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보다 빨리 나가는 전세 복비부담이 어떻게 될까요?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만기보다 빨리 나가는 전세 복비부담이 어떻게 될까요?

샤기어 8 811
제가 세입자구요

 

현 거주지에 2016년 11월 전세계약후 18년에 묵시적 연장 20년 11월에 보증금 올려서 2년 재계약 했습니다

 

만기는 2022년 11월인데 사정상 1년정도 앞당겨서 이사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보통 묵시적 연장시에는 계약에 얽매인게 아니라 언제든지 나갈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저같이 계약서를 갱신해서 재계약한 경우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올시 집주인이 내야할 복비는 통상 제가 부담 하는게 맞는거죠?

 

이경우 제 보증금보다 증액해서 세입자가 들어올경우 저는 제 보증금 만큼에 복비만 부담하는것도 통상 관례인지 문의 드립니다

 

예) 현 보증금 3억 새로운 세입자 4억 일시 3억에 대한 복비만 부담

8 Comments
부포 2021.07.05 09:00  
이 부분은 집주인이랑 상의하세요

 

집주인이 죽어도 못빼주겠다 하면 님이 천만금을 가져가도 못빼는거라서요.

 

저는 집주인이 증액된 금액 기준으로 복비 요구하더군요 ㅡㅡ;; 심지어 묵시적 갱신인데. 그냥 무시하고 3개월 이후 해지 해버렸습니다.

샤기어 2021.07.05 09:00  
전세시세가 제 보증금보다 꽤 올라서 집주인이 바보가 아닌이상 안弧逞않을꺼 같습니다 제 입장에선 남은 1년 전세자금대출 이자보단 복비주고 빼는게 이익인 상황이구요 서로 윈윈이라 감정싸움할일은 없을듯 한데 전세금 인상분까지 제가 복비 부담하는게 맞는건지 궁금한 상황입니다 
부포 2021.07.05 09:00  
집주인이 만기에 맞춰서 실거주를 염두에 두고 있었을 수도 있고 모르는 일입니다.

 

일단은 집주인분께 다른 말 없이 혹시 먼저 뺄 수 있냐고 물어보고 그러면 집주인이 이렇게이렇게 요청하면 그냥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에터 2021.07.05 09:00  
작년 11월 갱신이면 갱신요구권 행사에 기한 갱신일 거고, 이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 해지를 통보할 수 있고, 통보 후 3개월이 지나면 임대차가 종료됩니다. 그러니까 올해 8월즈음에 통보하시면 11월에 해지가 됩니다. 글쓴이는 추가 비용을 부담할 의무가 없습니다.

혹 임대인의 갱신요구에 그냥 협조해서 갱신된거면 해당없음, 또는 합의를 통해 갱신요구권을 다음에 사용하기로 한다 뭐 이런 경우도 해당하지 않을 수 있고요.

법적으로는 그렇고,

글쓴이 나갈때 당일에, 혹은 며칠 내에 보증금 받아야 하죠? 근데 임대인이 복비 안내면 보증금 못내준다 떼쓰면 어떻게 될까요? 그냥 눈물을 머금고 글쓴이가 복비 내는 경우가 생깁니다. 소송걸어도 몇개월 걸리는데 그걸 버틸 재간이 없으니까요. 

결국 임대인이 진상이면 별수 없음. 임대인이 저처럼 준법정신 투철한 사람이면 별 문제 없이 처리되겠지만.

임대인 비위 적당히 맞춰서 돈 달라고 안하면 다행, 달라고 하면 잘 말해서 깎던가 방어하던가... 안되면 결국 걍 달라는대로 주고 나오고요...

 

혹 글쓴이가 현금이 많거나 현금동원능력이 풍부해서 보증금 당장 안받아도 된다면 법대로 하면 됩니다.

3개월 전 통지, 3개월 지나도 보증금 안주면 임차권등기명령신청, 임차권등기에 기한 경매신청해서 배당받으면 끝. 물론 이 경우도 귀찮으니 너 자꾸 삐딱하게 나오면 나 이렇게 할거다.. 선언해 주고 그냥 퇴거일에 돈 받아 나오는 게 베스트

 

부포 2021.07.05 09:00  
갱신요구권 행사 아닐 수도 있습니다.(상황상 아닐 것 같구요)
에터 2021.07.05 09:00  

그냥 개인적 의문에 질문드립니다.

정황에서갱신요구권행사가아닐같다고생각하신이유가무엇인가요?

부포 2021.07.05 09:00  

@에터 갱신권을 썼으면 5%만 인상해줬다든지 하는 얘기가 있을텐데 그런 얘기가 없어서요?

멋진통통이 2021.07.05 09:00  
복비부담이 자기가 낸 만큼 부담한다? 그런게 어딧어요. 그냥 집주인이 세입자 귀책사항으로 하지도 않을 계약하고 복비부담을 이중으로 해야하니, 약속을 어긴 세입자가 새로운 세입자들 들여놓고 집빼는거지요. 그럼 당연히 새로운 세입자을 계약하기 위한 제반비용(복비)를 내야되는거라 생각하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