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 한국영상자료원 [삼포가는 길] 블루레이 출시예정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예약] 한국영상자료원 [삼포가는 길] 블루레이 출시예정

하늘궁댕이 1 51


16369501023379.jpg

이만희의 유작 <삼포가는 길> 블루레이 출시

한국영상자료원이 한국영화사의 대표작이자 이만희 감독의 유작인 <삼포가는 길>(1975)을 블루레이로 출시한다. 한국영상자료원이 기획하고 블루키노가 제작한 24번째 블루레이 타이틀이다. 황석영의 원작을 영화화 한 <삼포가는 길>은 한국영화사를 대표하는 영화작가 이만희의 유작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만희는 이 영화를 편집하던 1975년 4월 3일에 쓰러져 4월 13일 작고했고, 영화는 이후 제작사에 의해 최종 편집되어 국도극장에서 개봉되었다. 1975년 대종상 영화제에서 우수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남우조연상 등 7개 부문을 석권했다.

하층민의 고단한 삶을 따뜻하게 감싸는 로드무비
이 영화는 한국영화사에서 흔치 않은 로드무비 장르에 속한다. 로드무비는 사전에 조밀하게 구성된 플롯이나 캐릭터에 기반하는 일반적인 장르영화 달리 등장인물들의 행로에서 발생하는 우발적인 사건과 만남, 그 과정에서 성장하는 등장인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술집에서 일하는 백화(문숙), 10년의 감옥 생활을 마치고 막 출소한 정씨(김진규), 전국을 떠돌며 육체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영달(백일섭) 세 하층민 남녀의 고단한 행로를 그리고 있는 이 영화 역시 마찬가지다. 이들은 우연히 강원도 산길에서 만나 일행이 된다. 한겨울 눈보라가 치는 강원도 산길을 헤치는 그들의 행로는 고단하기 짝이 없으나, 그 과정에서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보살피고 사랑을 나누며, 종국적으로는 헤어짐을 겪는다. 영화는 이들의 삶과 이야기에 주의깊에 귀를 기울이며 그들의 사연을 관객에게 전달한다. 하층민, 우리 주위의 이웃에 대한 따뜻한 관심은 이만희 영화의 여러 특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편 로드무비의 단순하고 느슨한 구조 속에서 이만희는 다양한 영화적 실험을 감행한다. 단순한 실험을 위한 실험이나 새로움을 위한 새로움이 아니다. 이들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선 영화적인 순간을 느끼게 하며, 영화가 끝난 후에도 알 수 없는 여운에 잠기게 한다. 이 영화가 당대의 평범한 대중영화를 넘어서는 이유다.

여전히 새로운 영화작가 이만희
이만희는 2000년대 이후 한국영화사에서 상대적으로 새롭게 발견된 감독이라 할 수 있다. 비록 <돌아오지 않는 해병>(1963), <만추>(1966), <삼포가는 길>(1975) 등의 대표작이 그에게 명성을 주었으나, 그의 영화세계 전모가 제대로 파악되거나 감독으로서의 진가가 인정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의 회고전, 2006년 한국영상자료원의 전작전 등을 통해, 몇 편의 문제작을 제외하면 주로 군사영화, 반공영화, 멜로드라마, 스릴러 액션영화 등 장르영화의 감독으로 주로 알려져 있던(그리하여 다소 폄하되었던) 이만희의 진정한 영화세계가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그는 한국영화사를 상징하는 감독 중 한명으로, 우리 세대 씨네필이라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름이 되었다. 그러나 그의 영화들이 충분히 탐구되었다고 할 수 없다. 주목받지 못하는 영화가 아직도 많고, 기존에 알려진 영화라 하더라도 그 의미가 충분히 밝혀졌다고 할 수 없다. 이미 널리 알려졌다고 생각되는 <삼포가는 길> 역시 마찬가지다. 여전히 그는 발견을 기다리는 감독이다.

아주 특별한 코멘터리와 부록영상, 소책자
영화평론가 정성일의 코멘터리는 언제나 그렇듯 특별하다. 그는 러닝타임 내내 영화의 구석구석을 살피며 <삼포가는 길>이 왜 특별한지, 이만희라는 감독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꼼꼼하고 상세하게, 그리고 독창적으로 논변한다. 이와 함께 소책자에 수록된 뉴욕시립대학교 한남희 교수의 글은 영화학자로서 <삼포가는 길>의 영화적 실험성과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이 두 해설은 <삼포가는 길>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주인공 문숙 배우의 특별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영화에 얽힌 흥미로운 에피소드, 이만희 감독의 연출 스타일, 캐릭터를 구축하기 위한 과정 등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특히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이만희 감독이 마지막까지 포함하지 않으려 했다는 증언은 매우 흥미롭다. 이 서플먼트들을 통해 관객들은 이 영화의 깊이와 의미를 새겨볼 수 있을 것이다.

* 문숙 배우 친필 사인 엽서 증정(100장 랜덤증정

소책자 Booklet
- 소책자 (한글, 영문) BOOKLET
- 고화질 엽서 3종 세트 POST CARDS






- 이미지 자료모음 Image Gallery

- 복원 전후 영상 Digital Restoration : Before & After

자막 Subtitle : 한국어 Korean
- 문숙 인터뷰 Moon Sook Interview

Commentary by Chung Sung-ill(Film Critic & Director)
정성일(영화평론가 & 감독)
- 음성해설 Commentary

스페셜피쳐 Special Features


1 Comments
당면만두똥만… 2021.11.15 13:00  
삼포가는길은 영화보다 tv문학관판이 더 낫다고 들었는데...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