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4년, 서울 아파트값 87% 올라…참여정부보다 높아
文정부 4년, 서울 아파트값 87% 올라…참여정부보다 높아
김희진 기자 [email protected]
10일 부동산전문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정권별 4년간 아파트 가격·물량·청약경쟁률을 조사한 결과, 3.3㎡당 서울 아파트값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4년 동안 86.5% 올랐다. 2017년 5월 2041만원에서 지난 5월 3806만원으로 뛰었다.
부동산 관련 데이터 공개가 체계화된 2003년 이후 역대 정부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으로, 노무현 정부 시절(2003년~2007년) 4년 간 서울 아파트값이 74.6% 상승한 것보다도 높다.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2.6% 떨어졌고,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18.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기준으로 보면 문재인 정부 4년간 아파트값은 62.2% 올랐다. 17개 시·도 중에서 세종이 113.8%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대전이 73.0% 올라 다음으로 높았고, 서울(86.4%)와 경기(64.3%)도 전국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문재인 정부 4년 동안 39.9% 올랐다. 박근혜 정부(52.3%) 시절 전셋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명박 정부(35.2%)와 참여정부(19.9%) 시절에는 문재인 정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정권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노무현 정부가 25만5073가구로 가장 많았다. 문재인 정부가 16만7030가구로 뒤를 이었고, 이명박 정부가 15만9530가구, 박근혜 정부가 11만7556가구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은 박근혜 정부가 6만2886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무현 정부(6만1280가구), 문재인 정부(5만5511가구), 이명박 정부(3만4959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에서 아파트 분양물량이 줄어든 데다 매매가격이 치솟자 청약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문재인 정부 4년 동안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37.3대 1을 기록했다. 참여정부 16.6대 1, 이명박 정부 3.3대 1, 박근혜 정부 11.6대 1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최신영 리얼투데이 본부장은 “문재인 정부 4년간 내 집 마련 수요와 세입자들의 부담이 역대 어느 정권보다 높아졌다”면서 “3기 신도시를 비롯한 공공분양 물량을 늘리는 수요 분산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