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3채 중 1채 사라져
올해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3채 중 1채 사라져
김희진 기자 [email protected]
5일 부동산114가 조사한 서울 구별 아파트 매매 시세 6억원 이하 가구 수와 비중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초 25만9785가구였던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는 지난달 말 17만6186가구로 32.2% 줄었다.
구별로 보면 특히 광진구 내 시세 6억원 이파 아파트는 지난 1월 829가구에서 지난 6월 188가구로 77.3% 감소했다. 은평구(-58.6%)와 동작구(-54.6%), 강동구(-53.9%)에서도 절반 넘게 줄었다.
같은 기간 시세 6억원 이하 서울 아파트 비중은 20.2%에서 14.4%로 5.8%포인트 떨어졌다. 중랑구(-17.9%p), 금천구(-15.9%p), 노원구(-15.8%p), 도봉구(-13.1%p), 은평구(-11.5%p)에서 시세 6억원 이하의 아파트 비율이 10%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서울 25개 구 중에서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절반을 넘는 곳은 올해 초만 해도 도봉구(67.2%), 금천구(60.2%), 중랑구(58.6%), 노원구(55.4%) 등 네 곳이었지만, 지난달 말 기준 도봉구(54.0%)만 남았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소형 아파트값도 덩달아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세 6억원 이하는 소득 7000만원(신혼부부 8500만원) 이하 가구에 제공되는 2%대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이나 무주택 실수요자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우대 등을 적용하는 중저가 주택 기준이다. 특히 이달부터 무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 시세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 매수수요가 늘어나고 가격 상승도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무주택자에 대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우대 비율은 이달부터 10%포인트에서 20%포인트로 높아진다. 보금자리론의 세대당 대출 한도도 3억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늘어나고, 40년 만기 상품을 도입해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 부담도 줄였다.
임병철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도봉, 금천, 중랑, 노원 등은 여전히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비중이 큰 편”이라며 “이달부터 무주택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완화됐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관심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