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금리 상승 이유?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대출 금리 상승 이유?

ciwciw 5 289


1. 우선 조달 금리가 올랐습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1/40545/

 


은행채 금리가 올랐습니다.

기사에 보듯이 하나은행 기준으로 0.86%가 올랐네요. 타은행도 대동소이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해주면 좋을텐데 예금금리 평균이 1.3% 인데 은행채 1.9%로 조달을 했으니..

그나마 예금이야 미루고 미루다 찔끔 올려주는데 비해 은행채는 얄짤없죠.

안그래도 비싸게 조달하는데 자체 금리까지 왕창 올랐죠.



2. 가산 금리 

가산금리는 각종 위험 가중치, 상환능력, 담보, 신용 등등이 종합적으로 판단이 되는거라

개개인마다 다르지만


제가 이전 글에 썼듯이, 바뀐 기준에 따라 재산정을 하게되면 전반적으로 오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house&no=203832

 


감사하게도 한 분이 공개를 해주셨네요. 이분 보시면 재산정시 가산금리가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조달 금리 와 가산 금리가 모두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우대금리도 대폭 축소하고 있습니다.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81

 

 


위 표를 보시면 금융채가 급증을 하고 있습니다.

은행채 역시 빠른 속도로 늘고있구요.


"은행채 금리는 향후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고 기사에 나와있습니다.

왜냐면, 올해 연준/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 하고있기 때문입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1021542.html

 


"예대마진으로도 불리는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차주한테 적용하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예금 금리 간 차이를 뜻한다" 

 


https://www.fsb.or.kr/ratedepo_0100.act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1/1055187/

 


예금 금리 평균 : 1.3

예대 마진 4개 시중은행 평균 : 1.9


대출 이자 : 조달금리 + 예대마진 + 가산금리 - 우대금리 = 얼마일까요?


조달금리(1.93) + 예대마진(1.9) + (가산금리 - 우대금리 : 사람마다 다른데 1~3 사이라고 보면)


3.83 + (1~3) = 4.83 ~ 6.83 ....


아 물론 한 방에 모든 금리가 다 저렇게 되지는 않을겁니다.

기존 산정 방식으로 아직 재산정이 되지 않았거나... 이전에 조달비용이 지금보다 저렴할 때.. 대출 받은 분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1% 언저리 낮을 수도 있죠.


하지만 재산정시 올라갈겁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대출금리가 5%~6% 간다고 기사가 났을 때, 말도 안된다며 부정하는 분들계셨죠.


금리는 계속 올라갈텐데... 5%~6% 갈까요 안갈까요? 전 그 이상도 가능하다고 보고있습니다.




모쪼록, 빚 관리 잘하시구요.


앞으로 경제가 좋아질지 나빠질지 제가 주술사나 법사가 아니라서 모르겠습니다만


만약에 경제가 나빠지게 되면 제일 먼저 타격이 오는 계층은 


집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감당 못할 정도로 과도한 빚이 있는 사람들 입니다.


 

5 Comments
아침엔4 2022.02.08 18:00  
 조달 금리와 기준 금리가 다른건가요 ????   은행과 은행간의 대출이 기준금리고 .....    일반인들이 빌릴때는 조달금리 + 가산금리 = 최종이 .... 되는거죠 ??   근데 어차피 dsr 규제 때문에 과도하게 빚은 없어서 안전하지 않묽楮??
사진가의길 2022.02.08 18:00  
기준금리가 은행간 대출금리 아닙니다. 한국은 7일물 RP 라고 초단기 채권금리를 기준금리로 씁니다. 한은이 채권을 사고 팔아서 시중통화량을 조절해요. 코픽스 같은게 조달금리죠. 모든 금리는 기준금리 영향을 받아서 움직이고요.
ciwciw 2022.02.08 18:00  
기준 금리는 가장 초초초 단기 금리를 보통 기준으로 삼습니다. 왜냐면 기간이 길어질수록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거든요. 우리나라의 경우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금리를 기준 금리로 삼고있습니다.   이 기준 금리를 기반으로 +알파를 해서 각종 금리들이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은행이 조달할 때는... 은행채를 발행하는데, (은행채 금리 = 기준금리 + 알파) 이렇게 생각하면 쉽습니다... 그래서 알파는 그대로라고 하더라도 기준금리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덩달아 은행채 금리도 움직이는 겁니다...   은행채 뿐 아니라... 금리라고 이름 붙은 것들은 다 저런식으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라고 하는거죠.
에터 2022.02.08 18:00  
1. 금리가 6%까지 오른다 - 별 상관 없음 2. 대출을 안해준다 - 상관있음   지금 2번 상태인데 2번을 해소해 주고 1번을 해주면 돈은 더 잘 돌 겁니다.
ciwciw 2022.02.08 18:00  
에터님은 금리가 6~7올라도 상관없을지 모르지만... 소위 한계 가구 한계 기업... 이런쪽은... 금리가 6~7오르면 상당수가 파산하거나 힘들어집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