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대로 미 연준 25bp 인상

예상대로 미 연준 25bp 인상

이놀도 10 434
한국은 현재 세계 최고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라 

일단 이번달은 인상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 연준이 구두개입으로 6번 25bp씩 올려서 연말 1.75~2.00% 까지 

올릴 수 있다고 시장의 인플레이션 심리를 잠재우려고 했습니다만. 

 

일단 다 올린다고 치면 금리 역전까지 허용하기는 

우리나라도 물가 불안이 심해서 2%에서 2.25%까지 

3~4번은 올릴 가능성도 염두해 두어야는 하겠습니다. 

 

물론 구두개입 성격이라 실제 올린 것은 아니고 

여러 모를 이벤트가 생길 수도 있으니 

실제 인상 폭이 예측치를 하회할 때도 대비하구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030553

 

 

10 Comments
핀크 2022.03.17 13:00  
늦으면 더 올리기 힘듭니다. 이번에 한 번 올릴거예요.
이놀도 2022.03.17 13:00  
코로나 팬데믹만 아니면 저도 올릴 타이밍이라고 보는데  애매하네요. 어차피 미국보다 1.5%이상 높게 설정하거나  0.75% 보다 낮게 설정하기는 대한민국이 무역국이라 힘드니까  큰 추세에서 그냥 연준따라 간다고 보면 좋을 듯 합니다. 
라이온의하트 2022.03.17 13:00  
이번 달은 금통위 없는 달입니다.
이놀도 2022.03.17 13:00  
물가 압박이 심해지면  4월에는 할 수도 있을 듯요.  하루 50만씩이면 1번이상 걸린 사람이  60% 넘으면 아무래도 전파력 약해질터이니 
라이온의하트 2022.03.17 13:00  
4월에는 해야할거 같은데 4월은 FOMC도 없고 윤통 취임전이라 5월에 할지도요.
이놀도 2022.03.17 13:00  
@라이온의하트  아마 부담스러워서 5월에 할 걸로 생각하는데  4월에 할 가능성도 20% 정도는 있어 보여요.  예금금리가 낮아서 어차피 최상급지 부동산 선호 현상은 안 사라지겠죠.  기준금리 2.5%는 넘어도 정부 발표 물가상승률 대비 1% 낮아서  인플레 헷지를 위한 초고가 최상급지 선호 현상은 안 사라질 듯요. 
퇴근시켜주세… 2022.03.17 13:00  
미국과 1%정도 차이는 둘거라고 생각해요. 미국이 연말 1.9%니까 우리도 2.9%정도까지는 올려야하지않을지
이놀도 2022.03.17 13:00  
미국은 인플레8% 우리나라는 아마도 4% 수준인데  미국보다 굳이 100bp 더 높게 설정할지는 모르겠네요.  대개는 대내외 여건을 보고  -75bp에서 +150bp 내에서 결정하는 거라.  필요에 따라선 그리할 수도 있겠죠. 
퇴근시켜주세… 2022.03.17 13:00  
한국이 미국보다 높아야되는건 자금이탈을 막기위해선 필수적인거같고 물가인상도 우리나라는 주거비가 빠져서 미국대비 낮게나오는거라 안심할 상황은 아니라거 생각됩니다...
이놀도 2022.03.17 13:00  
@퇴근시켜주세요!  실제 주거비용보다 물가지수의 반영율이 낮죠.  수도권기준으로 잡아야 하는데 전국 평균으로 퉁치니   월세가가 폭등하고 있어서 미국식으로 물가상승률을 잡으면  만만치 않을 거로 봅니다. 

제목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