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폭 커지는 서울 아파트값...집값 들쑤시는 오세훈표 재건축 완화
기후위기
뉴스
0
2864
05.21
오름폭 커지는 서울 아파트값...집값 들쑤시는 오세훈표 재건축 완화
김희진 기자 [email protected]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셋째주(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한 주 동안 0.08% 올라 2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다. 지난 2월 첫째주(0.10%) 이후 이달 첫째주 0.05%까지 둔화됐으나 오 시장 취임 직후인 지난주(0.07%)부터 다시 상승폭이 커지기 시작했다.
재건축 단지들이 상승을 주도했다. 상계동 재건축 단지가 위치한 노원구는 지난주에 이어 0.17% 오르며 상승폭이 가장 컸다. 강남구(0.10%→0.14%)와 서초구(0.10%→0.13%), 송파구(0.12%→0.13%)도 상승폭이 더 커졌다. 각각 압구정, 잠원·방배동, 잠실·방이동 재건축 중심으로 올랐다. 목동과 여의도동 재건축 단지가 있는 양천구(0.08%)와 영등포구(0.07%)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하게 재건축 규제완화를 추진하면 집값을 자극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면서, 구체적인 원칙과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김진유 경기대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주요 재건축 단지 규제를 ‘확 풀어준다’는 식으로 접근하면 (집값은) 걷잡을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라며 “집값을 통제하면서 재건축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 게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실거주 목적의 유입까지 차단할 수 없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만으로는 집값 상승을 막기에 한계가 있다”며 “용적률과 공공기여 등을 두고 조합과 협상해가면서 지금까지 유지해온 재건축 정책을 미세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재건축 단지가 들썩이자 오 시장은 지난 21일 압구정, 여의도, 목동 주요 재건축 단지 등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에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완화를 건의하면서 재건축 단지에선 오히려 열기가 더해지는 분위기다.
여의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지난 20일 24억에 거래된 시범아파트 전용 118㎡이 21일 26억에 팔렸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기 직전까지 매물이 소진되면서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압구정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후 문의가 더 늘었다”며 “시장에선 오히려 재건축이 본격화될 것이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고 했다.
진미윤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비사업에서 정부의 역할은 낙후됐지만 사업성이 떨어져 후순위로 밀리는 지역을 지원하는 데 있는데, 최근 언급되는 단지들은 그런 지역과 거리가 먼 곳들이 다수”라며 “원칙과 방향성 없이 일부 주민들 입김에 따라 재건축 정책이 좌우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10년 전과 똑같이 (‘재건축 해야한다’ 같은) 큰 틀의 이야기만 반복할 게 아니라, 이주수요를 분산하면서 단계적으로 재건축을 이어나갈 수 있는 행정의 디테일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했다.
김희진 기자 [email protected]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셋째주(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한 주 동안 0.08% 올라 2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다. 지난 2월 첫째주(0.10%) 이후 이달 첫째주 0.05%까지 둔화됐으나 오 시장 취임 직후인 지난주(0.07%)부터 다시 상승폭이 커지기 시작했다.
재건축 단지들이 상승을 주도했다. 상계동 재건축 단지가 위치한 노원구는 지난주에 이어 0.17% 오르며 상승폭이 가장 컸다. 강남구(0.10%→0.14%)와 서초구(0.10%→0.13%), 송파구(0.12%→0.13%)도 상승폭이 더 커졌다. 각각 압구정, 잠원·방배동, 잠실·방이동 재건축 중심으로 올랐다. 목동과 여의도동 재건축 단지가 있는 양천구(0.08%)와 영등포구(0.07%)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하게 재건축 규제완화를 추진하면 집값을 자극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면서, 구체적인 원칙과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김진유 경기대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주요 재건축 단지 규제를 ‘확 풀어준다’는 식으로 접근하면 (집값은) 걷잡을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라며 “집값을 통제하면서 재건축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 게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실거주 목적의 유입까지 차단할 수 없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만으로는 집값 상승을 막기에 한계가 있다”며 “용적률과 공공기여 등을 두고 조합과 협상해가면서 지금까지 유지해온 재건축 정책을 미세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재건축 단지가 들썩이자 오 시장은 지난 21일 압구정, 여의도, 목동 주요 재건축 단지 등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에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완화를 건의하면서 재건축 단지에선 오히려 열기가 더해지는 분위기다.
여의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지난 20일 24억에 거래된 시범아파트 전용 118㎡이 21일 26억에 팔렸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기 직전까지 매물이 소진되면서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압구정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후 문의가 더 늘었다”며 “시장에선 오히려 재건축이 본격화될 것이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고 했다.
진미윤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비사업에서 정부의 역할은 낙후됐지만 사업성이 떨어져 후순위로 밀리는 지역을 지원하는 데 있는데, 최근 언급되는 단지들은 그런 지역과 거리가 먼 곳들이 다수”라며 “원칙과 방향성 없이 일부 주민들 입김에 따라 재건축 정책이 좌우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10년 전과 똑같이 (‘재건축 해야한다’ 같은) 큰 틀의 이야기만 반복할 게 아니라, 이주수요를 분산하면서 단계적으로 재건축을 이어나갈 수 있는 행정의 디테일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