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획일화된 개성없는 아파트!!! ft hug, 분양가상한제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획일화된 개성없는 아파트!!! ft hug, 분양가상한제

백봉캉가루 6 823

올림픽대로나 강변북로를 달리다보면 서울의 야경은 참으로 아름답다

바다를 끼고있는 대도시는 많지만 도시한가운데 한강처럼 거대한 강이 흐르는 

나라는 선진국가운데는 거의 없는것으로 알고있다.

 

반면 서울의 낮풍경은 야경과는 정반대이다.

반포아리팍이나 서울숲근처 트리마제등을 제외하면 천편일률적인 성냥갑

무성의한 페인트로 외벽을 감싼 뻔한 아파트만이 줄지어 늘어서있다.

 

심지어 이놈의 아파트들은 높이나 형태조차 똑같이 생겨

흡사 매트릭스의 스미스 요원을 보는듯한 공포감마저 들때가 많다.

 

그럼 서울의 도시미관을 해치는 이 스미스요원들을 어떻게 해야만 할까?

방법은 두가지 빨간약과 파란약

 

1.기존아파트도 흉물이니 재개발을 통해 새로운 스미스요원이 탄생하는걸 막아보자

    재건축을 통해 신축으로 거듭나는 놈들도 별반 다를바 없으니 규제로 최대한 늦춰보자

>> 1번은 고인이 되신 박원순시장의 플랜이다

      재임기간 6년동안 딱히 도시미관이 나아진건 없는듯하다.

      오히려 대책없이 낡아만 가는 모습을 보며 답답했을 뿐이다 

   

 

2.이왕 지을꺼 예쁘게 지으면 되잖아??

>> 그렇다 서울은 어차피 인구1000만의 대도시이고 고밀개발을 통해

많은 인구수를 감당해야 하는 숙명이다.

 

그런데 이쁘게 지으려면 돈!! 돈이많이든다.

 

개인적으로 다음세대 아파트는 기존 벽식구조가 아닌

상업건물의 기둥식구조를 적용함으로서 50년이 지난후 철거가 아닌

비내력벽 해체후 다양한 평면구성으로 새건축물처럼 사용하여

100년수명의 건물이 되었으면 한다.

 

기존아파트의 페인트외벽 마감대신 커튼월룩이나

다양한 마감재를 도입하여 보기에도 아름답고 

시간이 지나도 낡아보이지않는 모습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기존의 2.3미터 내외의 답답하고 낮은 층고대신

2.7미터 이상의 높은 층고를 도입하여 실내에 들어와도

1층까페처럼 개방감을 주었으면 한다

 

그리고 지금처럼 똑같은 높이의 건축물이 아닌

해당 단지 용적률 안에서 건폐율이나 층수제한을 완화하여

다양한 모양과 다양한 높이의 건물이 있었으면 한다.

그래야 리듬감도 느껴지니까

 

그런데 위 세가지 방법은 현실적으로 도입이 어렵다.(일부 강남 재건축은 가능)

 

-고급스럽게 지으려면 일단 지자체나 정부의 심의를 통과해야 하는데

건물 디자인이 주변의 위화감을 주지않아야 하고 계층간 갈등을 조장하면 안되며

보는사람이 압도되지 않게 주변과 적당히 소셜믹스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hug분양가심사를 통과하거나 

지자체 분양가심의회를 통과한 평단가로 시공을 해야한다

 

결국 분양가상한제 평단가 내에서 지자체 건축심의 내에서

최대한 재초환을 피하는 선에서 고급스럽게 지어야하는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니 아무리 노력한들 건설사가 적자를 볼순 없는 노릇이고

결국 거기서 거기인 아파트가 양산될 뿐이다.

 

대충 얼굴에 수염있고 뿔테안경쓰고 젊은나이의 건축가나

시민단체나 명망있는 교수나 

아파트 외관 이야기만 나오면 다들 하는 소리가

 

천박하다~ 천민자본주의~ 천편일률적이고~ 몰개성하고~

산업화시대의 유물~ 등등 온갖안좋은 수식어만 갖다붙힌다.

 

아니 분양가통제로 그렇게 지을수가 없는데 어떻게

니들 애기처럼 건축이 가능하단 말인가?

 

건설사에 이윤이 돌아가야 그렇게 짖지

적정이윤을 보장하라 그러면 하는말이

 

토건적폐세력에게 휘둘리면 안된다~

건설사가 해마다 얼마의 돈을 벌어들이는지 아는가??

하면서 죽일듯이 달려든다.

 

자!! 당장 상위 5개 시공사 매출액대비 순이익이 얼마인지

dart.fss.or.kr 로 달려가보자

 

정기공시들어간후 해당기업 사업보고서에 들어간후

재무제표란에 손익계산서를 보면 된다

 

1~2년치가 아닌 10년치를 봐야한다

(건설경기는 싸이클산업이라 이익의 부침이 심하다)

 

보고나면 느끼는 바가 있을것이다

매출대비 생각보다 순이익률이 높지않다.

 

그 이익률마저 포기하고 원가에 건축하라 하면

10개사업장중에 1~2개만 미분양나는 시대가 도래한다면

두산건설 시즌2가 되는것이다.

 

결론

예쁘고 화사하고 개성넘치고 다양한 디자인의 아파트를 원한다면

분양가상한제의 상한선을 조금더 높일 필요가 있다

(저 서울시내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 아닙니다.

그냥 경기남부에 1주택자입니다.. 그냥 가끔 서울갈때마다 답답한 도시모습에

이런글 적었습니다)

 

 

 

 

 

 

 

6 Comments
92년생분당… 2021.06.23 07:00  

고밀도개발은 반대합니다

 

집값 떨어지기땜에ㅠ

랄랄라라랄 2021.06.23 07:00  

그나마 도시 경관 이쁘다는 송도만 봐도..

도시 경관을 위해서 제도적으로 분양가를 좀 풀어주죠

 

 

제로마로 2021.06.23 07:00  

상한제 올려도 건설사들은

기둥식 건물 안짓구요

기존 만들어놓은 아이템 재사용해서 모양똑같을듯

지금 3방향 타워형구조 획일적인 평상구조보다 멋지게 느끼지만 나중에 다 타워형 구조되면

그때 또 획일적이다할수도

기업은 이윤 창출이니 상한제올리면 증가분 기업이 다 먹어도 일반인들은 몰라요

92바다 2021.06.23 07:00  
쓰시는 글 마다 참 좋은 내용인데... 어짜피 아무도 안듣습니다.

 

특히.... 세금 한푼도 못내는 세금 버러지들에게는 아무리 좋은 내용을 알려줘도 소용이 없죠. 게다가 정치하는 애들도 어짜피 옳고 그름보다는 세금버러지들 표나 구걸하는게 현실이라....

 

 

게다가... 그 세금 한푼 못내는 세금 버러지가 가장 많이 모인곳이 이곳 에프씨랑...클리앙이죠. 그래서 더 이 좋은글이 소용 없죠. ㅜㅜ

낭인후후 2021.06.23 07:00  

맞는 말입니다. 가격 통제하면서 애플처럼 예쁜 디자인을 바라는 건 모순이죠.

 

그리고 아파트가 경관을 망친다는 것도 잘못된 속설입니다.

그 아파트가 뒤를 가리도록 만드는 이유가 낮은 층수밖에 못 짓게 허가가 나니 같은 면적에서 최대한의 가구수를 만들기 위해서 이지 일부러 그렇게 만든게 아니죠. 다 경제적인 유인에 의해서입니다.

 

래미안 첼리투스 같은 경우 높게 지었으나 그 건물이 한강변의 경관을 망치나요? 높게 올리되 건폐율을 낮추면 그 뒤의 경관을 더 잘 볼수 있게 됩니다. 낮은 층수로 건폐율이 올라가면 거꾸로 그 뒤 경관을 더욱 가려버리게 됩니다.

뉴욕 강변의 다양한 마천루의 높이로 인해서 더 멋있어 지지 않았나요? 그거 자체가 하나의 아이덴티티로 작용하죠.

Proble… 2021.06.23 07:00  

싸고 좋은 물건은 없죠

싸게 싸게 만 외치는데 좋은 물건만 바라는 웃기는 상황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