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글 : samtoshi] 전인미답의 길을 걷는 서울 부동산 버블 수준 (feat. 2021년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펌글 : samtoshi] 전인미답의 길을 걷는 서울 부동산 버블 수준 (feat. 2021년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killer… 12 813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는 3개월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합니다.

저도 이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산출될 때마다(즉, 3개월마다)

서울 부동산 버블 수준을 판단해보는데요,

이번에 2021년 2분기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업데이트 되었기에

이를 반영하여 설명을 드려보고자 합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란

중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인데요,

참고로 지수 100은 주택담보대출 상환으로 가구 소득의 약 25%를 부담한다는 의미로,

이는 중간소득의 서울 근로자가 중간가격의 서울 주택을 구입할 시

소득의 약 25%가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유의미한 지표라고 판단되는 이유는

현재의 집값을 초래한 가장 큰 이유중 하나인 "저금리"를

지수 산출 도구 중 하나로 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리와 집값, 소득을 고려해서

현재의 집값이 과거와 비교해 어느 수준까지 와있는지를 나타내준다는 면에서

유용한 지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문제는 이 주택구입부담지수가

① 해당 지역 주택의 중위 매매가 ② 주택담보대출 금리 ③ 중위 가구 소득을 가지고 산출되는데

주택금융연구원에서 해당 지역 주택의 중위 매매가에 대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는 KB부동산 중위 매매가를 사용해왔지만

2013년부터는 한국감정원의 중위 매매가를 사용해왔다는 것입니다.

두 기관의 중위 매매가가 다르기 때문에

시계열상으로 중간에 기준이 달라진다는 것은

해당 지수를 사용한 분석이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저는 지금까지 주택금융연구원이 발표해온 지수를 "주택구입부담지수(구)",

2013년부터도 KB부동산의 중위 매매가로 환산해서 산출한 지수를 "주택구입부담지수(신)"으로

수정하여 그래프를 다시 그리고 보여드리기로 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2004년 1분기부터 2021년 2분기까지 주택구입부담지수(구/신) 추이와

해당 기간의 평균(127.4)을 비교 도식화한 것입니다.

 

16315761597806.jpg

2021년 2분기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95.9입니다.

2020년 3분기 155.3, 4분기 168.6, 2021년 1분기 184.5, 2분기 195.9로

지수가 그야말로 굉장히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큰 폭의 지수 상승은 당연하게도 해당 지수를 산출하는 지표들이

하기와 같이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①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 상승

(2020년 3분기 9억 2,017만원 → 4분기 9억 4,741만원

→ 2021년 1분기 9억 7,333만원 → 2분기 10억 1,417만원)

②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2020년 3분기 2.44% → 4분기 2.59% → 2021년 1분기 2.73% → 2분기 2.74%)

방금전 보신 그래프에서 2021년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195.9 외에도

2008년 2분기 164.8과 2018년 4분기 163.8도 기재되어있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2008년 2분기 164.8을 찍고 서울 집값이 중장기 하락장에 접어들었으며

2018년 4분기 163.8을 찍고 서울 집값이 반년간 조정장에 접어든 이력을 감안한다면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 164라는 수치는

가구 소득이 늘거나 금리가 떨어지지 않으면 집값이 더 오르기 힘든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64라는 것은 서울 중간가격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서울 중간소득 가구가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을 위해

가구 소득의 41%를 사용해야 하는 수준입니다.)

그런데 2020년 4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68.6을 기록하면서

그동안 "천장"으로 여겨졌던 전고점(164)을 돌파했고

2021년 1분기 184.5, 2분기 195.9까지 찍으면서

그야말로 전인미답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울 집값은

중간소득 가구가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을 위해

가구 소득의 41%를 사용하는 수준이 최대치였는데

지금은 49%를 사용하는 수준까지 치솟았음에도

여전히 상승의 길을 걷고 있는 이유는 뭘까요.

12 Comments
27남1주택 2021.09.14 08:35  

중위가격이 올라갈수록 그만큼 소득에대한 가처분소득도 우상향하니 집값에 부담되는 비용은 늘고 소비는 그대로인 버블이죠 그 버블은 꺼질려면 공급이죠 ㅠ 300벌이 가구가 100을 원리금 상환에 쓰면 200이 남고 400벌이 가구가 200 상환해도 200이 남죠..

문슬람 2021.09.14 08:35  
공급말고는 답없습니다. 규제로 한계가 있는걸 각성하고 영끌 공급이라도 나서야하는데 아직도 뒷짐지고 공포감만 조성하니...
No_fre… 2021.09.14 08:35  

삼토시가 유명한 사람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뭐 역사는 반복된다 의미로 보면 지금까지 저 지수가 일정 포인트를 넘으면 고점이다 거품이다 이렇게 해석 할 수도 있겠지만 과거는 과거일 뿐 뉴노멀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하는 게 제 생각입니다...

 

이전에는 164가 넘으면 거품! 무조건 꺼진다! 이거였다면 앞으로는 그냥 200 정도가 무난한 수준이 되어서 앞으로 몇 년 후에 지금을 돌이켜보면 거품이 아니였게 되는거 아닐까 하는...? 

sjshah… 2021.09.14 08:35  
토시야 요새 자꾸 혓바닥이 길다.

 

재작년부터 하락 버스 타면서 간 보던데 지겹구나

killer… 2021.09.14 08:35  
제가 공부한 견해로는 저 글을 거꾸로 해석하면 서울 중위가구 무주택자는 월 소득의 반(49%니 50%나 마찬가지)을 월세로 내게 될 가능성을 생각해 봅니다.

왜냐하면 실수요자 입장에서 주택가격 <= 이용가치(+주택가치 변동)에서 주택 구매를 하게 되는데,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저 정도면 이용가치로만 가격이 형성되는 월세 가격이 저렇게(주택구입시 대출 상환금에 준해서) 형성된다는 말도 되기에... 

 

제가 아는 한 서울의 평균소득 대비 월세가격도 빠르게 상승중인 걸로 알고요. 저 지수를 보면 앞에서 언급한 대로 월소득의 반을 월세로 내는 수준에서 정리가 된다는 결론이라는...

 

어줍잖은 이야기니 신경쓰지 마세요.

sjshah… 2021.09.14 08:35  
저것 외에 글로벌  주택 수익률 표가 있는데

 

대도시 기준 2~4% 정도 나옵니다. (지가가 비쌀수록 1.9%~2%에 수렴)

 

이게 글로벌 표준으로 2.5%만 잡혀도 서울 중위 매매가 11억 기준

 

월 230은 충분히 내야하죠

killer… 2021.09.14 08:35  
견해 감사합니다.
피커형 2021.09.14 08:35  
흥미로운 자료 잘 봤습니다. 

저 지표가 가르키는 것은 주택 가격 대비 순수한 중위가구의 소득의 비율이긴 하지만 실제 대부분의 중위 이상 시장 참여자들 (지난 1-2년이 아닌 대다수를 차지하는 3년 이상 보유자들 또는 다주택자들)은 주택 가격 증가로 인해 가처분 소득 증가가 급격히 증가했고 오히려 새로 시장에 참여할 중위 소득의 무주택 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쪽이니.. 양극화가 더 심해지는 지표로도 느껴지네요. 지표상으론 주택보유자들이 소득의 절반을 주거비용으로 지출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 기존 참여자들의 부담은 그보다 훨씬 적고 무주택자들의 부담 (=임대차비용)만 커지고 있는 실정이네요.

러블44 2021.09.14 08:35  

일부 동의합니다. 저는 차라리 월세화 되는게 장기적으로 가격안정에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최근 유례없는 전세대출 증가와 이 전세금을 레버리지로 한 갭투자 갭투자를 가능하게하는 전세의 상승 ... 전세계에 유일무이 하죠 전세를 레버리지로 한 투자에 동조하지 못한 저로써는 매우 힘든 시기이지만 언젠가는 다시 평균에 회귀한다는 법칙을 믿고 있고 모두가 믿고 있는 확증편향적인 가설이 언젠가는 일반 법칙으로 회귀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최근의 거래량 없는 지속적인 호가와 실거래가 상승은 정말 끝이 어디인가를 알고 싶을 정도네요 

 

퐁포르퐁 2021.09.14 08:35  

저 자료 오래 봐왔고 저분의 해석도 변해왔지요. 저분 여기까지 안올줄 알던 분이지요. 결국 뉴노말이고 그들만의 리그가 열리는거지요.

 

아파트에 거주한다는건 이미 여러가지를 상징하지요

<img s… 2021.09.14 08:35  

저분은 전문가가 아닙니다

No_fre… 2021.09.14 08:35  

우선 삼토시 라는 작명부터 맘에 안 드네요

 

자꾸 비트코인 사토시 사기꾼 생각나고... 토시양말 생각나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