 장기채 금리를 끌어 올리기가

 

쉽지 않았고, 이는 연준이 장기채에 적극 개입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는 지난 금리 사이클의 레포 금리를 나타냅니다.


16482188862082.jpeg

 

사실 19년 9월 중순 이전

 

18년 말에도 레포 발작이 있었습니다.

 

바로 위 10년물 차트 보시면

 

10년물 금리가 18년 말 하락 추세로 전환되면서

 

레포 발작이 일어났었습니다.



 

 

아래는 연준의 대차대조표입니다.

 

16482188863501.jpeg

 

QE3 이후 연준의 자산은 4.5조 달러

 

QE4 이후 연준의 자산은 9조 달러이며 증가한 자산의

 

상당 부분이 모기지와 연동된 장기채권입니다.

 

 

 

채권 시장이 긴장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어쩌면 미국 주식 시장의 꽤 긴 대세 상승장의 흐름을

 

만들어 내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참고적으로 금리 인상기에는 EM 시장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제 총알을 채웠으니 파월의 힘을 믿어볼 차례입니다.



 

4 Comments
크리스준 2022.03.25 23:00  
장기 금리를 이야기하면서 미국 부동산 이야기를 해야할 텐데 증포에 어울리지 않는 듯하여 부동산 시장의 버블 이야기는 내용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참고해주십시요
양za물리학 2022.03.25 23:00  
내용 감사합니다.
크리스준 2022.03.25 23:00  
감사합니다.
버거킹매니아 2022.03.25 23:00  
좋은 분석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