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에 관한 짧은 글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금리에 관한 짧은 글

전설의요정 5 882
지금부터 드리는 말씀은 제가 유튜브 강연, 책, 이론, 뉴스 등을 보고 드리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완벽한 글이 아니니 보시고 전문가분들이나 개인분들도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하지만 일방적인 비난행위는 용납하지 않습니다. 

 

종합적인 결과는 앞으로 한국은 금리를 계속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태입니다.

저는 5년전에 부동산이 코로나땜에 한번 맞지 않겠냐 생각을 했는데 말도 안되는 생각이었죠

양적완화의 파도 속에 주식, 비코, 부동산은 정신없이 올랐습니다. 

사상최대의 저금리 시대였죠 

부동산 중개사도 왜 빚내서 안사냐고 할정도로 빚을 권하는 시대였습니다.

영혼까지 끌어모아서 사서 따블 따따블 갔다는 사람들도 속출했구요 

그렇게 양적완화 재난지원금 등 시중에는 돈이 넘쳐나는 상태였죠 

그런데 이건 전세계가 다 하는 일이었습니다. 

정확하게는 그 돈이 산업으로 흘러가서 새로운 신사업을 개척해야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리스크 큰 신생스타트업보다 

자산의 가치가 정확한 주택으로 몰린거죠 

 

많은 분들이 이때 영끌하셔서 집을 사셨습니다

 

문제는 돈을 어마어마하게 부었던 미국이 테이퍼링을 하겠다고 말한 시점부터였죠 

그때까지만 해도 미국이 얼마나 올릴지 모르는 상태였거든요 


사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면 한국은 선제적으로 올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맞습니다. 한국이 만약 한템포라도 늦으면 우리도 일본 같은 잃어버린 30년의 길에 접어듭니다.

이유는 저도 모릅니다. 어느 경제학 교수님이 강연에서 그러시더군요 

어제도 올린 0.25 도 미국하고 타이밍을 맞춘거죠 

현재 나온 자료로는 미국이 연내 4번 정도 더 금리인상을 한다고 합니다. 

 

그에 맞는 대처가 필요한 거죠. 

부동산만 포커싱해서 보시는 경향이 보이던데요 사실 다양한 경제, 산업 들도 고려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금리가 올랐을때 산업이 위기가 오면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 

금리가 올랐을때 외국경제가 어떻게 바뀌어서 부동산이 바뀔지

 

이런 것들도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죠 

 

IMF나 리먼브라더스사태도 

전자는 우리나라 문제이지만 리먼브라더스는 미국 문제인대도 영향이 있었죠?

 

그런 위기가 있어도 결과는 올랐다~ 

부동산은 위대하다 하실 수 있는데 

저도 이렇게 말하긴 합니다만

 여기에 전제는

존버도 감각이 있어야 하고 보는 눈이 있어야 합니다. 

버틸 수 있는 체력이랑요 

 

저희 집은 20년 넘게 한 아파트에서 살았습니다.

그럼 부동산 수익률로 따지면 몇 억을 벌어야 평균값일까요???

 

예 저희집은 산가격에서 200만원 즉 이사비 받고 나왔습니다. 

요즘에 그 동네를 가면 한 5000만원 올랐더라고요 30년 지난 이시점에요

 

   

5 Comments
렛잇비198… 2022.01.15 14:00  
한번 컴터켜서 정리를 해드려야하나   이번에 부포보면서 매크로적인 부분에서 아쉬운 댓글들이 너무 많네요
전설의요정 2022.01.15 14:00  
정리 부탁드립니다. 저도 좀 배우게요 솔직히 부동산은 배우면 배울수록 재미있어요
92바다 2022.01.15 14:00  
내용이 뭐죠?? 이해 안돠게 쓰는것도 능력인듯...
qt보면도망… 2022.01.15 14:00  
언어영역 1등급이시네요
92바다 2022.01.15 14:00  
그리고 그런 동네 살았으면.... 그건 자랑 아니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