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에 대해서

청약에 대해서

뽐닥 33 844
부린이 질문 좀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무주택에 미혼이라 연로하신 아버지와 같이 살고 있는데요.

 

Q1. 청약홈 사이트에 보면 특별공급 이거에 노부모부양 하면 52점정도 나오는걸로

특별공급이 당첨이 된다면요. 당첨 후에 입주일 전후로 저희 아버지가 같이 세대원으로

제 밑으로 들어가서 같이 거주해야 하는건가요? 맞다면 언제까지 그래야 하는가요?

왜냐면 현재 특별공급이 거의 서울이는 없고(제가 청약홈 사이트밖에 할줄 몰라서)

아버지는 월세일지라도 서울 안떠나신다고 하시는 피력이 강하셔서요. 

 

Q2. 청약홈 말고 보통 온라인상 청약은 어디서들 하시나요? 다른곳도 있는건가요?

청약은 아무래도 새 아파트인걸로 알고 있는데, SH나 LH등 뭐 그런곳도 있는지

어디서 윤곽을 잡고 들여다고보고 공부해야할지 도통 모르겠더라구요. 청약홈 이거 하나만 알고

있습니다.

 

집값은 계속 오르는데 제 수입은 그 이하에 참 대출도 잘 안나오고 죽겠네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33 Comments
뭐이리 2021.08.11 19:30  
노부모 특공 52로 서울에서 청약 못 받습니다.
뽐닥 2021.08.11 19:30  
아 특공도 그 이상의 점수가 허다한거예요? 어떻게 그렇게될까요? 처자식이 없을 뿐, 제 조건에서는 가점들을 어지간히 최대로 받은거 같은데 말이죠, 청약통장은 8~9년차라 52점까지지만 
-Kevin… 2021.08.11 19:30  
님이랑 비슷한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거죠.

점수는 님만 오르는게 아니라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이 같이 오르니까요.

청약시장이 별로 일땐 정말 좋은곳이 아니면 사람들이 청약을 안하지만,

요즘은 공급도 없고, 서울 어디든 청약 넣어서 당첨되면 몇억은 우습게 남으니 가점 높은 사람들이 다 청약 넣는거죠.

뽐닥 2021.08.11 19:30  

@-Kevin- 흠 저처럼 노부모 한분 모시는 홀자식이 꽤 많다는 말이 되겠군요? 서울이 희망이긴 하지만 서울이 안되면 수도권측의 경기도로 넣어보려는겁니다. 많이 오를 확률이 높거나 과열지구 뭐 그런 곳들 아니더라도

-Kevin… 2021.08.11 19:30  
서울 청약 당첨점수 커트라인을 한번 찾아보세요.

52점으론 서울이 아니라 경기도 외각도 힘든 점수입니다.

쿠쿠빈 2021.08.11 19:30  
노부모특공 52점이면 경기도 외곽은 가능

공고일 이전에 3년같이 살고

청약자가 세대주에 부모님도 무주택이여함

민간은 자산안보고 공공은 자산봅니다

서울은 힘들듯 합니다

-Kevin… 2021.08.11 19:30  

노부모 특공 52점이면 현시점에서 경기도 외각도 힘듭니다.

민간분양만 노부모 특공 가점제고, 공공분양(사전청약)은 청약통장 인정금액 순입니다.

민간분양은 공급이 거의 없기도 하고 요즘 일반분양 가점이랑 노부모 특공 가점이랑 컷라인이 거의 비슷합니다.

뽐닥 2021.08.11 19:30  

@쿠쿠빈 그래도 특공인데 ㅎㅎㅎ 서울은 이래저래 힘든가보군요. 민간은 아파트마다 나눠지는거죠?

뽐닥 2021.08.11 19:30  

@-Kevin- 포천을 넣어보려 했었는데 그 마저도 힘들 수 있다는거네요. 이건 뭐 경쟁 축에도 못끼니

-Kevin… 2021.08.11 19:30  

@뽐닥 되든 안되든 일단 넣어보세요.

지금은 청약시장이 초과열 상태라 가점 점수컷이 상당히 높습니다.

자녀가 2명있어도 서울은 힘들어요.

쿠쿠빈 2021.08.11 19:30  

@뽐닥 윗분말 그냥 참고만 하세요..

계속 안된다는 얘기만 하시네...

제지인이 25점으로 노부모 당첨되서 알아요

5채 나왔는데 4명 지원했어요ㅋㅋ

지금은 분양가대비 3억오름

포천 민간에 세대수 나름 크면 노부모

배정 그래도 10채는 납니다

신특이랑 생초에 비해서 경쟁율 낮은게

노부모에요 10채인데 운좋게 10명지원하면

점수고 나발이고 당첨이에요

쿠쿠빈 2021.08.11 19:30  

@-Kevin- 노부모 얘기하는데 자녀얘기는

왜하세요??

신특아니잖아요?딴소리를 하시지

미혼에 노부모라잖아요ㅋㅋ

제대로된 정보좀 드립시다

-Kevin… 2021.08.11 19:30  

@쿠쿠빈 시력이 안좋아서 밑에 댓글이 안보이시나?

뽐닥

쿠쿠빈 2021.08.11 19:30  

@-Kevin- 경기도 외곽 노부모 특공 경쟁율

보신적은 있으세요?제가 경기도권 노부모

특공 50건은 넘게 경쟁율 봤는데요?

실제로 신특이나 생초 10대 1 나올때

노부모 2대 1이나 3대 1 나와요

자격만 되면 어느특공보다

확률 높은게 노부모란 소리입니다

로또 분양 얘기하기는게 아니라

그나마 경쟁율 덜한 노부모 얘기하시니

제가 나름 노부모 많이 봐서 얘기드린겁니다

좀 알고 쓰세요 그냥 막연히 52점이니

경기외곽도 힘들다고 쓰지마시고

이분 상황에 맞게 조언해주시는게

좋지않을까요?

왜자꾸 다른특공하고 얘기하시냐구여

이분은 노부모라잖아요 3기신도시는

신특이나 생초고

아 답답하네 노부모얘기하는데

신혼부부들 넣는 3기신도시 얘기를 하시네

-Kevin… 2021.08.11 19:30  

@쿠쿠빈 포천중에서도 그런곳은 그냥 분양권 사면됩니다.

무피인 아파트도 포천은 허다하고, 피 붙었다고 해봐야 얼마 안합니다.

아시는분이 포천에 분양 받으셨다는 아파트 분양권 피 얼마나 붙었는지 궁금하네요.

제가볼댄 무피나 한 500정도 붙었을거 같은데요?

그런곳에 청약 넣는거 큰 의미없습니다.

분양 받을려는 목적이 시세보다 싸게 받을려고 하는건데 그런곳에 청약이 가능하니 마니가 무슨 의미가 있을지요?

 

참고로 3기신도시 노부모 특공있습니다. 공공분양이라 인정금액인거죠.

제발 잘 모르시면 그만 하세요.

쿠쿠빈 2021.08.11 19:30  

@-Kevin- 이분은 그냥 노부모 특공

넣으셔서 청약당첨되고 싶다는 얘기인데

여기서 무피니 청약의미가 없다느니

딴소리를 하세요?왜 자꾸 이상한 얘기를 하실까요?

그냥 이분질문한것만 조언하시면 됩니다

뭔 포천에 청약 의미가 있냐는둥

이상한 얘기하지마시구여

하 진짜 잘알지도 못하면서

가능성 없다고 딱 잘라말하고

제대로 아는것만 얘기합시다

-Kevin… 2021.08.11 19:30  

@쿠쿠빈 아니 분양권 프리미엄도 안붙는곳에 청약을 왜 넣냐구요?

청약을 하는 목적이 주변시세보다 싸게 아파트 살려고 하는거 아닙니까?

분양권 사면 내가 원하는동 원하는 호수 골라서 살수 있는데 청약해서 분양을 왜 받는건지 ㅎㅎ

제가 말한 경기도 외각의 수준은 포천이 아닙니다.

본인이나 분양권 프리미엄도 안붙는곳에 청약 열심히 넣으시고 남한테는 강요 하지마세요.

뽐닥 2021.08.11 19:30  

@-Kevin- 네, 우선 어제도 충남이었지만 신청까지 해봤었는데, 경기도라도 나오면 넣어봐야겠어요. 최근 일정이나 다음달까지 봐도 청약홈에서는 딱히 서울쪽은 절대 안나오더라구요, 관심없던 작년인가 재작년에는 심심찮게 신내동도 나오고 저희 동네도 나오고 그랬었는데 왜 그 땐 관심이 없었는지 요즘같아서는 더더욱 후회가 되네요.

뽐닥 2021.08.11 19:30  

@쿠쿠빈 청약신청하는 거 자체가 당첨전까지 어떤 비용이 들지 않는다면 시간정도는 투자해서 얼마든지 넣어는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25점은 대단하네요 ㅎㅎㅎ 노부모보다는 아무래도 신특이나 생초가 더 많을 듯 해요. 노부모와 같이 사는 자식들이 많지도 않을 거 같고. 아무튼 청약일정이 떠야 뭐라도 해보겠는데, 웃긴건 정작 아버지가 서울을 안뜨려 합니다. 미련이 너무 남고 적응하기 힘드실거같아 그러신건지 모르겠는데, 어차피 가면 또 다 적응하게 되어있죠, 지금도 집에서 거의 하루종일 잠만 주무십니다.

뽐닥 2021.08.11 19:30  

@-Kevin- 논쟁까진 필요없어 보이구요^^ 전 부린이고 아파트가 꼭 아니어도 빌라도 살고 싶은 심정인 사람이긴 합니다. 그래도 기왕이면 청약가 자체가 말씀하신 미친듯이 올라버린 주변 아파트 매물보다는 접근성이 그나마 가능할까 싶어 생각한 것 뿐이죠. 실거주이고 어떤 차익을 원하는 시작점도 아닌지라 프리미엄이 뭔지 몰라도 어떤 추후 차익 이익같은 거 같은데, 전 별 이변이 없는 한 오랫동안 실거주 할 생각으로 넣을 것 같습니다. 내 집 마련이 목표라

뽐닥 2021.08.11 19:30  

@쿠쿠빈 ㅎㅎㅎ 논쟁까진 서로 피해주시구요(기분좋게)^^ 어떻게든 말씀들하셔도 제가 알아서 걸러 뽑아 듣겠습니다.

제 선에서는 미혼에 무자녀이니 당연히 같이사는 아버지로 노부모부양 특공이 그나마 점수가 나올 것 같아서 시도해보려한게 맞아요, 실거주라 기왕이면 좋은 곳에 되고 싶지만요, 어차피 벌이도 그렇고 대출받아서 가겠지만 그 이상의 비싼 곳은 제가 유지능력도 되진 못하죠. 그래도 3~5억짜리 청약 시작가인 가능하다면 서울인거고 안되면 경기도라도 입지 좋은곳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꽤 늦은감이 있긴하지만요. 불과 1~2년전만해도 기회가 꽤 많아보였던 기억이네요.

뽐닥 2021.08.11 19:30  

@-Kevin- 노부모+자녀2명 이상이 되어도 서울은 힘들다는 말인가요? 다른건 다 만족하는것 같긴하거든요. 1순위에 아무튼 가상계산으로 52점정도 나오긴했어요.

-Kevin… 2021.08.11 19:30  

@뽐닥 

일단 프리미엄은 분양권 원 가격에 차익을 붙여서 파는 금액을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분양권 1억 프리미엄 5천 이면 분양권이 1.5억에 거래가 되는거죠.

그런데 포천은 프리미엄이 하나도 안붙었거나, 소액 500-1000정도 붙은곳이 허다합니다.

그래서 포천 같은곳(비선호지역)을 원하신다면 청약을 하실 필요없이 포천 부동산 가셔서 분양권 구매하시면 됩니다.

청약을 하게되면 동, 호수는 랜덤배정이지만, 분양권을 구매하게되면 원하는 동, 호수를 골라서 살 수있기 때문에 그런곳은 청약을 하는 의미가 없습니다.

청약의 본질은 주변에 있는 아파트의 시세보다 싼 가격으로 분양권을 사기위해서 하는것인데,

프리미엄이 없는곳은 청약의 의미자체가 없는거죠.

-Kevin… 2021.08.11 19:30  

@뽐닥 서울은 가점도 가점이지만, 가용자금이 있어야합니다.

실거주 필수라 전세도 못주고요. 분양가격의 반정도는 현금으로 들고 있어야 된다고 보시면됩니다.

뽐닥 2021.08.11 19:30  

@-Kevin- 아 분양권에서 더 붙어 거래가 될 수도 있는거군요. 그 거래라함은 xx공사와 첫 거래 시 적용되는 부분인가요? 아니면 당첨 후 개개인간의 거래에서 프리미엄이 붙고 시작되는건가요.

부동산에서도 분양권을 구매한다는건 그냥 집을 알아보는 과정을 말씀하시는건가요? 물론 웹사이트나 네이버부동산 등도 원하는 층, 호수 고를 수 있긴하죠. 그런 거래 말고 청약의 잇점은 당연히 xx공사가 직접 공식적으로 초기청약금액으로 진행되는 부분을 알죠. 저는 다른거 없고 포천이 이미 분양이 지난 보통 분양권과 청약분양권의 금액차이가 거의 없더라만 프리미엄을 떠나서 청약으로 구매하진 않겠지만 프리미엄을 빼더라도 청약이 좀더 싸지 않나 싶고, 아주 새 집이니 그 의미도 좋을 것 같긴하네요 ㅎㅎ 말씀하신 프리미엄의 위력을 청약이 발휘한다는 말씀이군요. 알고는 있습니다만, 그러던 저러던 청약이 단순히 가격이 더 저렴히 새 아파트라는 점에서 생각해봤습니다. 많은 정보 감사합니다.

뽐닥 2021.08.11 19:30  

@-Kevin- 네, 가용자금이라면 최소 계약금부터 뭐 중도금, 잔금 이런거죠? 중도금도 완공 사이에 몇달 주기로 나눠 내기도 하는 것 같은데 이런건 또 어떤건지 어떻게 알아봐야할지. 배울게 많네요. 분양가격의 반이라 ㅎㅎㅎㅎㅎㅎ 아무래도 안전히 하려면..

뽐닥 2021.08.11 19:30  
아 그러면 아무래도 처자식이 2명이상 있어야 하나요?
지킬박사님 2021.08.11 19:30  
52점으론 광탈.
뽐닥 2021.08.11 19:30  
그럼 최소 몇점씩 이상일까요?
kitcar 2021.08.11 19:30  

모집공고일 3년전에 세대원으로 들어오셔야합니다...

뽐닥 2021.08.11 19:30  
그게 무슨말씀이신지, 세대원 이야기는 제가 청약된 후에 아버지가 노무보에 해당되고 그 조건으로 들어가는것이니 같이 가야만 하는건지 물어본것이고 제가 현 집에서 세대주로 아버지가 세대원으로 된게 2015년 5월부터 쯤 됩니다.
kitcar 2021.08.11 19:30  

제가 잘못봤습니다...

같이 거주하는건 맞는거 같은데 기간은 저도 궁금하네요...

뽐닥 2021.08.11 19:30  

@kitcar 아 그러셨군요. 세대원은 어차피 20년넘게 같이 살아왔기에, 다만 세댁주는 5년전부터라 3년은 초과되어 문제는 없을겁니다.


제목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