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kers 1% 샘플 한글 의역본 pt4
구글에 검색하면 나오는 poker 1% 의역본 pt4 임
페이지는 38페이지부터 41페이지까지.
원문은 아래에
http://edmillerpoker.com/wp-content/uploads/2014/03/Pokers_1_percent_AUTHORIZED_TORRENT_PREVIEW.pdf
헷갈리거나 한글로 옮기기에 어색한 문장은 영어 그대로 써놨습니다..
허접한 영어실력 ㅈㅅ
은 개뿔 그냥 보셈
지난 화에 이어 빠르게 포인트를 보자.
1. -니가 나를 의심한다면, 25-50방이나 더 이상의 온라인을 가봐- 여기 플레이어들이 진짜 1%야.
이 친구들이 게임하는 거를 지켜봐봐. 각 개개인의 핸드를 보지말고, 빈도를 보라고.
누군가가 프리플랍에서 3벳을 하면, 다른 누군가가 얼마나 자주 3벳이나 콜하지 않고 폴드 할까?
누군가가 플랍에서 벳하면, 다른 플레이어는 얼마나 자주 폴드할까? 얼마나 자주 플랍 베터가 콜받을때
팟을 포기할까? 또 포스트플랍 레이즈가 있을때, 얼마나 자주 다른 플레이어가 폴드할까?
니가 이러한 기본 빈도를 알 정도로 오래 관전하면, 그 플레이어들이 거의 내 룰을 따르고 있다는걸 알거야.
벳하고 콜받은 사람은 언제나 항상 다시 벳해. 그리고 레이즈 받은 사람은 항상 콜해.
2. -배리언스는 엄청나게 커-
내가 학생들한테 이 책에 써있는 -빈도 위주의 게임- 을 가르칠 때마다,
걔네들의 맨처음 반응은 항상 이거였어 "나 이렇게 게임 못해요! 내 배리언스 개씹 폭망할걸요!"
뭐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해. 그래 만약 니가 이 룰을 이해하는 사람한테 이러한 방식으로 게임하면, 배리언스는
존나게 클거야. 만약 모든 플레이어들이 지속적으로 벳하고 콜하면, 너는 수많은 큰 팟(big pots) 을
스몰 엣지로 게임하게 되지. 그게 거대한 배리언스를 의미하는 거야. 너는 인터넷 5-10$ 게임 혹은
그 이상을 충분한 뱅크롤없이는 절대 플레이 할 수 없어.
근데 이 룰을 무시하고 폴드를 자주 하는것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진 않어.
It;s just going to lock in your losses against elite competition.
(*이건 그냥 잘하는 플레이어로부터 당하는 손실을 조금 줄여줄 뿐이야.?)
When you're getting owned every other hand, no bankroll is big enough
(*너가 모든 다른 핸드한테 당할 때, 뱅크롤은 충분하지 않아.? 시발 뭔말이야)
But no, If you follow the rules against lesser competition, your variance won't ballon out of control.
(근데 아니, 만약 니가 이 룰을 더 적은 경쟁에서 사용하면, 너의 뱅크롤은 폭발하진 않을거야.?)
여기 2개의 이유가 있어.
첫 번째는, 너의 승률은 엄청 올라가. 강한 승률이 오래 지속되며 웬만한 다운스윙 가능성을 줄여줄거야.
두 번째, 너는 니 상대가 폴드를 자주 하는것을 눈치 챌거야. 이게 너의 배리언스를 안정시켜.
배리언스는 니가 자주 큰 콜을 당하는 팟(frequent big called pot)을 플레이할때 찾아와.
근데 너의 상대가 너한테 많은 팟을 주는 한, 배리언스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거야.
사실, 너가 프리플랍에서 너무 많은 핸드를 플레이하는것에 익숙하다면 (이건 다음 세션에 설명하겠지만),
넌 아마 배리언스가 올라가는걸 보지 못 할거야. 너는 그냥 프리플랍에서 싸구려 핸드를 버리고 너의 액션을 좀더 현명한 방법으로 생각해냄으로서 승률을 올릴 수 있어.
3. -너는 이 룰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 단지 너의 상대가 이 룰을 먼저 안 쓸때 말이지-
이 룰을 사용하지 마 너가 진짜 니 상대가 뭐하는지 다 확신한다면 말야.
내가 이 룰을 사용하지 않는 대다수 경우는 오로지 블러프를 자주 하지 않는 상대한테서 나오는 큰 턴벳과 리버벳에 폴드하는 경우뿐이야.
(*시발 미리 말했어야지 pt3까지 읽고 오늘 존나 신나게 다 콜했는데..)
플레이어들이 큰 턴, 리버 블러프를 자주 하는 것은 꽤나 판단이 부족한 행동이야. 이러한 플레이어들을 상대로는
쉽게 상대를 cheat (*속이다) 하고 큰 팟에 폴드할 수 있어.
But (and it's a big but), it's very easy to think you know what your opponent is doing, cheat, and get yourself owned
because your opponent is less predictabel than you thought.
(하지만(매우 중요한 하지만).. 너의 상대방이 무엇을 하는지, 치팅하는지, 너를 잡아먹으려고 하는지 알아내기는 쉬워
왜냐면 너가 생각했던 것보다 상대는 덜 예측적이거든.?)
WSOP 2013 메인 이벤트 같은 하이스테이크에서도 이러한 실수가 일어나. Jay Farber 와 J.C Tran의 경기였지.
Tran 이 팟을 최소한으로 열고 Farber 가 작은 3벳을 날렸어. Tran은 작은 4벳을 했고 그 즉시 Farber 가 작은 5벳을 했어.
Farbet 의 5벳은 스스로를 유효한 스택에서 반정도 커밋시켰고, Tran 은 거의 콜하기에 5-to-1 오즈를 얻고 있었지만
프리플랍 액션을 종료했어.
Tran은 AQo 를 폴드했어. 이 5-to-1 오즈에 대한 폴드가 논리적으로 말이 되는 경우는 Tran 이 'Farber는
AA를 가졌을 거다' 라고 생각하는 경우밖에 없어.
어랍쇼 근데? Farber가 66을 가지고 있었던 거야. Tran 은 그가 대부분의 경우에, 수학적으로 콜해야 옳은
상황에서 폴드하며 '룰' 을 깨버린 거야. 아마도, Tran은 'Farber 가 5벳 하는 경우는 AA 이거나
이 정도의 큰 핸드일 뿐' 이라고 생각하며 룰을 깰 수 있다고 결정했던 거겠지. 근데 드러나듯이,
이것은 명백히 잘못된 플레이였어.
4. -절대 이 룰들을 깨지마-
한번 가정해보자. 예를들어 너가 이 노리밋 홀덤 게임에서 수학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지식을 갖게 됬어. 그럼 아마 너는 100테이블 돌리고, 허드도 안 쓰고 리딩같은 것도 안 하면서도 다른
플레이어들을 압살 하겠지? 티비보고 과자먹고 웹서핑하고 포고보면서 낄낄거리며 게임해도 다 씹바를거란 말야.
이게 수학적 해답의 본질이야. 니 상대방이 무엇을 하려고 애쓰든지 간에 너의 게임을 깨기는 불가능해.
다시 예를 들어보자. 너가 절대 지지않는 방식으로 게임하면 상대에 대한 리딩은 안해도 되.
완벽한 전략은 존재하고 너가 그 전략을 고수하는 한, 너는 무조건 이기거나 비겨. 지지는 않는다고.
너의 상대가 어떻게 플레이하는 것은 전혀 상관없는거야.
포커는 정말 엄청 복잡한 게임이야 근데 이것은 똑같아. 너가 완벽한 전략으로 게임하면, 리딩은 절대적으로
불필요해. 너는 그냥 너의 게임을 하고 너의 상대는 스스로를 부술 거야.
전체적 리딩에 대해서 보자면, 이 게임의 심리적인 양상은 단지 우리 인간이 복잡한 수학적 문제들을 넘어
지름길을 택하는 시도를 나타내는 것과 같아.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리딩하고 그 리딩에 기반해
액션 하는것은 충분히 가치가 있지.
근데 너의 빈도가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 그리고 그 빈도를 너가 할수 있는 한 유지하고, 충분히 고수하는 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훨씬 훨씬 중요해. 진짜 잘해지고 싶다면 절대 두 가지 룰을 깨지마.
절대 절대 깨지 않는 것이 훨씬 좋아. 몇 가지 기회를 놓치는 것 같아서 룰을 무시하고
자주 잘못된 판단을 할수 있는 리스크를 택하는 것보다 말야.
너가 1% 플레이어들처럼 게임하고 싶다면, 너가 지금 하는 게임방식은 개나 줘버리고
이 '빈도 개념' 의 관점으로 너의 게임을 리빌딩해야 되.
출처 : 당근 from 포커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