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햄버거 배달시키면 매장보다 비싸…소비자는 배달료 ‘0’ 착각
햄버거 배달시키면 매장보다 비싸…소비자는 배달료 ‘0’ 착각
고영득 기자 [email protected]
햄버거 세트를 배달 주문하면 매장에서 사먹는 것보다 최대 1200원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주요 햄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구매 방법에 따라 가격에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아 소비자의 알 권리 및 제품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맘스터치를 제외한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KFC의 모든 제품이 배달 주문과 매장 구매 가격에 차이가 있었다. 배달로 주문하면 햄버거 세트는 1000~1200원, 햄버거 단품은 700~900원, 사이드 메뉴는 600~700원, 음료는 500~700원 더 비쌌다.
이에 대해 4개 업체는 일정 금액 이상을 배달로 주문하면 별도의 배달료를 청구하지 않는 대신 제품 가격에 배달료 등 배달 서비스 비용을 포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소비자원은 “배달 제품 가격 차별화는 시중 배달료를 고려하면 소비자에게 일부 유리한 경우도 있지만, 제품을 여러 개 배달시키면 매장 구매 때보다 더 많은 금액을 부담하게 된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들 4개 업체에서 무료 배달이 가능한 최소 주문 금액에 맞춰 햄버거 세트와 사이드 메뉴를 구매해보면 배달 가격이 매장 가격보다 1200~3100원 비싸다. 또 4인 가구를 기준으로 각 업체에서 특정 햄버거 세트를 4개씩 주문하면 배달 가격이 매장에서 구매했을 때보다 최소 4000원에서 최대 4800원까지 비싸다.
4개 업체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살펴보니 주문 및 결제 과정에서 배달과 매장 가격이 다르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는 2곳뿐이었다. 하지만 요즘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배달 앱에서는 4개 업체 모두 해당 정보를 알리지 않고 있었다. 관련 내용이 전혀 없거나 배달료가 ‘0원’ 또는 ‘무료’로 표시되고 있었다.
영수증에도 제품 가격 외에 배달료는 따로 기재돼 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최소 금액 이상 주문하면 매장과 동일한 가격의 제품을 배달료 없이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된다. 블로그나 인터넷 카페에서는 “1만2000원 이상만 주문하면 배달료가 없다. 돈 번 느낌이다”라거나 “다른 데와 달리 배달료가 붙지 않아 너무 좋다”는 글들을 볼 수 있다.
소비자원은 조사 대상 업체에 주문받거나 결제할 때 주요 거래 조건을 명확히 알릴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배달 앱 사업자에게는 매장과 배달 가격이 다르다는 사실을 보기 쉽게 표시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