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은 한식일까... 전문가 "잡채의 역사에 그 해답이 있다"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산업·도시화 거쳐 생겨난 음식 중
한식이라 생각하는 것들도 많아"
"한식의 정의에 집착하기보다는
K푸드 개념 고려해 응대하는 게 중요"
게티이미지뱅크
한식진흥원이 올해
8~9
월 해외 거주 외국인 8,
500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가장 선호하는 한식 메뉴로 '치킨'이 1위(
16.1
%)에 올랐다. 반면
10
월 전국 만
19~69
세 한국인 1,
500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프라이드 치킨이 한식이라는 답변은
36.1
%에 불과했다. 양념치킨을 한식으로 보는 응답자는
54.9
%였다.
치킨에 대한 외국인과 한국인의 극명한 인식 차를 보여주는 조사다. 그렇다면
치킨은 한식이라 할 수 있을까.
28
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그러나
한식이냐 아니냐에 집착하기보다는 외국인이 생각하는 K푸드의 개념을 고려해 응대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한류드라마를 본 외국인들이 삼겹살, 소주, 떡볶이, 파전 등에 관심 갖는다는 사실을 예로 들며 "그 인식 차이를 서서히 메꿔가는 과정에 있다"고 했다.
주 교수는 치킨이 한식이냐 아니냐는 질문엔 즉답을 피했다. 다만
"치킨이 K푸드인 것은 분명하다"
고 했다. 그는 K푸드를 "한식뿐만 아니라 한국음식점에서 나오는 메뉴, 한국식품공장에서 생산하는 식품"으로 넓게 정의했다.
주 교수는 한식이 절대적이고 고정적인 개념이 아님을 강조하는 것으로 답을 대신했다. 그 예로 떡볶이와 잡채의 역사를 들었다. 그에 따르면 떡볶이는
1960
년대 이후 먹기 시작했다. 또 조선시대와 달리 잡채에 당면이 들어가게 된 것은
1930
년대부터다. 그때 중국의 당면, 일본식 간장에 한국인의 무치는 방식을 혼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주 교수는 "시간이 흐르면서 '당면 잡채'가 아닌 '잡채'라고 불렀고 '한식의 대표 주자'라 생각하는 경향이 만들어졌다"고 했다. 그는
"이처럼 우리가 생각하는 한식은
20
세기 산업화·도시화를 거치면서 생겨난 결과물도 많다"
며 한식을 고유의 전통음식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주 교수는
"'한식이 좋다'는 구호만 외치지 말고 우리가 소비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는 점도 덧붙였다. 그는 "가령 마라탕의 경우 중국음식인데 신선로와 똑같은 역사를 갖고 있다"며 "신선로 요리법을 진화시켜서 맛없게 변한 이 음식을 유행시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