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백신과 심근염 발생 정보 (미국 CDC, ACIP 미팅 자료) (화이저, 모더나)

mRNA백신과 심근염 발생 정보 (미국 CDC, ACIP 미팅 자료) (화이저, 모더나)

포이에마 0 2235

mRNA백신이 심근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얘기가 있어 왔었고, 여기 팁게시판에도 제가 리뷰를 해 드렸던 적이 있었습니다.

오늘(6/23),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 ACIP )에서 이에 대한 미팅이 있었습니다. 

https://www.cdc.gov/vaccines/acip/meetings/slides-2021-06.html


ACIP는 백신에 대한 정책을 결정하는 미국 CDC 산하의 위원회입니다. 여기서 발표된 데이터 몇 가지를 리뷰해 드릴까 합니다.

미국은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이 있으면  VAERS 라고 사이트에 보고를 합니다. 여기는 백신 접종과 관련된 이상 반응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 케이스도 모두 포함된 것입니다. 이걸 감안하시고 보셔야 하는데, 아무튼 이 데이터를 기본으로 해서 여러 가지 분석을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심근염은 주로  남성 에게서 많이 나타나며(76%), 주로  젊은이 들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15~18세, 18명/100만명, 2016년  자료, 미국).

[추가: 심근염 발병율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직접 찾아보았습니다. The Lancet에서 발표한 2018년도 논문에 따르면, 전세계 심근염 발생은 3,071,000명이라고 합니다. 당시 인구가 약 75억이었으므로, 발생율은  40.95명/10만명 으로 나옵니다.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18)32279-7/fulltext

한편, 다른 논문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심근염 발생율은  10~22/10만명 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2127272/

여러 논문에서 언급하는 것은, 심근염의 발생율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고 합니다. 모르고 지나가거나, 무시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16248742066706.jpg

55세 근처에서 남성과 여성의 발생율이 비슷해 지는 걸로 보아 어쩌면 남성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합니다.


심근염의 원인 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주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진균류 등과 같은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마약류나 특정 약물의 부작용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며, 면역관련 질병(타카야수 동맥염, 카와사키병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6월 11일까지   약 3억 도스가 접종 된 가운데, VAERS에 신고된 심근염/심낭염 보고는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보여지는 건수는 확인된 것은 아니며,  신고된 모든 숫자 를 분석한 것입니다.

16248742071108.jpg

모두  1,226건 이 신고되었으며, 화이저 백신 접종자가 791건, 모더나 백신 접종자가 435건 있었습니다.  주로 2차 접종 후  신고된 건수가 더 많았습니다(267 vs. 827).


16248742074396.jpg

주로 20~30대 가 많았으며, 역시  남성 이 훨씬 많았습니다(빨간 박스). 접종 후  증상 발현까지 날짜는 3~4일 정도 가 중간값이었습니다. 1차 접종 후 179일, 2차 접종 후 151일 이후에 심근염 발생이 신고된 경우도 있었으나, 표의 발생 범위에는 포함시키지는 않았으며, 건수로 카운팅은 되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건 신고된 것이지, 백신에 의한 발생이라고 확정적으로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즉, 백신 맞고 179일 이후에도 백신 때문에 심근염이 발생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다른 이유로 오랜 시간 후에 심근염이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16248742077204.jpg

주로  16~28세 사이에서 2차 접종 후 신고 건수가 많았 습니다(녹색 박스).


신고율 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역시 이것도 백신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것은 아니며, 신고된 건수를 모두 포함시켜 계산한 것입니다. (원본에도  Crude reporting rates  to VAERS에 밑줄을 그어 놓았습니다)

1624874208298.jpg


이중에서  29세 이하 신고된 케이스 484명을 검토 한 결과  323명이 CDC가 정한 심근염/심낭염 기준에 적합 하였고, 이중  309명 이 병원에  입원 하였으며, 295명이 퇴원하였습니다.  9명이 아직 입원 해 있는 상태이며,  2명이 ICU (집중치료실)에 있다고 합니다. 5명은 정보가 누락되어 확인이 불가능했다고 합니다. 14명은 입원 치료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12세~39세 사이에  실제 확인된(chart confirmed)  심근염/심낭염 발생율은 아래와 같습니다(6월5일까지 데이터).

16248742087882.jpg


1차 접종에 비해, 2차 접종 후에 더 많이 발생하였고(4.4 vs.  12.6 ), 화이저에 비해 모더나가 더 많았습니다(8.0 vs.  19.8 ).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이었던 2016년도 미국의 심근염 발생율은 15~18세에서 18명/100만명이었다고 했습니다. 이와 비교해 볼 때, 조금 더 많아 보일 수도 있는데, 이는 팬데믹 상황이라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사람이 증가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아마 추가적인 연구가 더 수행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은가 , 아니면 접종하지 말아야 하나? ACIP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제시합니다.


16248742091336.jpg


백신 접종을 통해 막아낸 코로나19 관련 입원이, 심근염 발생에 비해 훨씬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발생이 되는 것은 분명하니, 사전에 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심근염이 발생할 경우  증상은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함, 호흡곤란, 두근거림(심계항진) 이 나타납니다.

(EKG로 진단하며, 혈액 검사에서 troponin이 상승합니다. 초음파 검사나 MRI를 통해 심장 기능 저하가 나타납니다.

심낭염의 경우 가슴 통증이 있고, 청진기로 진단하며, EKG와 MRI검사를 통해 확진됩니다.

치료는 유지요법(supportive care)으로 치료하며, 각 상황에 따라 그에 따른 방법으로 대응합니다. 즉, 특별한 치료제가 없고, 증상이 있을 때, 그에 따른 대증요법을 쓴다는 것입니다. 완전히 회복되기 전에는 운동은 금지됩니다.)

이런 거 기억하실 필요는 없으시구요, 그냥 mRNA 백신 접종 후 1주일 이내에 가슴이 아프고, 호흡이 곤란해지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갑갑하고 그러시면, 곧바로 병원으로 바로 가셔서 도움을 받으시면 됩니다.


한가지 걱정이 있다면, 1,226건의 신고가 있었다는 사실과, 신고율이 66.7명/100만명이었다는 숫자만 크게 보도되어, 불안감을 자극하는 것입니다. 이는 신고율이며, 실제 백신 접종과 관련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신고된 모든 건수가 심근염 기준에 부합되는 것도 아닙니다.


요약)

1. 6월11일까지 mRNA백신 약 3억 도스가 접종된 가운데, 심근염/심낭염으로 VAERS에 "신고된" 케이스는 1,226건이었다.

2. 주로 젊은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하였다.

3. 이중에 심근염/심낭염으로 확인된 발생율은 1차 접종시 4.4명/100만명, 2차 접종시 12.6명/100만명이었다(12~39세).

4. 주요 증상은,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압박감, 두근거림 등이며,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대부분 자연 치유된다. 증상에 따라 대증 요법을 쓴다. ( 심근염 증상이 있는 경우 운동을 하시면 안됩니다.   청소년  접종의 경우  확실히 알 수 없으므로,  백신 접종 후 1주일 정도는  운동을 삼가하고  푹 쉬어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5. 심근염 발생의 위험보다, 백신이 주는 이익이 더 크다. (현재 미국에 9명이 입원해 있으며, 2명이 ICU에 있다)


추가)

ACIP는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1. 백신 접종 전에 심낭염(pericarditis)이 확인되었다면?   FDA의 승인을 받은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2. 1차 접종 후에 심낭염이 확인되었다면?   증상이 사라진 후에 2차 접종을 할 수 있다.

3. 백신 접종 전에 심근염(myocarditis)이 확인되었다면?   회복한 후에 FDA의 승인을 받은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4. 1차 접종 후에 심근염이 확인되었다면?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전까지 2차 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좋으며, 2차 접종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면 회복된 이후에 2차 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

16248742094458.jpg


mRNA백신과 심근염 발생 정보 (미국 CDC, ACIP 미팅 자료) (화이저, 모더나) : 클리앙 (clien.net)


0 Comments

제목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