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상승하면 집값이 떨어지는게 맞나요?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금리가 상승하면 집값이 떨어지는게 맞나요?

꼬끼오꼬1 16 623
저는 부린이라 이렇게 생각하는거 일수도 있지만 일단 제 생각은

 

금리가 오르면 이미 지어져있고 그 집에 실거주를 안하고 월세를 주는 분들도 분명히 있을거고 

 

그분들 중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을 받고 월세를 주시는분들도 있을텐데

 

주담대의 금리가 인상되면 내가 집주인이라면 월세 올리는건 당연한처사이고 

 

월세가 비싸면 자연스레 전세나 매매로 추세가 옮겨가고 이러다보면 수요가 오히려 전세,매매로 몰려서

 

집값이 오를거라고 생각되는데 아닌가요?

 

모든사람들이 임대주택을 갈 수 있는것도 아니고 모든사람들이 돈이 없어서 월세사는것도 아닐거구요.

 

금리인상이 집값하락을 야기한다 하는데 일시적으로 매매수요가 꺾일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오르는구조 일거같은데....

 

너무 부린이처럼 생각한거일까요? 

 

금리인상하면 집값이 왜 떨어진다고 하는지 아시면 알려주세요.

16 Comments
kdfsd 2022.01.04 14:00  
역사적으로 국내는 금리 인상기에 집값이 올랐어요...(쌍팔년도 이전은 빼고요.)   단, 금리가 인상된다고 다시 오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래도 기준을 좀 세워본다면,   무주택이면 청약은 무조건이고, 매수는핵심지에 살 기회(능력이 되면)가 온다면 사는게 좋다 봅니다. 1주택자도 비과세 + 상급지 갈아타기 가능하다면 하는게 좋다고 보고요.(요새 대출규제 때문에 가능한 사람이 별로 없죠.)   다주택 정도면 여기서 조언 찾을 레벨은 아니라 보고요. 거기부턴 각자도생이죠.
율율호 2022.01.04 14:00  
금리인상하면 영끌족이 대출이자 못 버티고 집 던질거라는 생각 때문이죠.   근데 영끌족이라는 상상속의 종족이 존재하는지 의문.
꼬끼오꼬1 2022.01.04 14:00  
가능성 없는 영끌족은 결국 대출 dsr규제에서 다 컷트 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영끌족이라고 하시는분들은 이미 dsr규제에서는 통과 하신분들이라 아마 이자부담으로 던지는 분들은 거의 없을거 같아요.
체리트레일 2022.01.04 14:00  
금리는 물가안정을 위해 올립니다. 금리상승기에 실물경기가 좋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으로 그때 집값도 오르는 거죠.
vivavo… 2022.01.04 14:00  
지금 부동산은 실거주 시장인데, 내 실거주집 이자가 조금 오른다고 팔고 전월세 살사람이 많을까요, 차라리 외식을 한두번 줄이지. 다주택자는 대출도 안해줬을 뿐더러, 1주택자도 dsr, ltv로 빡빡하게 대출해줬습니다.
꼬끼오꼬1 2022.01.04 14:00  
저도 똑같은 생각입니다.
<img s… 2022.01.04 14:00  
부동산은 한가지 요인으로 결정되지 않아요
꼬끼오꼬1 2022.01.04 14:00  
네 물론 그렇다는거 알고 있는데 제가 집을 남들보다 빠른나이에 취득해서 그런가    근처에서 이제 집값떨어진다라고 자꾸 말들해서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물어보면   다들 하나같이 금리인상해서 그렇다하는데 그게 맞는 내용이면 수긍하고 아니면 반박을 해주고 싶어서요.   이거다 하는 답변을 찾고 있습니다.  
푸에테32회… 2022.01.04 14:00  
그렇게 단순하게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꼬끼오꼬1 2022.01.04 14:00  
네 물론 그렇다는거 알고 있는데 제가 집을 남들보다 빠른나이에 취득해서 그런가    근처에서 이제 집값떨어진다라고 자꾸 말들해서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물어보면   다들 하나같이 금리인상해서 그렇다하는데 그게 맞는 내용이면 수긍하고 아니면 반박을 해주고 싶어서요.   이거다 하는 답변을 찾고 있습니다.
푸에테32회… 2022.01.04 14:00  
어차피 여기서 이거다 하는걸 찾으셨다고 해도 내가 이거다.라고 생각하는거지 그걸 남한테 전달한다고 하여 그 사람들이 생각을 바꾸거나 하진 않습니다.  남이 집을 샀다고 하면 그냥 덕담 한마디 해주면 되는데 꼭 초를 치는 사람들이 있고요. 그런 사람들한테 진지하게 대응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그 사람들 대부분이 내 인생에 중요한 사람도 아니지 않나요?  물론 본인 공부차원에서 과거 자료를 보면서 금리와 부동산 가격의 상관관계를 파악해두시는건 도움은 되겠죠. 그런 자료는 금리그래프랑 부동산 상승률 그래프랑 겹쳐서 그려놓은 자료 많아요. 
SeizeT… 2022.01.04 14:00  
금리인상 -> 이자 부담 신규 매수자 : 이자 부담으로 매수 강도 약해짐(매수하려는 의지) 기존 보유자: 이자 부담으로 기존 대출 상환 하려고함(매도하려는 의지)   매수는 줄고 매도가 늘어나면 가격은 떨어지는거죠.   이게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하지만 투기가 몰리면 저런건 필요없어지는거죠.. 이자보다 매매로 차익이 더 커진다면 이자가 오르거나 말거나 매매하는거죠. 1년 이자가 1천만원인데 1년 보유 후 매도하면 1억이 생긴다면 매매 안할 이유가 없죠.   금리로만 부동산 가격이 움직이는게 아니고 여러가지 이유중에 하나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꼬끼오꼬1 2022.01.04 14:00  
신규 매수자 : 이자 부담으로 매수 강도 약해짐(매수하려는 의지) 기존 보유자: 이자 부담으로 기존 대출 상환 하려고함(매도하려는 의지)   신규 매수자가 이자 부담으로 매수 강도가 약해진다해도 자기가 살집은 어찌永있어야할텐데 월세보다는 이자가 저렴할거 같고   그리고 기존보유자도 1주택자들은 기존주택을 팔면 결국 다른주택을 취득하거나 세를 내야할텐데 어차피 똑같은거 같구   결국적으로 금리인상으로 인한 하락은 다주택자들이 이자부담으로 내놓는 물건을 기다리는거 같은데   내가 다주택자라면 양도세가 엄청난데 지금시기에 팔거 같지는 않을것 같은데   그럼 금리인상= 집값하락은 결국 다주택자면서 이자에 치여서 내놓는 물건들때문에 이루어지는건가요?
머그컵 2022.01.04 14:00  
일반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돈이 귀해짐으로 모든 자산군 가격이 내려가는건 맞죠. 다만 금리 외에 변수가 수백가지가 넘는게 문제죠
혜정이전남친 2022.01.04 14:00  
금리도 금리지만 대출이 안되는게 크죠. 게다가 팔려니 양도세, 갖고있자니 종부세.  파는사람이나 사려는사람이나 진퇴양난 상황
<img s… 2022.01.04 14:00  
과거 기록 보세요 금리랑 상관 없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