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 연장 문의..ㅠㅠ 월세 추가 요구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전세 계약 연장 문의..ㅠㅠ 월세 추가 요구

YangGo 22 427
안녕하세요.

지난 11월에 집주인 사장님이 인상없이 연장하자고 하셔서 좋게 생각중이었는데,

오늘 갑자기 연락와서 힘든 상황이네요.

 

- 만기 : 2/26일

- 전세금액 : 2.3억

 

2년 전 계약했고, 시세에 비해서 몇천 저렴하게 들어가긴 했습니다.

2.3억에 계약했고, 시세는 4천만원정도 높았어요. 리모델링한지 얼마 안된 집은 3억정도, 

좀 관리 안된집은 2.5억+ 정도 느낌이었어요.

 

 

집에서 물이 새거나, 갑자기 화장실 타일이 깨져서 주인집 내외가 오셔서 몇번 뵈기도 했고요.

 

11월에 화장실 타일이 갑자기 깨져서. 그거 고친다고 오셨다가,

저희가 집도 깨끗하게 써서 맘에 든다며 그냥 연장하자고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오늘 연락오시더니,

(필요없는 말이지만 본인들이 이사를 가야하는데 돈이 부족해서) 돈을 올려받으시겠다고. 하더니

 

현 전세금(2.3)억에 더해서

 

- 월세 20(절충 가능하다. 와이프랑 상의해보고 얘기해달라.)

- 향후 2년 간 수선금은 미반환

 

조건을 얘기하시네요.

 

 

전월세전환율이란것도 찾아보고 하니,

전월세전환율 3% 치고.

 

무려 인상률이 수선금 제외하고도 34.8% 인상을 요구하시는것 같아요

(계산이 맞겠죠?

2.3억을 전월세전환율 3% 계산해보면 월세 57.5만원

+ 인상월세 20만원

=77.5만원으로 재계약 원함)

 

57.5에서 77.5면 134.78% 인상이더라구요.

 

 

계약만기 한달에서 딱 이틀남은 시점인데..

찾아보니 2개월 전까지 집주인이 요청 안하면 자동 묵시적 연장이라던데.

 

그리고 전세연장청구에 따른 법정 한도가 5% 인상인데.


세상이 법대로 돌아가진 않지만,

35%라는 인상률은 받아들이기 힘들기도 하구요..

 

전세대출 다시 받으면 이자 인상률도 지출이 크게 늘어나는데

걱정이 크네요.

 

일단 저의 생각은,

 

- 월세 인상 10 인상해드리고 수선금은 반환받는걸로.

제안해볼까 생각하는데, 

 

이것도 집주인에 대한 도의적인 도리를 하는것같은데..

 

 

그런데 그냥 들어와서 사신다고 하면,

1개월+이틀 남은 시점에 요청하였으니 이사비 지원받을 생각입니다..

 

물론 이사 나갈거면 계약기간 상관 없이 집 구하는걸 기다려주겠다.고는 하는데 이사비는 지원 받는게 맞는것같아요

 

 

이년동안 나름대로 집주인과 좋은 관계 유지하며 살아온것같은데

어렵네요.

 

22 Comments
YangGo 2022.01.24 16:00  
사는곳의 현재 시세는, 최고점이 전세 4.5억인것 같구요.   리모델링도 안됐고 지금 고점시기가 지나가는 시기이기도 하니까. 저희 나가고 새로 전세 구해도 3.8억정도로 예상하더라구요.   저도 지금 전세시세가 그정도 되는것같아요
<img s… 2022.01.24 16:00  
2.3억에 월세 20 추가로 달라고 하는거 아닌가요?  
YangGo 2022.01.24 16:00  
네 전세금은 그대로 유지하고, 월세 추가 20 요구 + 향후 계약 종료 후 장기수선금 미반환(매달 2.4만원정도)을 요구하시네요   처음 계산해본거라 맞는지 모르겠는데, 전월세전환율 3% 치면 이전 : 전세 2.3억 이후 : 전세 2.3억 + 월세 20 + 장기수선금 미반환(매달 2.4만) 을 요구중이셔서 거의 전월세전환 3%쳐서 39% 인 요구하시는 상황인거죠
<img s… 2022.01.24 16:00  
이건 좀 양아치 기질 있는거 같은데요 만료일 전에 말뒤집기는... 갱신권 쓰시거나 복비 받고 나가는게 속 편할거 같네요 깨끗하게 써줘서 고마운데 돈은 좀 더 내라는 말이 뭔 논린지 모르겠습니다;
YangGo 2022.01.24 16:00  
@쇄골탑승자 만료일이 한달하고 이틀 남은 상황입니다 만료가 이틀남은건 아니고..   얘기해보면 본인이 이사가셔야하는 상황이 온거는 알겠는데, 저도 갑자기 저렇게 요구하는게 도가 지나치는듯해서요
화양명화대지 2022.01.24 16:00  
됐고 그냥 2년 더 살겠다고 하세요 2년후 이악물고 전월세 알아보든지 대출끼고 매수 하세요
YangGo 2022.01.24 16:00  
2개월전 조건이 지났으니 그냥 지금 조건 살겠다 배째라. 시전하라는 말씀이신거죠?
화양명화대지 2022.01.24 16:00  
법적으로 2년은 보장 된거니까요 집주인이 실거주 드립도 안통하는거고. 단, 2년후 무조건 겨난다는 각오로 이악물고 후일을 도모하세요
YangGo 2022.01.24 16:00  
@화양명화대지 그렇게 요구하기가 실제로 어렵긴 한데요.. 2개월이 안남은 시점에서 딜이 들어와서   애초에 2년이 보장받는 시점은 맞는거죠?.. 법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싶어서요 제가 이해한게 맞나
화양명화대지 2022.01.24 16:00  
@YangGo 전세 계약일이 2020.12.10 이전이면 만기 2개월 전에 통보해야 합니다
도오깨비 2022.01.24 16:00  
전세폭등칙칙폭폭!
YangGo 2022.01.24 16:00  
전세계 집 값이 폭등한걸 어쩌겠습니까 후우 ㅠㅠ 저도 어서 정리될거 정리되어서 집 매수하고싶네요..
화양명화대지 2022.01.24 16:00  
만약 월세 올려서 재계약하고 다음 만기시 계약갱신청구권 쓴다고 해도 그때 집주인이 실거주 한다고 하면 겨나는거잖아요 님의 최선의 방법은 그냥 이대로 2년 더 살고 나오는게 맞습니다
가루라님 2022.01.24 16:00  
걍 전세시세 1.5억더올른거 아닙니까? 전세 1.5억 더주고 집 구할건지. 아니면 월세 20만원더 낼건지생각해보면되죠. 1.5억 곱하기 3.5프로면 년 525만원.  12개월로 나누면 한 43만원/월 은행이자로 매월내는거보다 충분히 저렴한데... 집주인도 많이 양보했구만요
YangGo 2022.01.24 16:00  
전형적인 집주인 마인드 vs 세입자 마인드 싸움인거죠 뭐.   검색해보니 전세 실거래가 발생한거는 작년 하반기(21년 7월) 이후에 단 3건입니다.,    21년 7월 : 3.1억  21년 11월 : 3.5억/4.2억   말씀하신대로, 월세를 더 낼지. 아니면 이사갈지 정하면 되는게 맞는데, 사실 전세계약청구권도 있고, 만기가 너무 조금 남은 시점인것도 큰거죠.   제가 3월이든 4월이든 이사가게되면, 복비는 물론 중도상황수수료 + 이사 일정금 지원까지 요청하는게 맞는거같네요.
레로아빠 2022.01.24 16:00  
개정된 임대차보호법의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고시 의무는 2020년 12월 10일 이후 최초로 체결되거나 갱신된 임대차부터 적용됩니다. 그 이전 계약된 임대차 계약이니 1개월전 고시 의무가 맞습니다. 이사비는 혼자 내세요.
YangGo 2022.01.24 16:00  
위에 다른분은 20년 12월 10일 이전 체결.. 레로아빠님은 이후체결이라고 하시네요. 다시 찾아보고 댓글 달게요
YangGo 2022.01.24 16:00  
20년 12월 10일 이후 체결부터 2개월 적용되는게 맞네요. 저는 20년 2월 체결, 22년 2월 만기니까 어쨋든 2개월이 적용되는게 맞겠네요..
PAPAJS 2022.01.24 16:00  
@YangGo 님은 이전입니다..
화양명화대지 2022.01.24 16:00  
와 ㄷㄷㄷ 저도 헷갈렸나 보네요 ㅠㅠ 다시 확인해야 겠어요
YangGo 2022.01.24 16:00  
제가 조항 확인해보니 이후가 맞습니다. 최신 법은 최신 계약부터 적용되는거죠
레로아빠 2022.01.24 16:00  
해당 건의 해석은 생각보다 더 복잡 할수도 있겠네요.   우선 단순 묵시적 갱신이 맞나? 라는 것이 주쟁점이 되겠네요. 11월에 임대차 계약에 대한 재계약에 대한 협의 건 (묵시적 갱신권 성립O/X)   당시 재계약에 대한 구두 합의에 대한 계약 성립 및 이행 의무 여부   이후 변경점에 대한 재계약 제안 건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