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상황에서 제일 좋은 방법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제 상황에서 제일 좋은 방법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블루베어17… 6 861


- 현재 3.7억 전세아파트 은행대출 1.5억(전세자금) 현금 2억1천 보유

 

- 당장 다음달 이사가야하네요

 

- 현재 청약입주 대기중으로 22년 11월 입주할 아파트 버티기만 하면 됩니다.

 

- 현금 2억은 입주 할 아파트의 잔금으로 사용하려고 하였으나 당장 다음달에 현재 전세집을 비워달라니... 

 

전세가 3.7이었는데 2년만에 주변이 5.5로 오르네요...ㅡㅡ 1년 남은 상황에서 너무 막막합니다.

 

갱신의 경우 집주인 아들이 들어온다고 해서 안되구요...

 

 

1. 전세 5.3억 1년 계약 (잔금낼돈을 전세금으로 넣어야함)

2. 월세 1억에 130 1년 계약

3. 전세 5.3억 2년 계약 후 중도에 세입자 구해서 나가기

 

이 세가지 뿐인거 같은데... 이렇게 해도 1년 후 입주때 아무 지장이 없을까요??

 

이럴경우 잔금을 대출을 받아야하나요? 아니면 이사하면서 보증금받고 잔금내고 입주이사하고 이런걸 하루에 다하시는건가요?

6 Comments
<img s… 2021.11.09 10:00  
닥 2 아닌가요~ 단편적인 기간이 1년 남짓... 목돈 다른곳에 필요... 월세가 초큼 쎄긴한데... 그래도 요새 이자 생각하면...
이놀도 2021.11.09 10:00  
2번이요.  4.5억에 연 3% 이자면 월 113만원이에요.  월세가 1,3보다는 저렴한 편이네요.  무한정도 아니고 이사비랑 복비 생각하면 고민할게 있어요?  다만 네고해서 5~10 정도라도 부탁드려 보세요.  집주인도 새로 세입자 구하기 까다로우니 맞춰줄듯. 
톡스 2021.11.09 10:00  
써야 할 돈을 전세금으로 묶어두면 나중에 꼬일 확률이 큽니다
앙영앙영 2021.11.09 10:00  
신축 아파트가 11월 입주예정이라고 되어있으면 보통 11월 말 부터 입주시작합니다. 그리고 2~3달 정도 입주기간을 주고요. 그리고 입주기간동안 입주를 안해도 3달 정도는 연체료만 조금 내면서 잔금 안치고 별문제없이 버틸수가 있습니다.   즉 1~2번을 선택했을때 전세금을 못 돌려받아 잔금을 못 치를까가 걱정이라면 그래도 5달 정도는 분양아파트 입주를 늦추면서 전세금을 돌려받을 시간적 여유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1~2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해라 2021.11.09 10:00  
월세 사세요~
에터 2021.11.09 10:00  
3번 선택한 경우 임대인이 조까고 해지수수료 5억 내던가 계약기간 맞추세요 하면 글쓴이 ㅈ됩니다. 임대인도 그 때 임차인 새로 들이면 안되는 사정이 있을 수 있으니 3번 선택하려면 plan B 들고 가야 합니다.  1번은 그나마 나은데, 역시나 임차인 못구하면 임대인이 조까세요 시전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글쓴이 ㅈ됩니다. 참고로 요새 2년 계약 아니면 전세자금대출도 안 나올 겁니다.   거의 선택의 여지가 없이 2번 될 겁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