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 홀덤의 ‘추가’ 10가지 필수전략 : Push/Fold 전략 part.2
프로의 조언
블라인드에 비례한 여러분의 스택사이즈가 어느정도 안전한지를 아시려면,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셔서M의 값을 계산한 분류표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이 M의 값의 모델은 월드 챔피언이였던 Dan Harrington이 작성하였습니다.
http://www.pokerlistings.com/poker-strategy-articles/tournament-nl-holdem
왜 올인이 레이즈보다 더 나은 선택일까요?
숏스택일 때 여러분의 가장 큰 걱정은 바로 ‘살아남는 것’이며, 이러한 고민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다른 플레이어와의 대결을 피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10bb의 스택을 가지고 있으며 버튼인데, 앞에 있는 모든 플레이어들이 다 폴드를 했습니다. 여러분은 일반적인 3x 레이즈를 했는데, 빅블라인드가 ThJh를 가집니다.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3x 레이즈를 콜할 것이지만, 만약 여러분이 남은 10bb로 올인을 한다면이야기는 달라질 것입니다.
여러분이 파켓킹이나 에이스처럼 몬스터 핸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이상은, 올인을 해서 블라인드와 앤티를 스틸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씁니다.
여러분의 방법으로 스틸을 해서 빅스택이 되기
여러분이 숏스택인 상황에서 올인을 함으로써 더블업을 유도하는 대신에, 포지션과 어그레션을 이용해서블라인드와 앤티를 스틸해서 스택을 쌓을 수도 있습니다.
가장 최상의 테이블은 아무래도 모든 상대가 타이트-패시브하며 프리미엄 핸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핸드를 폴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상대들 또한 이러한 빅핸드를 계속해서 기다릴 수 만은 없다는 것을알고 있으며, 여러분 또한 이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올인 혹은 폴드를 결정할 때 아래와 같은 중요한 요소들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
· 여러분이 프리미엄핸드를 가지고 있어서 상대의 콜을 기다라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언제나 가장 먼저 액션을 취해야 합니다.
· 포지션이 좋으면 좋을수록, 여러분이 올인을 할 수 있는 핸드는 더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 만약 블라인드에 루즈 어그레시브한 플레이어가 빅스택을 가지고 있다면, 올인을 하는 핸드범위를 타이트하게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만약 블라인드에 있는 플레이어가 타이트하고프리미엄 핸드만으로 플레이를 한다면, 핸드 범위를 늘려서 계속 압박을 하셔야 됩니다.
· 여러분의 몬스터 핸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상은, 탈락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블라인드와 앤티를 스틸하는 플레이가 필요합니다.
버블에서 Push/Fold 전략쓰기
Push/Fold 전략에서 가장 큰 예외는 바로 여러분이 토너먼트나 싯앤고에서 버블상황에 쳐해 있을 때 입니다.
버블탈락과 입상을 하는 것은 엄청난 에퀴티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여러분은 굳이 올인을 해서 이러한 이점을 가져가는데 리스크를 감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러한 컨셉은 Independent Chip Model(ICM)으로 가장 잘 묘사할 수 있지만, 초보자들이 알아야 될 점은 만약 버블에서 올인이나 올인 콜을 할 때, 굉장히 좋은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코인 플립 상황이라면, 무조건 피하시고 더 좋은 상황을 기다리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