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한동남기기로 공급자체가 줄어든 건 아니지않나요?

근데 한동남기기로 공급자체가 줄어든 건 아니지않나요?

conste… 5 623

재건축 재개발 괴롭힌 대표적으로 눈에 보이는 정책인데다가, 암만 생각해봐도 정상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쉴드를 치지 못하겠지만

 

어차피 한동남기기 한 것들 공용시설로 들어갈테니 용적률 산정에는 안들어갈 것이고..

 

물론 단지가 참 안이쁘게 빠지겠지만서도 공급자체가 줄어드는 건 아니지 않나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물론 저런 헛짓거리가 없었으면 개포 1,4단지가 조금이라도 더 빨리 입주했을 것 같기는 합니다만 ㅎㅎ

5 Comments
<img s… 2021.09.28 19:38  
그게 진짜 보존가치가 있어서 그러라고 했을까요?

그냥 하지말라고 괴롭히는거였죠

conste… 2021.09.28 19:38  
시장님의 변태같은 취향에서는 보존가치가 있었을지도 모르죠 뭐 ㅎㅎ

 

서울로에다가 슈즈트리 전시한 것만 생각해봐도 ㅎㅎ(근데 이거 며칠 안하고 철거한건데 모르시는 분들도 많은 것 같더라구요)

 

사실 슈즈트리 전시하든말든 상관없고, 저는 서울로의 혜택을 보고있는지라 그래도 참기는 하지만.. 여기 고가를 철거해놓고 교통대책은 안세워두고 염천교 지날때마다 화딱지가 나기는 합니다 ㅎㅎ 뭐 정책중에 이해되는 게 얼마나 있겠어요

K바이든 2021.09.28 19:38  
1동 남기기가 기부채납의 퍼센트 먹은 부분이었어요. 5층 짜리 하나 존속할 공간 뿐만 아니라 주변 부지까지 문화역사박물관 공원이라는 명칭으로 같이 짜지니 신축 기준으로도 한 동 이상 뽑는 부지가 소모되는거였죠. 만약 한 동 남기기 대신 임대주택으로라도 변경했다면  200세대는 더 늘어나요. 
conste… 2021.09.28 19:38  
부지 자체는 소모되기는 한데, 어차피 용적률 제한때문에 공급되는 호수 자체는 차이가 없지않는가 생각해보는겁니다.

 

고도제한이 심한 지역도 아닌걸로 알아서(개포3단지는 고도제한때문에 한 동이 낮다고 들었는데) 아무튼 그만큼 층수 올리면 그만이니까요? 개포1은 용적률 249.93%네요.

 

개포2/3이나 개포시영도 용적률 249%인걸 생각해보면 그건 별 차이없을겁니다.

drwhy 2021.09.28 19:38  
동간격 녹지비율등 전체 단지의 상품의 질이 떨어질뿐이지 공급양과는 큰 관계 없었을것같긴 합니다. 

제목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