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주택자들은 이미 대응 끝났어요... 투매 나올수가 없음.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다주택자들은 이미 대응 끝났어요... 투매 나올수가 없음.

kdfsd 14 394

 자꾸 집 한번 안사본 사람들이 금리 오르면 다주택자들이 던질거다...

집한채 있는 일반인은 안던져도 다주택자는 다르다고 그러시는데.

 

금리 오르면 오히려 집한채 있는 사람들이 더 피곤하고, 다주택자들은 진즉에 세팅 끝내놨습니다.

 

하도 모르고 이야기들 하시니 굳이 설명을 좀 드릴게요.

어차피 설명해줘도 안듣고 라하 보러 가시고, 금리 오르면 매물 나올거라고 믿으실건 아는데.

그래도 종교가 아닌 이성으로 접근하시는 분들도 계시니까.

 

첫째, 다주택자들은 양도세 중과 되기 전에 못난이들 정리했습니다. 

입법후 적용까지는 시간이 걸리는데, 양도세 중과 같은 경우는 거의 1년 정도 시간이 주어졌습니다.

올해 6월 전까지 지방매물이나 못난이들은 왠만큼은 정리 끝냈습니다. 

특히 법인 같은경우는 급하게 정리했을겁니다.

올해초까지 강남권 세무사들은 증여때문에 난리였고, 5년이상 종부세 피할 수 있는 저가 재개발 물건들(특히 장관 후보들이 산 도로지분 30평 이상 같은거)은 품귀이거나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었습니다.

 

둘째, 다주택자들은 대출이 없습니다.

이건 이번 정부가 만들어준건데요.

최근 3년내 구입한 사람들은 다주택 구입시 대출을 막아놔서 그냥 쌩돈으로 구입했기 때문에... 대출이 없구요.(신용대출 쬐금 있을 순 있는데, 어차피 의사정도 아니면 3~4억씩은 안나옴)

 그 전에 구입한 사람들은 갭으로 구입했기 때문에... 지금 전세금 오른걸로 대출이 이미 상환 끝났거나, 즉시 상환 가능할겁니다.(전세금 오른 돈으로 대출 더 받아 땅을 더 샀다거나 하지 않는이상)

 

셋째, 금리는 그렇게 급격하게 오를 수 없습니다.

한은에서 자꾸 금리인상 겁을 주는 이유는 반대로 경제체력상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상황에서 자꾸 인플레 우려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도 그럴것이 돈이 엄청나게 풀려서)

 

이래저래 금리가 오르면 무주택자가 가장 힘들어지고,

그다음은 1주택자(영끌해서 산), 마지막으로 힘든게 다주택자라고 보심 됩니다.

 

그리고 애초에 다주택자들은 경제지능이 엄청나게 높습니다.(학력따위랑 관계없이 거의 본능임)

이미 세팅 다 끝내놓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14 Comments
스파르타쿠크… 2021.07.01 16:30  
최근에 읽은글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쉽네여 ㅠㅠ

이런분이 가까이 계셨으면 많이 여쭙고 싶은데 아쉽슴미다 

kdfsd 2021.07.01 16:30  

유투버 부읽남 추천드려요.

그 분 동영상만 다봐도 눈이 틔이실겁니다.

K바이든 2021.07.01 16:30  

깔끔한 정리네요. 애초에 대출도 없기에 쫄릴거 하나 없다. 3년 전 다주택자들은 이미 전세금 세팅으로 원대출 이상 수익 나왔고 그 이후 구매자들은 애초에 대출 안나와 없고 ㅎㅎ. 결국 금리 올라가서 투매 나와도 영끌 물량이지 다주택 물량은 아니다.

 

kdfsd 2021.07.01 16:30  

그 영끌도 말이 영혼까지 끌었다는거지 부부가 1.2억이상은 벌어대는 가정이 구매한거라 금리 조금 오른다고 안나와요.

능력안되는데 무리해서 집사는건 이미 정부가 다 막아뒀습니다.

Proble… 2021.07.01 16:30  

이렇게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줘도 모르니 

유주택자들 쫄리냐는 헛소리만 몇년째 하고 있는 것이죠 ㅋㅋ

kdfsd 2021.07.01 16:30  

알려줘도 알려고 하질 않으니...

이런게 뭔 대단한 비밀도 아니고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은 다 알고있는건데.

정보를 꽁꽁쥐고 숨길거란 생각을 왜 하는지 모르겠어요.

당장 여기 포럼만해도 잘 정제된 정보가 널려있는데.

팩트체크하셨… 2021.07.01 16:30  

진짜 설명왕이시네요 ㅋㅋ 그 분들 거래량 금리 이소리 중 ㅠㅠ 아 물건갯수를 더 늘릴 기회가 있었는데 안 늘린 거 후회중입다. 

kdfsd 2021.07.01 16:30  

그래도 올초까진 괜찮았는데, 지금은 추가매수는 좀 그렇죠.

1주택자 갈아타기는 자금 동원만 가능하면 좋은 시절이고, 무주택자는 타이밍 잴거 없이 걍 사야됨.(숏포지션은 고수나 잡는 겁니다. 초보면 일단 중립부터 박는거에요.)

퐁포르퐁 2021.07.01 16:30  

사실 알려줘도 귀에 안들어오지요. 전 오늘 몇가지 시물레이션으로 양도세 계산 함 해보니까 많은게 보이더라고요.

 

이왕 이런거 더 담아야되나하는 생각들고 다른 분들 액션이 이해되더군요.

kdfsd 2021.07.01 16:30  

귀를 막고 있으니까요. 근데 양도세 중과가 세긴세서, 걍 안팔겁니다.

월세받아 세금으로 다 상납하는 한이 있어도 걍 ㄱㄱ

퐁포르퐁 2021.07.01 16:30  

안팔거라 계산 안하다 해봤는데 세금 인하가 아니고 여건만 달라저도 상황이 확 달라지네요.

 

정말 하락이 와도 좋고 계속 상승해도 좋은 거더라고요. 들은 풍월과 직접 계산한건 배우는게 너무 다르네요

4KHD 2021.07.01 16:30  
상황이 좋지 못한건 사실이나 무주택자들은 패닉바잉하면 안된다고 봐요

급하다고 주변 지하철 소음이 큰 곳이나 인근 상권때문에 시끌벅적한 곳들 매수하면 골아파지죠

지금이야 너도나도 오르니까 오르는거지 하락조정시장 오면 환경 안좋은 곳은 그래도 많이 떨어지더라구요

이럴 때 일수록 알짜배기 아파트를 사는게 중요할 듯 합니다

kdfsd 2021.07.01 16:30  

최소한 경기도 역세권 500세대 이상 15년이내로 사야죠.

재건축 같은건 뉴비가 건드릴게 아니고.

 

문제는 그런건 비싸요.

근데 요새는 거래량은 드문데, 그런거만 팔리는중.

다들 알아서 잘 사고 잘 팔고 합니다.

최소한 무주택자들 보단 경제지능이 높은 사람들이라서.

시크릿커튼 2021.07.01 16:30  

다주택자들 어차피 이사도 못가고 세금만 나가고 팔아도 남는것도 없는데 조정와도 버틸까 가봐야 알지 계속오르기만해서 의미없음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