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약 2개월 남은 시점에 연장요청시 월세 추가요청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전세계약 2개월 남은 시점에 연장요청시 월세 추가요청

해피공유 6 590
20년 1월 14일자로 전세계약했고

2개월 남은 시점에서 계약연장 하자고 전달했고, 임대인은 알았다고 문자로 받았습니다.

알았다고 해서 내용과 금액은 그대로 기간만 연장하는 줄 알았는데

계약기간 2개월 남은 시점에 전세금은 그대로 월세를 추가해서 받겠다고 하더군요.

 

계산해보니 임대료 인상율이 약 44% 인상을 했더군요.

전세계약갱신 사용하겠다 대신 전세금을 올려주겠다고 전달했으나

2개월 안남은 시점에 퇴거하라고 통보받았습니다.

 

무조껀 나가야 하는겁니까?

전세계약갱신청구를 사용하면 이론상 5%내에서 임대인은 인상할 수 있고

2개월 안에 연장 거절을 해야하는데 딱 2개월 지난시점인 오늘 아침에 통보받았네요.

제가 그냥 거절하고 이전 계약 내용대로 기간만 2년 더 살면 되는건가요? 

6 Comments
에터 2021.11.15 20:00  
참고로 19년에 계약/갱신된 임대차에 대해서는 1개월 전 거절 통보가 유효합니다. 그러니까 2개월 지난 건 잊어버리세요. 퇴거통보가 임대인 또는 임대인의 직계존비속 실거주 사유면 유효한 거절사유니까 다른 집 알아보시면 되고 다른 사유면 특이한 게 아니라면 유효한 거절사유가 아니므로 이 부분을 명확히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아울러 혹여 2개월 규정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그 이전에 임대차 조건 변경 통보를 했으므로 묵시적 갱신은 안 되는 상태입니다.  또한 갱신요구권 사용 한 경우 언제까지 실거주 거절통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거절이유 통보가 불명확하더라도 걍 버티는 게 능사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실거주통보 다시 오면 튕겨나거든요. 그러니까 차라리 지금 실거주 의사를 명확히 확인하고 다른 집 알아보시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해피공유 2021.11.15 20:00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결국 실거주 여부에 대한거 물어보고 다른집 알아보는게 좋겠군요.
에터 2021.11.15 20:00  
아 근데 좀 이상한 부분이 최초 임대차 시작을 2019년 1월에 한 게 맞나요? 그러면 2년이 아니고 3년인데.... 아주 다른 접근이 됩니다. 제가 위에 댓글 쓴 건 2020년 1월 임대차 시작된 것 기준이라고 보시고요...   혹 2019년에 시작된 게 맞다면 지금은 계약기간 중간이라 2023년 1월까지는 임대차가 유지됩니다. (그때 다시 거절하겠죠 아마...)
해피공유 2021.11.15 20:00  
아고 제가 잘못㎡六20년이 맞습니다. 본문 수정했습니다. 혹시 년도가 바뀌면 저 위에 답변주신 내용은 변경이 없는지요?
에터 2021.11.15 20:00  
20년에 임대차 시작인 것으로 속아서 댓글 단 거라서 20년 시작 맞으면 첫댓글 그대로입니다. 그러니까 실거주 거절인지 확인 19년 시작이면 아래 댓글대로  2023까지 임대차 유지고요.
디오팍 2021.11.15 20:00  
2개월 다른 집 알아봐서 이사가고 복비내는 값이 2개월 월세 내는것보다 싼가요? 적당히 타협 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