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산시 무릎 충격 줄이는법- 발 아치의 충격흡수 기능을 잘 사용하세요 .GIF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하산시 무릎 충격 줄이는법- 발 아치의 충격흡수 기능을 잘 사용하세요 .GIF

낙낙낙킹온헤… 17 145

 

인간의 발 아치는 충격흡수를 하게끔 만들어져 있는건 다들 아시죠?

 

평지에서 걸을때는 뒷굼치 부터 착지를 하는데

 

하산시는  지형에 따라 뒷굼치 부터 착지할수도 있고 앞굼치부터 착지할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앞굼치 부터 착지하는게 발에서 충격흡수가 더 많이 되고 무릎에 가는 충격을 더  줄일수 있습니다.

 

물론 제대로 된 방법으로 앞굼치착지를 할때 말이죠

 

하산시는 평지에서 걸을때보다  착지하는 발에 체중에 부하가 많이 걸리기때문에

 

앞굼치부터 착지하며 충격을 흡수해야 합니다

 

물론 지형에 따라 뒷굼치부터 착지를 하거나 앞굼치 뒷굽치 동시에 착지를 할수도 있습니다

 

 


다른 세계기록 보우자인데 역시 같은 모양으로 착지를 합니다

 

평생 저런 착지로 마라톤을 뛰어보지 못한 일반인들은  저렇게 착지하면서 뛰면  발바닥 근육이 늘어나며 체중을 받는  부하때문에

 

부상의 위험이 있지만

 

걸으면서 하산할때는 뛰는거보단 체중의 부하가  덜 걸리기에 뛰는거보단 쉽게 저런 착지법을  할수 있습니다


뒷굼치는 지형에따라 닿을수도 있고 안 닿을수도 있습니다

 

저 방법이 발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가장 많이 흡수하는 방법으로 무릎에 충격을 많이 없애줍니다

 


근데 등산시 저렇게 착지하며 충격흡수를 하는데는 꼭 필요한게 있습니다


 

신발을 아주 잘 골라야 합니다

 

신발 모양에 따라 제대로 충격흡수가 안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1. 발볼의 좌우로 너무 꽉 끼거나 앞뒤로 너무 꽉 끼는 신발

 운동화, 등산화 둘다 이런 모양이 많죠

  충격을 흡수하려면 발의 횡아치와 종아치가 눌려져야만 하는데

  눌려질때 발이 양옆으로 폭도 약간  늘어나고 앞뒤 길이도 약간 늘어납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죠

 그런데 신발이 양옆으로 너무 조이거나 앞뒤로도 늘어날 공간이 없으면

  아치가 눌려지지 않아 충격 흡수가 안됩니다

 측, 양옆으로도 약간 헐렁하고 앞뒤로도 약간 헐렁해야합니다

  그럼 신발이 헐렁할수밖에 없는데 신발이 너무 헐렁거리지 않게 발목이나 복숭아뼈 부분에서 타이트하게 조여져야 합니다


  이런거 신경써서 등산화 고르는 사람 있나요?

 이런 부분을 신경 써야발에서 충격흡수가 되는겁니다

 


2. 앞코가 심하게 들린 신발

 운동화도 이런 모양이 많고

 등산화도 이런 모양이 많습니다

 

 발을 구르기 쉬운 모양이라고 광고 하는데

 원래 발의 기능을  없애버리는  모양의 신발입니다


  앞코가 들린 신발에 발을 집어넣는 순간 이미 종아치는 늘어나버린 모양이됩니다

앞굼치와 발가락을 꾸욱 땅에 눌리는 모양이 되야 종아치가 눌리며 충격흡수가 되는데

 앞코가 들린 신발로는 절대 그렇게 되지 않고

 발바닥 근막만 늘어난 자세만 되어 족저근막염 걸리기만 쉽니다



 시중에 신발중 제대로 된 신발이 아주 드뭅니다

 신발을  신경써서 제대로 골라야만 발에서 충격흡수가 되고 무릎을 보호할수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둔근. 엉덩이근육

특히 중군근의 강화도 중요합니다

 

앞굼치  새끼발가락 아랫부분으로 착지하면서

 엄지발가락족으로 체중이 이동되는순간 

자연스레 무릎이 내전(안으로 돔) 되는데

 

이때 무릎을 외전시키는 중둔근이 약하면 내전 되는 무릎이 안으로 꺽이면서 무릎에 통증이 옵니다

 

이런것들만 신경써도 무릎으로 오는 부하를 많이 줄일수 있습니다



 

17 Comments
5촌마을 2021.12.09 06:00  
이번에  걷는방식을 스틱없이 걸어볼려하는데 참고하겠습니다
isiki 2021.12.09 06:00  
아무리 좋은 자세로 잘 걸어도 무게 분산만큼 무릎에 도움되는게 있을까요. 가능하면 스틱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배가 2021.12.09 06:00  
예전에 등포에서 마라톤과 연결해서 말씀하시던 분이 계셨는데요 그분과 비슷하게 말씀하시는듯 싶습니다  근데요 전 예전부터 이게 맞는듯 하면서 많이 의심을 했는데요  이유는 사람 발 구조를 보면 뒤꿈치가 상당히 튼튼합니다 괜히 발 모양이 이런건 아니라고 생각이 들어서요... 그렇다고 너무 많은 하중을 뒤꿈치에 주는건 저도 잘 못이라고 생각은 듭니다  그리고 걸을때와 뛸 때는 제가 알기론 착지법도 다르고 몸의 중심도 다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 마라톤 보다 경보가 더 등산 걸음과 어울리지 않나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위에 그림을 보면 무릎을 굽히면서 착지하는데요 이게 제일 중요한듯 싶어요~ 
낙낙낙킹온헤… 2021.12.09 06:00  
경보의 착지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어썸캠퍼 2021.12.09 06:00  
죄송하지만 경보는 해당 스포츠의 규칙에 맞는 상황에서 속도를 올려야 하기 때문에 뒷꿈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구요, 마라톤의 경우 장거리를 무릎과 발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며 달려야하기에 뒷꿈치 착지를 하지 않는 것 입니다.
배가 2021.12.09 06:00  
글을 짧게 쓰다 보니 오해가 있을거 같은데요 뛰는 마라톤 보다 걷는거 위주인 경보가 나을것 같고 응용하면 어떨까해서 쓴 글입니다 경보에서 힙이나 허리를 쓰는 의미도 있고 두 발이 땅에 닿아야 하는데 그런 습관을 들이면 걸을때 중심을 잘 잡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글에도 썼지만 경보처럼 뒤꿈치를 많이 사용하는건 저도 별로일듯 보여요~   
맛남의광장 2021.12.09 06:00  
저런 마라토너. 특히나 아프리카 계열사람들을 예시로 보면 안되구요.  저쪽사람들은 어렸을때 신발을 안신기 때문에 자연스레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뒷꿈치를 안쓰게 됩니다.  신발을 신는 우리같은 사람들은 평생을 뒷꿈치를 사용해서 이미 그쪽으로 근육이나 인대가 다 발달되어서 배어풋을 시도하면 십중팔구는 몸에 무리가 옵니다. 2000년대 초반엔 포어풋 반짝 유행하다가 사람들 하도 부상이 많아져서 요즘엔 시들하고 그나마 타협보고 나온게 미드풋 입니다. 그것마저도 어렸을때부터 훈련한게 아니라면 그냥 평소에 하던대로 하고 사는게 몸에는 제일 무리가 덜 가는거라고.. 
낙낙낙킹온헤… 2021.12.09 06:00  
네. 우리같이 신발신고 사는 문화권 사람들이 갑자기 포어풋으로 달리면 무리, 부상 올수 있다는거는 동의합니다. 그런데 하산시 착치는 뛰는것보단 훨신 발에 무게가 덜 실려요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계단같은데 내려올때도 무의식적으로 포어풋 착지를 하고요. 그래서 뛰는것보다는 훨씬 몸에 무리 안가게 쉽게 익힐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허클베리핀2 2021.12.09 06:00  
완전 동감. 취미로 마라톤하는데 3년전 우승한 비결을을 보니 앞꿈치 착지....그이후 몇년간 따라 하지만 한계를 느끼고 무리해서 고통만... 예네들은 어릴적부터 아주 단련되어 이젠 예전대로 달리고 있습니다.
해킹당한뽐뿌 2021.12.09 06:00  
착지점에서의 무게중심이 제일 중요합니다    일단 가볍게 디뎌야하며 몸의 중심보다 과하게 발이 앞으로 나가면 안됩니다.  해보세요 뻗으면서 발뒤꿈치부터 밟으면 무릎날라가는거고  몸의 중심아래에 딛게 되면 자연스레 미드혹은 포어로 딛게 돼는데 이런 형태라면 힐부터 닿아도 무리가 없습니다.    가볍게 내 몸 중심선 아래 착지 이거만 유의하시면 될듯하네요
휴대폰사기힘… 2021.12.09 06:00  
저도 내리막에서 뒤꿈치를 살짝 들고 내려옵니다. 그래서 그런지 내리막이 힘들다고 느낀 적이 거의 없네요.
반달개 2021.12.09 06:00  
착지시 뒤꿈치보단 발 전체적으로 착지하고 착지점이 몸에 중심에서 멀어지지 않게 착지하는게 요즘 마라톤자세 추세입니다.    내리막을 내려오실땐 보폭을 작게 하시고 무릎위치 아래로 착지하시고 착지시 무릎을 살짝 굽혀주시면 충격을 많이 줄여줄거에요
구름봉우리 2021.12.09 06:00  
하산시엔 욕심 내려놓고 무조건 보폭을 줄여야겠네요. 더불어 무릎을 살짝 굽혀준다.. 꼭 기억하겠습니다.   무릎위치 아래란...무릎선 넘지말고 그 안에서 착지하라는 이야기 맞는지요? 잠시 이해가..ㅠ.ㅠ
시티즌워너비 2021.12.09 06:00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내리막 내려올때 저도 저런식으로 충격흡수해야겠네요.
똥꼬쟁 2021.12.09 06:00  
낮은산도 내려올때 무릎이 아팠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스틱도 같이하는게 좋겠죠?
기타둥둥 2021.12.09 06:00  
와 작은것 하나에도 여러가지 지식들이 많네요 내용 잘읽엇어요!
ziro1 2021.12.09 06:00  
달리기 자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