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NL 기준 SRP BTN vs BB A 하이 Dry 플랍 분석(1)
2022년 3월 5일 POKERGOSU
지난시간까지는 50NL 기준 SRP BTN vs BB의 전체적인 빈도를 텍스쳐별로 살펴봤습니다. 마지막으로 알아볼 예정이었던 BB 첵-레이즈 vs BTN 레이즈/콜/폴드 빈도는 텍스쳐별로 살펴보면서 정리할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 하이 Dry 플랍의 구체적인 전략(+핸드 선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에서 보았지만, A 하이 Dry 플랍의 전체적인 빈도들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BB 첵/벳
GTO Wizard는 거의 전부 첵 쳤으며, 약간의 동크 빈도는 무시해도 좋을 것입니다.
2. BTN 첵/벳
BTN은 54.3% 빈도로 첵 쳤고, 35% 빈도로 작은 벳(33% 팟 사이즈)을, 9.2% 빈도로 중간 벳(50% 팟 사이즈)를 사용했으며, 큰 벳 및 오버벳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실전에서는 거의 모두 작은 사이즈의 벳을 사용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전체적인 벳 빈도는 약간 올라갈 것입니다.
SRP BTN vs BB A 하이 Dry 플랍과 같이 솔버가 작은 벳을 주로 사용하는 텍스쳐들을 한 가지 사이즈들 (33%/50%/75%/100%/125% 등등)을 넣고 다시 돌려보면, 33% 팟 사이즈 벳 하나만 사용한 트리가 가장 높은 EV를 (그리고 모든 사이즈를 넣었을 때의 EV보다 가장 적은 손실을) 보입니다. 하지만 굳이 33% 팟 사이즈 벳만 사용한 솔버 심을 꼭 살펴볼 필요는 없는 것이, 여러 사이즈를 사용해 돌린 솔루션의 33% 벳 트리와, 33% 벳 사이즈 하나만 넣은 심의 벳 트리를 비교해봐도, 레인지 구성 및 전략의 구성에 그렇게 큰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물론 이것은 A하이 Dry처럼 여러 사이즈로 돌려도 하나의 사이즈를 압도적으로 선호할 때의 이야기이며, 예를 들어 AHH 플랍처럼 여러 사이즈를 비슷한 비중으로 사용하는 플랍(한 가지 벳사이즈로 단순화시키면 주로 70%~100% 사이의 사이즈)에서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SRP BTN vs BB A 하이 Dry 플랍의 전략은 33% 벳 트리를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BB 첵-레이즈/콜/폴드 vs BTN 33% 벳
BB는 36.8% 폴드, 52.8% 콜, 10.4% 빈도로 첵-레이즈 하며 큰 사이즈(100% 팟)의 첵-레이즈를 사용합니다.
4. BTN 3-bet/콜/폴드 vs BB 첵-레이즈(100% 팟 사이즈)
BTN은 56.9% 폴드, 41.1% 콜, 2.1% 빈도로 3-bet 하며 작은 사이즈(50% 팟)의 3-bet을 사용합니다. 낮은 빈도로나마 3-bet을 사용하는 플랍들은 약간의 스트레이트 드로우가 있는 플랍들입니다. 완전히 마른 플랍들은 3-bet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핸드 선택
1. BTN 첵/벳
A94r 플랍에서 BTN은 전체적으로 52.3% 첵 칩니다.
A83r 플랍에서 BTN은 전체적으로 48.9% 첵 칩니다.
A72r 플랍에서 BTN은 전체적으로 57.5% 첵 칩니다.
비교를 위해 A94r/A83r/A72r의 세 가지 플랍 전략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우측 하단의 EQUITY BUCKETS란을 보면, 핸드들이 Best/Good/Weak/Trash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Modern Poker Theory 311p에서는 에퀴티 버켓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게임 이론 섹션에서 보았듯이, 레인지 구성은 액션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 레인지가 일반적인 분포에 따라 분류되는 방식에서 주어진 레인지내의 핸드 vs 레인지 에퀴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초점을 옮기면서, 에퀴티 버켓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포스트-플랍 플레이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 도록 필요한 세부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강한 핸드: 핸드 vs 레인지의 에퀴티가 75%, 또는 그 이상인 핸드
♦ 좋은 핸드: 핸드 vs 레인지의 에퀴티가 50% 이상이고 75% 미만인 핸드
♦ 약한 핸드: 핸드 vs 레인지의 에퀴티가 33% 이상이고 50% 미만인 핸드
♦ 트래쉬 핸드: 핸드 vs 레인지의 에퀴티가 33%, 또는 그 미만인 핸드
플레이어의 레인지의 각 핸드들을 에퀴티 버켓에 집어넣음으로써, 해당 레인지의 포스트-플랍 에퀴티 분포를 더 명확하게 알 수 있고, 그 레인지가 다른 형태들에 들어맞는 정도에 대해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GTO Wizard의 Equity Buckets 역시 동일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세 플랍 모두 네 가지(Best/Good/Weak/Trash) 핸드들을 고루 벳 하는 Merge 벳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폴라된 오버벳 전략을 사용하는 AK3r 같은 플랍은 Good 핸드를 거의 벳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림과 같이 우측 하단의 Good 핸드들은 거의 벳 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BTN 벳- BB 콜 후 턴에서 Kc가 떨어진다면, BTN은 트립스를 거의 갖고 있지 못하고, BB는 모든 트립스를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에 BB가 굉장히 유리해져서 동크벳을 높은 빈도로 하게 됩니다. 에퀴티 버켓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은 Modern Poker Theory를 참조해 보세요.
https://smartstore.naver.com/pokergosu/products/5676149300
다시 본문으로 돌아와서 SRP BTN vs BB A하이 Dry 플랍에서 BTN의 핸드 종류별 c-bet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셋
모든 셋을 거의 100% 빈도로 c-bet 합니다. 굳이 첵을 섞어준다면 상대의 콜/레이즈 레인지를 많이 블락하는 AA를 아주 낮은 빈도로 첵 칩니다.
2) 투 페어
전체적으로 33% 빈도로 첵칩니다. 탑 투페어(A9)들은 20~30% 사이의 빈도로 첵 치고, 탑&바텀 투페어(A4)들은 40~50% 사이의 빈도로 첵 칩니다.
3) 탑 페어
전체적으로 51.4% 빈도로 첵 칩니다. AK는 10~20% 빈도만 첵치고, AQ는 20~30% 빈도로 좀 더 첵 치는 식의 전략으로 되어있습니다. 같은 수딧 AK/AQ라도 AKss/AQss의 첵 빈도가 좀 더 높은 등의 미세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크게 유의미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AK를 들고 있는데, RNG가 1~20이 나왔을 때는 첵, A3을 들고 있는데 RNG가 80~100이 나오면 벳 정도로만 단순화 시켜도 EV에 큰 차이는 없을 것이며, 실제로 믹스 빈도를 다소 다르게 노드락 시켜 돌려봐도 딱히 큰 EV 차이는 없었습니다.
4) 언더 페어
전체적으로 76% 빈도로 첵 칩니다. TT는 50% 정도로 첵 치며, 카드가 높아질 수록 벳 빈도는 줄어 KK는 100% 빈도로 첵 칩니다. TT는 작은 벳을 통해 상대의 BDFD 없는 투 오버 카드를 폴드 시킬 수 있어서 벳 할 유인이 좀 더 많을 것입니다.
5) 세컨 페어
전체적으로 49.2% 첵 칩니다. 키커가 낮아질 수록, BDFD를 지닌 핸드들(98hh/98cc)을 더 높은 빈도(80~85%)로 벳하고, 그렇지 않은 핸드들은 더 낮은 빈도(50% 정도)로 벳 합니다.
6) 써드 페어 및 로우 페어
전체적으로 71% 첵 칩니다. 지고 있어도 많은 아우츠를 지닌 4x 페어들의 벳 빈도가 포켓 페어보다 높고, 포켓 페어끼리는 낮은 페어일수록 벳 빈도가 높습니다. 4x 페어들 중에서는 BDSD까지 있는 54들이 80~85%의 벳 빈도를 보이고, J4, Q4는 BDFD가 있을 때는 60~70%, 없을 때는 20~25%의 벳 빈도를 보입니다. K4는 30~40%의 벳 빈도를 가집니다.
7) K 하이
전체적으로 70.5% 첵 칩니다. 낮은 Kx일수록 벳 빈도가 높아져서, KQ/KJ 등은 (BDSD가 있음에도) 거의 100% 첵치고, K2/K3/K5 등은 60~70%까지 벳 빈도가 올라갑니다.
8) 노 메이드 핸드
전체적으로 37.8% 첵 칩니다. 개별 핸드별로 편차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50~70% 근처의 벳 빈도를 보입니다. 대략적으로 RNG가 낮게 나오지 않는 이상 벳하면서 직관적으로 기억에 남는 부분들을 그때그때 업데이트 해나가는게 최선일 듯 합니다(예를 들어 65s은 70이상이 나올때 벳해야 한다든지 등등). 굳이 하나하나 기억하려 애쓰는 것은 비효율 적일 것입니다.
지금까지 A94r 플랍을 기준으로 A 하이 Dry 플랍의 BTN c-bet 전략을 알아봤습니다. 참고를 위해 함께 첨부했던 A83r/A72r 플랍을 봐도 대동소이한 전략을 보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BTN의 33% c-bet을 상대로 한 BB의 대응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POKERGO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