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할수없는 부채위기가 다가온다.
얼마나 재밌을지 두근반세근반하며 읽어보았습니다.
스크롤 압박이 긴 글이니 유의부탁드립니다.
가계부채 증가율은 한국이 최상위권입니다.
다세대 빌라 전세및 매매가도 멱살잡고 올려버리는 임대3법의 위엄~~
대출이 안나오니 매매자체가 안되고 그러면 상승률은 낮아질수밖에요..
근데 하락했다는게 아닌 상승률이 낮아졌다는게 함정!
임대3법으로 전세갱신물량과 신계약가격의 가격차이가 엄청나게 벌어짐
월세대비 부담이 절반에 불과한 전세제도
우리의 소중한 전세제도는 이제 서서히 역사의 뒤안길로~~
금리 인상되면 부동산가격은 하락할수밖에 없다고요?
놉~ 금리인상기에 오히려 주택가격 상승률이 올라가는 경우가 상당수입니다.
그래서 주택가격의 가장 중요한변수는 수요와 공급이고 금리는 두번째 요소입니다.
아니 가계부채 증가속도보다 빠르게 주택가격이 상승하네요~
그러면 대출금액대비 담보비율이 자꾸만 낮아지니 담보대출은 갈수록 건전해지네요..
주택거래시 세안고 매매가 많았기에 부채조달비중에서 전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입니다.
당연하죠 대출규제로 담보가치대비 턱없이 적은 금액만 대출해주는데 무주택자가
전세안끼면 주요지역 아파트를 어떻게 구입하나요
내년 임대3법 갱신물량 시중에 나오면 전세가율은 여기서 더 올라가겠죠.
(물론 현재 고공행진중인 신규전세가는 지금보다는 낮아질겁니다)
주택가격 상승률63%
주택담보대출 상승률 32%
즉 5년사이 담보대출은 2배정도 건전해졌습니다~~~
반대로 전세자금대출증가율은 280% ㄷㄷㄷ
상황이 이런데도 담보대출 집단대출은 꽁꽁 틀어막고 전세자금대출만 풀어주다니
대체 무슨의도 입니까??
연체율 보세요
모기지연체율 0.14 ㄷㄷㄷ
너무나도 건전해서 하품이나올 지경입니다.
빅쇼트영화한편보고 부동산폭락이 오니 어쩌니 하던분들 제발 현실인식부터 바로합시다.
정부부채포함 한국은 부채가 과다한편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대선공약 기본소득은 어떻게 실현가능할까요?
1. 국채발행
2. 국토보유세
3. 공약이행불가
가계부채에서 전세자금대출이 문제입니다.
그런데 왜 반대로 담보대출을 틀어막는거죠?
규제로 인해 신용대출 성장률이 늘었지만 이제는 신용대출도 막혔으니 큰 의미는 없는 지표입니다
언젠가는 하락기가 찾아옵니다.
주택보다는 수익형 부동산의 매각가율이 낮네요.
큰부자는 위기에 탄생하는법
다들 물건던지고 공포에 질릴때 평소에 사고싶었던 부동산을 매입하면 되겠습니다.
주택가격 하락기에는 거래량이 줄어서 매매가 쉽지않죠
가격하락폭은 평균이라 그런지 14% 정도인데 실제 체감느낌은 30%는 되지않을까 추측합니다.
즉 하락기가 왔을때 반토막을 기다리기보다는 30%즈음 하락했다면 매수하는 전략도 괜찮을듯 하네요
이렇게 보니 강남이 저평가가 확실합니다.
광주광역시도 아직 저평가 구간이네요
빈집비율 주택보급률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통계입니다.
사람들은 지하주차장 딸린 30평이상 아파트만 주택으로 생각하니까요.
심지어 빌라 반지하 다 합쳐도 수도권은 보급률이 100프로가 안됩니다.
이러니 신축위주로 폭등할수 밖에요..
--------------------
결론
1. 담보대출은 연체율도 극도로 낮고 담보비율도 낮아져서 위험이 발생하기 힘들어보인다.
2. 가계대출의 가장 큰 뇌관은 전세자금대출
대선후에는 어떤식으로든 규제가 들어올듯
3. 서울은 아직도 싸다.
4. 공급없이 금리인상으로는 주택가격을 억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5. 내년 임대3법 종료물건은 또한번 전세가격 상승을 초래한다.
6. 전세가격상승 + 전세자금대출규제 = 높아진 전세금을 감당못하면 반전세로 전환되거나 외곽지로 밀려날수밖에
7. 하지만 금리인상시그널은 명백하다.
무리한 레버리지는 자제, 대출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때.
8. 보유세, 종부세, 국토보유세 등등 어떤세금이던지 임차인에게 100프로는 아니더라도 일정부분 전가된다.
이제 고품질의 아파트에서 저렴하게 거주하는 시대는 끝났다.
9. 금리가 오를수록 현금흐름이 중요하다.
본업에 충실하자.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