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군이 좋다고 하는데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건가요..?

정보/뉴스


스포츠정보


인기게시물


인기소모임


최근글


학군이 좋다고 하는데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건가요..?

지구로코 8 136
어디 아파트는 학군이 좋다 라고 하는데.

학군이 좋다는 기준이 어떤걸로 애기하는지요..?

 

애가 없어서 집 구할 교통이랑 초등학교 옆에 있는것만 생각했는데... 학군 좋은건 그닥 신경을 못썼네요...

 

학군이 좋다는거에 절대적 기준 같은거 있나요..?

초중고 근처에 있으면 좋은건 당연히 아는데.

 

해당 학교가 좋은학교인지 안좋은 학교인지 이런걸로도 평가하나요..?  고등학교는 대학교 진학률 정도로 체크 할수 있고, 중학교는 특목고 잘보내는지 이정도 체크 하게 되나요..?

 

중학교, 고등학교는 대충 어느 학교가 좋은지 알것 같은데 초등학교는 기준으로는 학군이 좋다고 말할때 어떤점을 기준으로 좋다고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8 Comments
conste… 2022.02.18 17:00  
중학교는 어디가 좋은지 아시죠?   그 중학교 보내는 초등학교 중에서도 임대없고 빌라촌 없는 초등학군이 좋은 학군입니다.   예를 들어서 대전의 둔산동이 학군지인데   한밭초는 크로바 목련 한마루 햇님아파트가 배정이고 빌라촌이 없구요(뭐 건너에 오피스텔들에서도 한밭초에 배정받기는 할겁니다만) 문정초는 국화아파트와 그 밑의 빌라촌에서도 배정받습니다.
에터 2022.02.18 17:00  
초등학군은 안보고 걍 그동네 중학군 보시면 됩니다. 
conste… 2022.02.18 17:00  
제 기준에선 초등학군이 더 중요합니다.
장수의비결 2022.02.18 17:00  
솔직히 말해서 초~중은 그닥 의미 없고요..   동네(지역) 따라 배정되니깐 동네 수준을 따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잘살고 좋은동네가 조금이라도 좋긴하겠죠. (절대적인건 아님)   아니면 조금 널널한 시골(?)분위기가 초등학교는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애들이 문제가 아니고 다른 집 애들이랑 비교하면서 학구열 올리는 부모들이 문제거든요. (아니면 형편상 조금 정상적이지 않은 가정이 많다던가..)   이게 동네 분위기 따라갑니다.   제 경험상 적당히 좀 사는 동네는 의외로 학구열이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약간 한적한쪽으로 빠져도 전반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그냥 그렇고요.. 아주 잘사는 동네야 별나라 얘기니깐 의미없고..    애매~ 하게 서울 변두리나 경기도 서울 근접한 동네가 엄마들 학구열은 높은데 공부는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뭐 자기들이 제일 잘났다고 생각하고 이상한 짓거리 많이 한다고 보면됨. 쳐다보는건 잘사는 부자들이나 현실은 한적한 동네보다 소득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으니 집값으로 나가는 대출이 많아 생활은 쪼들려 맞벌이 많이하고.. 서울만 쳐다보니 눈만 높고..) 애들만 들들 볶죠..   근데 그게 성적으로 표출 되는건지?  그런 동네엔 공부 잘하는 고등학교가 없습니다ㅋ 있었던 적은 있어도 지금은 없죠..   오히려 약간 한적한 동네가 공부 잘하는 학교가 많습니다.  특히 경기도 쪽 고등학교가 뺑뺑이가 아니라서 공부잘하는 애들 성적순으로 나눠서 서울에서도 많이 옵니다.   그 외에는 학원가 많은동네가 학군좋다고 하는듯 합니다.
렛잇비198… 2022.02.18 17:00  
고등이 의미없지 않나요    중등때 세팅 끝내고 고부터는 기숙사학교로..
에터 2022.02.18 17:00  
중학군은 좋지만 고등학군이 나쁜 동네는 중학교에서 잘한다는 애들 다 특목고로 빠져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예전에는 어떻게든 특목고 가면 대학 잘 갈 확률이 높았으니 좋았는데... 특목고 죽이기 들어가서 지금 과도기라 좀 혼란스럽죠. 어쨌거나 학군지 부모와 학원들은 방법을 찾아낼 겁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정권 바뀌면 다시 예전처럼 중학군만 보고 고등학교는 잘하는 놈은 당연히 특목고 가는 걸로 바뀔 수도 있고요.
conste… 2022.02.18 17:00  
조금 더 보태보자면 뭐 여기는 학군지는 아니지만   대전의 성천초등학교/성룡초등학교를 보시면 성천초등학교는 영구임대인 둔산주공 배정이고, 성룡초등학교는 아닙니다. 그래서 성천초등학교는 전교생이 100명가량, 성룡초등학교는 1000명 가량입니다.   그리고 도안신도시의 경우에는 1단지 4단지 10단지가 임대이기때문에 임대가 없는 상원초등학교가 학군이 좋고(근데 어차피 여기 중등학군부터 답없어서 진짜 학군따지는 분들은 둔산갑니다), 곧 생길 복용초등학교도 아이파크1단지,2단지가 단지내 임대가 좀 있긴해도 그래도 뭐 괜찮을겁니다.
사진가의길 2022.02.18 17:00  
공부야 학군보다 부모 머리 유전되는거고요. 강남이나 목동같은데 아니고서야 학군 따지는건 공부 잘하라고가 아니고 삐딱하게 자라지 말라는겁니다. 1. 빌라촌이랑 안섞이고, 2. 입학생보다 졸업생이 많으면 좋은 초등학교에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