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고령자 사망 증가에 따른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저출산에 고령자 사망 증가에 따른

배고프니먹자 8 784
저출산은 일단 둘째치고 앞으로 갈 수록 역 항아리의 형태의 고령자들이 계속 늘어나고

 

그에 따라 사망자도 늘어남에 따라 나온 매물들을 과연 누가 어느 계층이 메꿀까요?

 

상속이나 증여로 메꾸어질까요? 아니면 1인가구들이 늘어나는데 그 1인이 메꿀까요?

 

아무래도 상속 증여 1인가구들이 커버하기엔 역부족일꺼 같고..

 

보면 미래가 뻔히 예상되긴하는데 과연 변수가 무엇인지 앞으로 장기적관점에서의 부동산 흐름이 궁금하긴 하네요. 인사이트 가진분들 참 부럽네요.


8 Comments
찬진징 2021.12.30 11:00  
중국인이나 외국인이요
호호호잇 2021.12.30 11:00  
2000년 즈음부터 신생아수가 크게 감소하여 그들이 결혼하는 약 2030년부터 주택수요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수요부족)   주택의 노후화, 즉 1기 신도시 아파트가 40년이 다가오는 2030년 즈음부터 공급부족
잠룡승천 2021.12.30 11:00  
그 걸 체감할때는 제가 죽을때일듯요 제가39인데 주위에 아직도 청약대기에 무주택자 쎄고씬.  
에헤라디여어 2021.12.30 11:00  
우리보다 훨씬 고령화가 일찍 찾아온 선진국 대도시의 집값은 왜 그리 비싼지 공부해보면 됩니다. 결국 파이가 줄어들수록 일자리가 있는 인프라가 뛰어난 곳의 공동화 집중화 현상은 자연스러운 겁니다. 그럴수록 서울과 수도권이 답인거죠.   저출산도 고려해야 하지만.. 평균수명 연장도 고려를 해야겠죠. 님이 걱정하듯 수요가 엄청나게 급감 한다면 결국 공급이 자연스럽게 그에 맞춰질겁니다. 공짜 돈으로 지어서 뿌리는게 아닌이상 팔리지도 않는 물건을 만들어서 자선사업 할 회사는 없습니다. 님한테 월급 주는 회사는 이익추구 단체지 자선사업 단체가 아니니까요.   아 물론 임대아파트를 공급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냥 거기서 평생 살면됩니다. 집값 신경 안쓰구요.   본인 살집 한채 가지고 너무 재는것도 상당한 투기심리가 끼어 있다고 봐야겠죠. 결국 내가 산 후 오를 여지가 많은 가격을 기다리는거니까요.   우리나라 주택의 신축아파트 비율과 구옥의 비율을 공부해보세요.. 저출산 같은 저급한 선동은 귀에 안들어올겁니다.
에터 2021.12.30 11:00  
외국인 노동자 이민자 엄청 들어올 겁니다. 결국 인구는 안줄어든다는 거.  참고로 인구는 시민권 가진 국민의 수가 아니라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의 수를 말합니다. 사실 외국인도 한국에 거주하려면 집 있어야 하고, 한국인도 한국에 거주 안하면 집 필요 없으니 이 개념의 인구가 이 논의에 적합하죠. 유학비자 취업비자 영주권 이런 걸로 한국 들어와 있는 사람은 한국 인구에 포함되고 외국에 취업 유학해서 나간 한국인은 한국 인구에 포함이 안됩니다.
코쿠마 2021.12.30 11:00  
222
실거주1채는… 2021.12.30 11:00  
일단 50대는 그런 생각 할 필요 없음 그 시절되면 50대는 사망할 확률이... 40대도 크게 걱정할 필요 없는게 어차피 늙어서 노후대비 필요한에 한창 잘받아먹고 다 늙을때라 크게 영향이... 2030대는 지방 투자 생각해보긴 해야함.
SeizeT… 2021.12.30 11:00  
노령화도 되고 평균수명도 늘어서......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