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금리 상승 이유?
1. 우선 조달 금리가 올랐습니다
은행채 금리가 올랐습니다.
기사에 보듯이 하나은행 기준으로 0.86%가 올랐네요. 타은행도 대동소이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해주면 좋을텐데 예금금리 평균이 1.3% 인데 은행채 1.9%로 조달을 했으니..
그나마 예금이야 미루고 미루다 찔끔 올려주는데 비해 은행채는 얄짤없죠.
안그래도 비싸게 조달하는데 자체 금리까지 왕창 올랐죠.
2. 가산 금리
가산금리는 각종 위험 가중치, 상환능력, 담보, 신용 등등이 종합적으로 판단이 되는거라
개개인마다 다르지만
제가 이전 글에 썼듯이, 바뀐 기준에 따라 재산정을 하게되면 전반적으로 오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감사하게도 한 분이 공개를 해주셨네요. 이분 보시면 재산정시 가산금리가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조달 금리 와 가산 금리가 모두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우대금리도 대폭 축소하고 있습니다.
위 표를 보시면 금융채가 급증을 하고 있습니다.
은행채 역시 빠른 속도로 늘고있구요.
"은행채 금리는 향후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고 기사에 나와있습니다.
왜냐면, 올해 연준/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 하고있기 때문입니다.
"예대마진으로도 불리는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차주한테 적용하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예금 금리 간 차이를 뜻한다"
예금 금리 평균 : 1.3
예대 마진 4개 시중은행 평균 : 1.9
대출 이자 : 조달금리 + 예대마진 + 가산금리 - 우대금리 = 얼마일까요?
조달금리(1.93) + 예대마진(1.9) + (가산금리 - 우대금리 : 사람마다 다른데 1~3 사이라고 보면)
3.83 + (1~3) = 4.83 ~ 6.83 ....
아 물론 한 방에 모든 금리가 다 저렇게 되지는 않을겁니다.
기존 산정 방식으로 아직 재산정이 되지 않았거나... 이전에 조달비용이 지금보다 저렴할 때.. 대출 받은 분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1% 언저리 낮을 수도 있죠.
하지만 재산정시 올라갈겁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대출금리가 5%~6% 간다고 기사가 났을 때, 말도 안된다며 부정하는 분들계셨죠.
금리는 계속 올라갈텐데... 5%~6% 갈까요 안갈까요? 전 그 이상도 가능하다고 보고있습니다.
모쪼록, 빚 관리 잘하시구요.
앞으로 경제가 좋아질지 나빠질지 제가 주술사나 법사가 아니라서 모르겠습니다만
만약에 경제가 나빠지게 되면 제일 먼저 타격이 오는 계층은
집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감당 못할 정도로 과도한 빚이 있는 사람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