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대선후보가 150만호, 250만호, 공급계획들을 말하네요.
여기 한번 1기, 수도권 5대 신도시 시절의 자료를 보죠.
앞에서부터 면적(천㎡), 수용인구, 주택건설량인데, 이 주택건설량은 단독주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분당 : 19,639 / 39만 / 9.67만호
일산 : 15,736 / 27.6만 / 6.9만호
평촌 : 5,106 / 16.8만 / 4.2만호
산본 : 4,203 / 16.8만 / 4.2만호
중동 : 5,456 / 16.6만 / 4.14만호
여기에는 주상복합은 빠져있긴 하나, 주복을 추가해도 뭐 크게는 안 늘어날 것입니다. 게다가 주복은 90년대에 지어진것들이 아니니.
대략 수도권 5대 신도시의 합이 29.2만세대입니다.
여기에 수지 1,2지구처럼 자잘한 택지지구 정도 추가해 봐야 1990년대 수도권 택지지구 아파트 공급량은 50만세대를 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저거 짓는데 어떤 일들이 있었느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720521
시멘트가 모자라서 불량시멘트 사용에, 골재가 부족해 덜 씻은 바다모래 파동에, 인력이 부족해 목수 등의 인력은 부르는게 값에, 비숙련자들이 부족한 자리를 메우는 등, 한바탕 난리 법석을 떨었습니다.
그만큼 단기간에 대량 공급은 어려운 것입니다.
여담으로 200만호는 어떻게 달성했느냐? 지방에도 둔산신시가지 등 여기 저기 택지지구를 만들었고, 서울시내 일반주거지역의 용적율을 400%까지 허용해서 연립주택이 나홀로아파트로 재건축되고 웬만한 단독주택들이 다 다세대, 다가구주택으로 바뀌게 만들었으며, 교통과 기반시설 부족으로 지금같으면 허가조차 나지 않을 준농림지에 아파트건설을 대거 허가하는 등, '건설'에 대한 규제란 규제는 다 풀어서 틈만 있으면 주택건설을 하게 만들어 달성한 것이며, 그 또한 노태우, 김영삼 2개 정권에 걸쳐서 완공 입주한 것이지요.
물론 집값이야 안정되었지만 그런 무더기 건설의 후유증은 골목길 주차난, 용인 난개발로 대표되는 수도권 교통체증, 학교 등 기반시설 부족 등 매우 컸고, 결국 정부가 나중에 세금으로 그 뒷감당을 해야 했지요. (그 또한 교통은 완전히 해결 못함)
그런데 지금처럼 재개발, 재건축 규제 분위기에, 서울 근방에는 더이상 지을 토지도 없는데 어떻게 150만, 250만호를 단시일에 공급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