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UCLA·존스홉킨스대 연구팀 제대혈 줄기세포 이식해 치료 성공 역대 세 번째 HIV 완치 사례 ⓒShutterstock 미국 의료진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여성 환자를 완치시켰다고 발표했다. 제대혈(탯줄과 태반에 들어 있는 혈액) 줄기세포 이식으로 완치에 성공한 첫 사례다. 인류 역사에서 HIV 완치 사례는 이번이 세 번째고, 여성이 완치된 건 처음이다. 'HIV도 치료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뉴욕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미 UCLA·존스홉킨스대 연구팀 제대혈 줄기세포 이식해 치료 성공 역대 세 번째 HIV 완치 사례 ⓒShutterstock…

테스트굿 0 70

미  UCLA· 존스홉킨스대 연구팀
제대혈 줄기세포 이식해 치료 성공
역대 세 번째  HIV  완치 사례


16450929379436.jpg Shutterstock



미국 의료진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HIV )에 감염된 여성 환자를 완치시켰다고 발표했다. 제대혈(탯줄과 태반에 들어 있는 혈액) 줄기세포 이식으로 완치에 성공한 첫 사례다. 인류 역사에서  HIV  완치 사례는 이번이 세 번째고, 여성이 완치된 건 처음이다.  'HIV 도 치료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뉴욕타임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본 브라이스 미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 UCLA ) 박사와 데버라 퍼소드 존스홉킨스대 박사팀은  15 일(현지 시간) 온라인으로 열린 '레트로바이러스 및 기회감염 콘퍼런스( CROI )'에서  HIV  완치 사례를 발표했다.

완치 환자는 중년 혼혈 여성으로  2013 년  HIV 에 감염됐고,  2017 년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진단받았다. 의료진은  2017 년 8월 환자에게  HIV 의 인체 세포 침투를 막는 변이를 가진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식했다. 환자는 이후 6주간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가족에게서 수혈을 받았다.

이 환자는 이식  37 개월 후인  2020 년 말부터 약물 치료(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중단했다. 이후 1년 2개월이 넘게 환자의 혈액에서  HIV 가 검출되지 않았다. 백혈병도 완치됐다. 의료진은 줄기세포 이식 후 이 환자의 체내 면역체계가 발달했다고 판단했다.

기존  HIV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 2명은 백인 남성과 라틴계 남성이었다. 이들은 성체줄기세포 골수 이식을 받았다. 비싸고 위험한 수술이었다. 한 명은 이식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인 '이식편대숙주병( GVHD )'을 앓았다. 다른 한 명도 청력 상실과 여러 감염을 겪었다.  3800 만명이 넘는  HIV  환자 중 특수한 2명의 치료 사례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번 여성  HIV  환자 완치 사례는 △조건이 까다롭고 여러 위험이 따르는 골수 이식 대신 제대혈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큰 부작용이 없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HIV 는 인체의 면역세포에 침투해 면역체계를 망가뜨리는 바이러스다. 무증상 잠복기만  10 여 년이다. 이후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을 일으켜 각종 감염성 질환과 종양이 발생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 등  HIV  약물 치료제도 나왔고, 에이즈에 감염돼도 만성질환처럼 잘 관리하면  30 년 이상 생존할 수 있다.  HIV 는 식사, 화장실, 목욕탕 사용 같은 일상생활 중의 신체 접촉으로 옮지 않고,  HIV  보균자와 성관계를 한다고 무조건 감염되는 것도 아니며,  HIV 에 감염된 산모가 약물치료만 잘 받아도 아기에게 감염될 확률이 5%대로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