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 기능 떨어졌다면…생채소는 데친 후 여러 번 헹궈 먹어야
혈액 속 노폐물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는 만성콩팥병에 전 인구의 7명 중 1명이 노출됐을 정도다. 게티이미지뱅크
콩팥은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내보내는 ‘몸속 정수기’다. 심장이 뿜어내는 혈액의
20
%(하루 1,
800L
)가 콩팥에서 걸러진다.
그런데 콩팥 기능이 떨어져 몸속 노폐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고 수분ㆍ전해질 조절도 적절히 못하게 된 것을 ‘만성콩팥병(만성신부전)’이라고 한다. 만성콩팥병은 ‘추정 사구체 여과율(
eGFR
)’이
60mL
/
분
/
1.73
㎡ 미만이고, 소변에서 단백질이 나오는 상태(단백뇨)가 3개월 이상 지속될 때를 말한다. 전 인구의 7명 중 1명꼴로 만성콩팥병에 노출돼 있다.
◇환자 10 명 중 7명, 당뇨병ㆍ고혈압이 원인
만성콩팥병은 콩팥 자체 원인이라기보다 당뇨병(
49.8
%)과 고혈압(
20.5
%) 등 전신 질환의 합병증 때문에 발생한다(
2020
년 기준).
콩팥 속 사구체(絲球體ㆍ
glomerulus
ㆍ모세혈관이 실타래처럼 뭉쳐진 덩어리)에 염증ㆍ손상으로 발생하는 사구체신염도 원인으로 꼽힌다. 이 밖에 유전성 콩팥질환인 다낭성 콩팥질환, 자가면역질환, 진통제 등 약물 남용, 결석이나 전립선 비대로 인한 만성적 요로폐색도 원인일 수 있다.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한신장학회는 만성콩팥병을 의심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으로 9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붉거나 탁한 소변이 나오거나 △소변에 거품이 많이 생기거나 △자다가 자주 깨어 소변을 보거나 △소변량이 줄거나 소변 보기가 힘들거나 △몸 전체가 가렵거나 △눈 주위 및 손발이 붓거나 △혈압이 올라가거나 △쉽게 피로감을 느끼거나 △식욕과 체중 감소 등이다.
하지만 콩팥 기능을
50
% 정도 잃을 때까지 콩팥은 별다른 이상 신호를 보내지 않아 말기 신부전이 될 때까지 모르고 지내기 쉽다. 문주영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증상에 주목하기보다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며 “
40
세 이상이라면 정기검진을 받고 콩팥에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추정 사구체 여과율(
eGFR
)’이
15mL
/
분
/
1.73
㎡ 미만인 말기 신부전으로 악화하면 ‘신(腎)대체요법’을 해야 한다. 신대체요법으로는 혈액 투석, 복막 투석, 콩팥 이식을 말한다. 대한신장학회가 발표한
2020
년 신대체요법(말기 신부전) 유병률은
14
만5,
006
명으로 혈액 투석
11
만7,
398
명(
81.0
%), 복막 투석 5,
724
명(
3.9
%), 콩팥 이식 2만1,
884
명(
15.1
%)이다.
만성콩팥병은 혈압ㆍ혈당ㆍ체중 관리, 금연, 금주 등 생활습관 개선과 레닌 안지오텐신 시스템(
RAS
) 차단제ㆍ
SGLT2
억제제 등 적절한 약물로 악화를 늦출 수 있다.
만성콩팥병에 걸리면 예전에는 콩팥 기능이 매년
3.5
%씩 떨어졌다.
10
년이면
35
%,
20
년이면
70
%가 줄어든다.
40
세에 만성콩팥병 진단을 받았다면
65~70
세에는 투석 치료를 받아야 했다.
이태원 경희대 명예교수(이수내과 대표원장)는 "최근 치료법이 발달해 연간 콩팥 손상률이
1.3
%까지 낮아졌다"며 "이제는
40
세에 만성콩팥병 진단을 받아도
80
세까지 콩팥 기능을
40
% 이상 유지할 수 있게 돼 투석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콩팥은 제 기능의
90
% 가까이 떨어져도 별 증상을 보이지 않는 침묵의 장기다. 만성콩팥병 환자가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생채소는 데쳐 여러 번 헹궈 먹어야
만성콩팥병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하려면 식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좋은 음식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라 적게 먹거나 피해야 할 음식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콩팥병은 단백질ㆍ칼륨ㆍ인 섭취를 줄여야 한다. 단백질을 과다 섭취하면 콩팥에 부담을 줘 콩팥 기능이 더 빨리 악화할 수 있다. 병 정도나 환자에 따라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병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만성콩팥병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칼륨의 양이 제한되므로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칼륨은 생채소나 과일에 많이 들어 있는데, 껍질을 벗긴 후 채를 썰거나 작게 토막을 내 재료의
10
배 이상 되는 양의 물에 2시간 이상 담갔다가 헹구고, 채소는 끓는 물에 데친 후 여러 번 헹구는 방법으로 덜 먹을 수 있다.
곡물류ㆍ유제품ㆍ초콜릿 등에 많이 함유된 인 성분도 콩팥에서 배출되는 물질이다. 인이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쌓이면 피부가 가렵거나 뼈가 약해질 수 있다.
윤혜은 인천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만성콩팥병은 체 수분과 염분 조절 장애가 있는 질환이기에 수분과 염분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며 “수분 섭취가 많으면 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고, 염분 섭취가 많으면 붓고 혈압이 올라갈 위험이 있기에 염분을 줄인 저염식을 해야 한다”고 했다.
[만성콩팥병 조기 진단 체크 리스트]
아래 증세가 나타나면 신장내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 무기력하고 피로감을 자주 느낀다.
△ 식욕이 떨어진다.
△ 집중력이 떨어지고 잠을 잘 못 잔다.
△ 밤에 쥐가 잘 나거나 발과 다리가 붓는다.
△ 자고 일어나면 눈 주위가 푸석푸석해진다.
△ 소변 색깔이 붉거나 거품이 많다.
△ 잠자다가 일어나 소변을 자주 본다.
△ 피부가 가렵고 창백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