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의 교환방정식 - 피셔 & 사이먼 뉴컴
교과서 원론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MV = PQ
이게 1911년 피셔가 내놓은 교환방정식입니다.
풀어서 쓰면
Money * Velocity = Price * Quatity
본원 통화량 X 화폐유통속도 = 상품의 가격 * 상품의 수량
여기서 Money 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본원 통화량
Velocity 는 화폐유통속도로 명목 GDP / 통화량 M2 입니다.
부포이니 여기서 상품은 여러분이 관심있어 아파트입니다.
공구리는 고정되지 않으므로 공급이 있거나 멸실이 되거나
기축의 시장 출회물량 등이 있긴 하지만 아무튼
제일 관심이 가는 것은 가격이 어떻게 될까 이므로...
아파트가격 = 본원통화량 X 화폐유통속도 / 아파트 공급량
아파트 가격은 본원통화량과 화폐유통속도의 곱이므로 이 값은 결국
장기적으로 M2 에 비례하게 됩니다.
제가 늘 장기적으로는 M2 랑 비교해야 한다는 학문적인 근거이기도 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여기서 화폐유통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것은 아파트 가격을 내리는 요소로 작용을 합니다.
폭락론자들이 금리금리 무새하는 이유는 적어도 교과서적으로
틀린 말은 아닌데...
물론 금리를 많이 올리면 조달금리 상승으로 건설비가 상승하고
금리가 오르는 원인 자체가 인플레라... 신규 공급량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거기게 본원통화량을 늘리는 추경 등이 현재 있고 ...
음 아무튼 이런 것은 앞을 못 보는 폭락주의자 눈에는 안 보이지만.
저도 부린이고 부포에 고수분들이 워낙 많으니
지금 이런 것도 뭐라 적으면서도 매우 부끄럽습니다만...
혹세무민하는 사람들 많으니 지엽적인 것 말고 학문의 기초로
정립된 것을 먼저 공부하는게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면 주식 투자하는데 공매도, 스캘핑 초단타,
파생상품부터 공부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