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상위 20% 집값, 처음으로 평균 11억원 돌파
전국 상위 20% 집값, 처음으로 평균 11억원 돌파
정유미 기자 [email protected]
29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의 월간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이달 전국 5분위(상위 20%) 주택가격은 평균 11억379만원으로, KB가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11억원을 넘긴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전국 5분위 주택값은 2017년 2월 평균 6억원을 넘긴 뒤 2018년 9월 7억원을 돌파하며 1년 7개월 동안 1억원이 올랐다.
이 후 1년 4개월 만인 지난해 1월 8억원을 넘긴 뒤 다시 7개월 만인 8월 9억원을 넘어섰고, 5개월 뒤인 지난달에는 10억원을, 그 뒤로 다시 5개월 만에 11억원을 돌파했다.
5분위 주택값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8.1%(2억4179만원) 올랐고, 2년 전보다는 47.9%(3억5767만원) 뛰었다.
전국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의 경우 지난해 12월 5분위 주택 평균 가격이 20억원을 넘어선 데 이어 불과 4개월 만에 21억7749만원으로 21억원을 돌파했다.
서울의 5분위 주택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하면 3억2329만원(17.4%), 2년 전보다는 5억5449만원(34.2%) 올랐다.
전국 기준으로는 고가 주택값이 크게 오른 사이 저가 주택값은 미미한 수준으로 올랐다.
이달 전국 주택 1분위(하위 20%) 평균가격은 1억2386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8.3%(954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2년 전과 비교해도 상승 폭은 9.2%(1044만원) 수준이다.
2018년 초강력 규제 정책으로 꼽히는 9·13 대책 영향으로 2019년 전국의 3·4·5분위 주택가격은 0∼6% 수준으로 오름폭이 줄고, 1·2분위 주택값은 오히려 2∼3% 내려간 때문이다.1분위 주택값은 2019년 1월 평균 1억1601만원에서 지난해 1월 1억1216만원으로 3.4%(385만원) 떨어졌고, 이달 1억2386만원까지 상승했다.
최근 2년 동안 가격 상승을 보면 가장 비싼 5분위 주택값이 3억5000만원 넘게 오르는 사이 서민층이 거주하는 1분위 주택값은 1000만원 남짓 오르는 데 그쳤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달 전국 주택의 5분위 배율은 8.9로, KB 통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