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인플레 쓰나미가 오네요. 뭘 붙잡고 있을겁니까?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역시 인플레 쓰나미가 오네요. 뭘 붙잡고 있을겁니까?

kdfsd 10 530
작년 말에 이런글을 썼었죠...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house&no=201667 

 

 

작년에 왠만한 사람들은 이미 다 알고있는거였겠지만요.

 

근데 어떤 분들은 인플레를 막아보고자 나타나는 현상인 "금리인상" 에 더 주목하고 기뻐하고 춤추시더라구요.

 

 

어제자로 이런 기사가 떴더군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5644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되는거 같은데요

돈이 휴지가 되는데, 그돈을 어디에 담아두실겁니까?

 

금리인상으로 잘나오는 3%짜리 적금인가요?

아님 4년간 무사히 거주가능하게 된 전세금인가요?

 

집값 잠깐은 주춤할 수 밖에 없죠.

대출도 막히고, 금리도 오르고... 내집마련 입장권 가격이 점점 오르고 있죠.

 

근데 걸러진 사람들만 입장하기 시작하면 어떻게 될까요?

 

지금이라도 금이든 달러든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뭐든 사세요.

파도가 오면 녹아내리는 소금과 같은 현금 같은거 들고 계시지 말구요.

 

금 주식 부동산은 잠깐 빠져도 결국 인플레가 길어지면 그쪽으로 가치가 저장됩니다.

대신 인플레를 이겨낼 수 있는 우량 자산들만 그렇게 되겠죠.

 

그러니 그 힘든 상황에도 알파벳, 애플은 최고가를 찍는겁니다.

인플레고 나발이고 떨어지는 현금가치를 극복하고 더 올라갈 수 있으니까.

 

S&P 500, 삼성전자, 금, 서울아파트 같은 인플레를 극복할 수 있는 자산을 잡아두세요.

여기서 춤추는 사람들 말 믿고 전세금이나 적금'만' 들고 있지 마시구요.

 

어차피 자기 경기는 자기가 뛰는거지, 남이 대신 뛰어주지 않습니다.

 

저는 지금 연말보너스 나온거 들고 빠질때마다 미장에 털어넣고 있습니다.

국장도 약간씩은 물타고요ㅠㅜ

 

 

 

 

10 Comments
돗개신랑 2022.02.05 18:00  
이런시기에는 토지 보유가 최고입니다.
kdfsd 2022.02.05 18:00  
토지는 여윳돈으로 해야하는거라... 왠만한 사람들은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죠. 잘못사면 오래 묶이기도 하고.   지금 시점에 땅도 사두면 정말 좋죠. 특히 다주택자들은요.
dkekek… 2022.02.05 18:00  
금리 등의 인상으로 주식, 부동산이 하방일때 현금이 없다면 무슨수로 투자를 할 수 있나요... 물가가 오른다는건 물건 가격이 올라 동일 소득에서 가처분 금액이 줄어드는 건데, 그럼 현금을 더 보유해야하는게 아닌지요... 대출이란 제도도 있지만 금리가 오르면 큰 매리트가 안될텐데요  
돗개신랑 2022.02.05 18:00  
동의합니다. 실제 부동산 재테크 할때는 사업소득이 뒷받침 해줘야지 가능하긴 합니다. 레버리지도 중요하지만 고가의 물건을 구입하려면 주머니가 든든해야 하지요.
kdfsd 2022.02.05 18:00  
이미 자산이 있는 분들은 현금 더 쟁여둬야 하는게 맞고요. 그게 아닌 사람들은 빨리 뭐라도 집어야 합니다.   부동산, 특히 실거주 1채는 가격 하방왔다고 뺄것도 아니고요. 당연히 대출 이자 리스크는 알아서 계산해야하는거고.(갠적으론 상단 5프로까지는 가정해서)   각자 상황별로 대응하고 있겠지만, 제일 위험한건 관망해야지 하고 현금'만' 쟁이다가 녹아내리는겁니다. 자산 중에 현금 비중을 높이라는거지, 현금'만' 들고 있으라고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죠. 최소한 달러라도 갖고 있어야죠.    
dkekek… 2022.02.05 18:00  
대부분의 사람이 무릎에사서 어깨에 팔고싶어합니다. 다주택자가 아닌이상 꼭지점에서 팔고 하방에서 다시 잡고싶어하는 욕구가 있죠... 고금리에 인플레가 온다면 경기침체가 예상되는데 지나고보면 이 침체시기가 하방의 영역이 아닌가 싶네요. 결국 이시기에 현금으로 떨어진 자산을 매입하는게 최고의 시나리오가 아닐까요
kdfsd 2022.02.05 18:00  
@dkekekek 글쎄요... 저도 주식을 최저점에서 사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대개 실패하더라구요. 그나마 주식이나 코인이나 금은 분할매수 라는게 가능해서 다행입니다.
누난내맘조또… 2022.02.05 18:00  
대출규제, 금리인상으로 격차는 더 벌어지고.. 무주택자들은 넘을 수 없는 강이 되어버렸죠.. 무리를 해서 들어갈수도없는 상황이니 안타깝습니다
퐁포르퐁 2022.02.05 18:00  
소주성 할때부터 하던 말이 이런 상황이었는데 코로나 덕북에 소주성 부작용을 구별할 방법이 없어졌네요. 소주성 때부터 유동성 문제 이야기하면서 비비고님 명문이 나왔지만 이제 누구나 체감하는 상황이 왔네요.   부작용들이 머리로 알고 있던거와 체감하는건 또 다르지요.   이번에 동내 20년된 중국집이 폐업을 했더라고요. 배달 비중이 크니 코로나 탓은 아니고 맛은 역사가 말해주는거니 말할 것도 없는데 문제는 동내 중국집들 가격이 말을 해주지요. 주택가 중국집 잡채밥 하나에 9000원 잘 팔릴까요? 다른 집들 음식 재료 단가 아낄려는 장난도 눈에 보이고요.    다른 중국집 사장님이 배달 인건비 상승이 가장 큰 타격이라고 말하면서 짜장면 가격이 시급인게 보통이었는데 그걸 못 따라가니까 이꼴이 났다고 하네요. 거시적인 경제 상황도 상황이지만 현실 타격은 이제부터 시작이지요.   결국 시급만큼 짜장면 가격이 오를 거고 짜장가격은 우리 식비 지표이니 결과는 뻔해질겁니다.
맛폰사야징 2022.02.05 18:00  
미국 금리를 7번 올린다? 물가가 그만큼 빨리오를거란말이죠 하이퍼인플레이션 앞두고있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