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후 제 노후 현금흐름, 자녀 증여상속 (feat. 주식 & 종합소득 과세)

퇴직후 제 노후 현금흐름, 자녀 증여상속 (feat. 주식 & 종합소득 과세)

뽀물 59 2061


불금에  잠들기전 제 퇴직 후 노후 현금 흐름을 

현재 보유 연금과 매년 예상 수익율, 소비액 등 엑셀로 세부 정리 하다가 거의 밤을 새웠네요 ... 

정리하면서 느낀 점을 상세 시뮬레이션 및 자산 엑셀 외에도 기록으로 하나 남겨둬야 할 거 같아 글 씁니다. 


이 글이 이제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도 노후 준비 계획에 도움이 됬으면 좋겠고, 

저랑 비슷한 연배분들에게는 한번 깊이 생각해 볼 기회가 되기를 빕니다.



사실 제가 특별히 노후 준비한건 어찌보면 없는데, 

그냥 한 회사만 20년 넘게 다니다보니 이게 좋은 노후 준비였나 봅니다.


국민연금도 엄청나게 불어나 있고...

현재까지 납입 적립 원금만 1억이 넘은 거 같습니다. 현재까지 납입 적립 원금만 8000만원 정도가 되는거 같습니다.

(수정 추가 코멘트: 국민연금 조회 사이트 가보니, 예상 월 수령금액이 세전 149만원에 60세까지 만기시 적립 예상액이 1.5억이네요

    현재까지의 적립 원금은 사이트에 안나와서 앞으로 납입 안하는걸로 시뮬해보니 8000만원 정도 쌓은거 같네요

    아.. 그리고 아래쪽 내용에  월 현금흐름에 국민연금 149만원으로는 수정 안하겠습니다. 

    ㅎㅎ 55세까지만 적립하는걸로 사이트에서 시뮬하니 월 수령액이 딱 130만원이네요. 

    그래도 앞으로 임금이 오르기는 할거니까 수령액은 55세까지 해도 130보다는 더 나올 듯. )


입사할 때 회사에서 반강제로 가입시켜준 개인연금(보험)이 최저 이율 5.5% 보장 형태라, 현재같은 저금리 상황에서는 완전 효자네요. 

(20년 전 당시에는 5.5% 최저보장이율이 엄청 낮은거라고 생각했었던건데 말이죠. 세상일 몰라요. 

 월급의 몇 %를 공제 당하고 제가 낸 돈만큼 회사에서도 내줘서 2배가 매월 적립됩니다. 이것도 현재 평가액이 6000만원 정도)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이어서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작년 6월말부터  주식을 적립해 나가고 있기도 합니다. 


[FAQ] 왜 하필 삼전과 대형주 ETF 동일금액 장기적립 투자인가?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782855


[월100만원] 삼전 / Tiger top 10 9회차 적립현황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6087191CLIEN


매월 100씩 적립 방식으로 10년 모아가면 원금만 1.2억입니다. 

10년이 지나면 원금 외에 배당 재투자와 주가 상승으로 이 적립의 경우 평가액이 4~5억 3~4억은 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작년에 집 하나 정리해서 목돈 들어간 것도 있고해서, 퇴직시 보유 주식 자산은 보수적으로 10억으로 시뮬 합니다. 

(수정 추가 코멘트: 10년 후 10억 주식 자산은.... 

  목돈 들어간 포션에 대해서는 10년 5배는 예상하지만.... 여기선 2배 정도로 봤구요. 

  10년 주식 적립액도 4~5억이라고 말은 썼지만.. 3억 정도로 합산했었습니다. 아무튼 10년 뒤 주식 10억은 될 거 같네요. )



현재 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을 제외한 전체 자산 중에 금융자산은 모두 주식이고 12~13% 비중입니다. 

30% 까지 올려야한다고 보고 열심히 적립중이고요.


전체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0% 수준으로 과도하게 양호합니다. 

부채 비율이 너무 낮아서.... 재무적 관점에서는  좀 더 리스크를 가져가도록 레버리지를 써야 하는 상황인거 같네요. 

(ROE가 너무 낮음 -_-)




자 본론으로.... 퇴직 후 현금 흐름을 정리하다 느낀건 


1. 퇴직 후에 연금 수령이 시작될텐데...  종합소득 합산과세 때문에 연금이 시작되면 일을 하면 안되겠다. 그래 재밌는 취미를 하면 되지!

2. IRP계좌에 추가납입을 통한 절세와 과세 이연을 고려해야하나 고민 중이었는데 계산해보니  진짜 이익인지... 더 모르겠네....

3. 그래도 이렇게 퇴직 때 까지 쌓아간다면, 나머지 인생 반을 사는데에는 큰 문제는 안되겠구나... 건강이 문제겠네. 운동! 운동 !!!


퇴직전에는 금융 종합소득 합산과세가 엄청나게 무섭지만....  

퇴직후에는 근로소득 자체가 없기 때문에 종합소득 합산과세가 되더라도 낮은 세율 대역이라 이게 크게 무섭지는 않을 거 같네요. 

그래도 5.5% 연금세로 막을수 있는걸 굳이 종합소득 합산과세가 되게 할 필요는 없겠죠.



세금 관련 복잡한데 ㅎㅎㅎ 아래 링크 글이 정리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https://freekom.tistory.com/2

16217703047634.JPG



IRP 계좌를 미리 만들어서 퇴직금 외에 별도로 납입을 해놔야하나 그간 계속 고민 했었는데...

지금 미리 넣어서 과세 이연 및 절세를 할수 있어 좋겠지만, 과연 연금 수령액의 5.5%를 연금세로 계속 내는게 정말 유리한걸까 ?

종합소득 과세 대상이 되게 하거나 종합소득 합산 금액을 키워버리는 영향이 있지 않을까? 


개인연금 수령액이 연간 1200만원 (월100만원) 이 넘어가면 이것도 종합소득세 대상소득에 들어갑니다. 이하일 때는 분리 과세

(국민 연금 및 IRP 중 퇴직금을 연금으로 넘긴 금액에 대해서는 1200만원 분리 과세 한도에는 안들어간다고 하네요.

 이게 말이 또 복잡한데... 국민연금 자체는 공적연금으로 분리과세 한도 대상은 아니지만... 

  종합소득 합산 소득에는 들어간다고 합니다. 도대체 왜 ?  -_- )


IRP에 소득공제 받기위해  추가 납입해서 받게 되는 연금은 1200만원 넘어가면 종합소득 합산에 들어가고요. 

현재 개인연금이 월 70정도로 년간 840만원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게 1200만원을 안 넘기려면 

월 30만원 이하로 나오도록 추가납입 규모를 맞춰야한다는건데... 와... 쉽지 않네요. 

IRP 추가납입을 통한 주식 투자가 너무 잘 되서 연금액이 늘어도 종합소득에 더해지는 묘한 상황 

물론 다른 소득이 없다면 종합소득 과세 세율 자체는 9% 정도가 되겠지만... 


그러나, 나중에 배당수익도 2000만원을 넘기고 국민연금은 원래 종합소득에 합산 들어가고...  

이 두 소득 합산에 개인연금 1200 초과되어 합산 되면 세율 대역이 확 올라버리는 상황이 올 수 있겠죠. 

(예:  배당 2100만  + 국민연금 1800 +  개인연금/IRP 1300 = 5200만.   으.... 24% 세율 대역)


제 경우 개인연금 예상 만으로도 분리과세 1200만원 한도에 가까워서 

연금세 분리과세 5.5% (70대 4.4%, 50대 3.3%)가 간신히 낼 수 있는데, 

IRP계좌를 미리 만들어서  +a를 넣어 종합소득 합산 과세 대상으로 만들 필요가 있는지는 부정적이 되네요.

(차라리 현재 나오는 배당도 15.4% 세금 미리 낼꺼 다 내서 세금은 확정 지어 놓자는거죠... 

  IRP 추가 납입해서 투자한 주식이 잘 되서 금액이 엄청 커졌다면 커진 금액에서 5.5% 내는것도 왠지 짜증이 날 듯.. ) 


퇴직 전 배당소득이 년간 2000만원 넘으면 근로소득과 합산되니 세율 35%정도로 엄청난 세금을 내야겠지만...  

(안넘었으면 15.4%로 분리 과세 300만원 낼 세금이....  종합과세 되면  700만원 내야)

배당이 2000만원 넘으려면 삼전 10억 가까이 있어야 할테니... 퇴직전까지는 이건 걱정 안해도 될 거 같네요 ㅎㅎㅎ

 


아무튼.... 제가 앞으로 55세까지 일하고  퇴직한다면..... 

부동산은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두고, 매월 아래와 같이 세전 현금 흐름이 발생합니다. 

(일단 인플레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사실상 1,4번은 인플레 헷지가 되고 있기도 하거든요)


1. 국민연금    130만   65세부터(?) 지급. 공적연금으로 분리과세 한도 비대상이나 종합소득에는 포함. (현재 예상 연간 1560만 )

2. 개연연금     70만   56세부터 20년 지급. 1.4억(?)으로 20년 분할 지급  (년 840만)

3. 퇴직연금     80만   퇴직시 2억(?) 적립금을 IRP로 옮겨 년 3% 운용시 35년 분할 소모 가능. IRP 추납 없으면 비과세  (56~90세) 

4. 주식배당    125만  10억 주식 배당 1.5% 1500만원  (2000만 이하 종합소득 합산 비포함)  배당금만 사용. 배당 외 주가 년 1.5% 상승

                총    405만 / 월


나이 구간별로 보면.. 

 56~65세  월 275만 (국민연금 없음)

 66~75세  월 405만 (제일 많이 받을때)  

 75~90세  월 335만 (개인연금 없음)

 90세~       월 255만 국민연금+주식배당만 나오고 주식 원금 10억은 16.6억으로 불어나 있음


대략 저렇게 나온 돈에서 세금을 뗄텐데… 

일단 현재 저 상황으로는 2번 개인연금 분리과세 대상 정도라 종합 소득 고율 과세는 안일어 나는 상황입니다.

시간이 가면 배당 수입이  연간 2000만원이 안 넘도록 조절할 필요도 있겠네요





## 항목별 리스크와 부연 내용들 


이 예측에서의 항목별 리스크와 추가 내용들을 써보면  


0. 국민연금 개시전, 수령 첫 구간 56~65세의 수령 금액이 적다. 

이때가 오히려 활동적으로 해외 여행도 다니고 돈도 더 많이 쓸 때일텐데.. 

아마도 필요시 주식 배당 외 원금 주식을 조금씩 더 까먹어야 할 거 같습니다. 

이거 큰 리스크인데  퇴직전까지 원금 주식이 더 많이 불어나야하니, 좀 더 절약해서 매월 적립금을 늘려야 할 수 있겠네요.



1. 국민연금은 연금 수령금액과 개시 시기를 조정할지도 모른다 !

전국민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복지 개념도 있는 공적 연금이다 보니 

개인별로 월 수령 개인연금+퇴직연금이 얼마 이상이면 '국민연금 기준액의 80%만 지급' 같은 세부 감소 로직이나,

독일 같이 지급 당시 노동인구수를 기준으로 연금액 조정을 할 여지가 있다고 보는거구요.


노인을 부양하는 젊은 일하는 사람의 수가 줄면 연금 수령액을 줄이는 독일 방식은 

지속가능한 연금 체계라는 측면에선 우리나라도 안 따라갈 수가 없을 거 같아요. 

현재 노인들이 아주 꿀을 빨고 있는 상황이지만.. 

우리 윗 세대들은 노후 대비 없이 부모 봉양과 자식 키우기에 몰두 했었으니... 우리 아버지 세대들은 좀 드려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도 돈을 많이 받으려면 애를 많이 낳아야 하는데 현재 출산율 보면 국민 연금이 과연 얼마가 나올지...


그리고 연금 개시 시기를 계속 뒤로 뒤로 보낼 수도 있을텐데... 

제 경우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70세에는 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


그리고 종합소득 합산에 국민연금이 포함인데.... 현재 예상으로 년간 1560만원이지만 

이게 물가 연동이라 물가 상승시 2000만원이 넘어버리는건 쉬울 거 같네요. 


결국 국민연금 수령 할 때 쯤이면 종합소득 과세 대상이 되기는 할 거 같네요. 



2. 개인연금은 20년 분할 지급해주기 때문에 (56~75세) 76세 이후에는 개인연금은 없다.

기대 수명은 5년이 지날 때마다 10년이 늘어난다는 말을 들었어요.

5년전 치료 못하던 병이 5년이 지나면 정복 되어 또 수명이 는다는거죠.

내가 오래 사는게 노후에는 제일 리스크 ㅎㅎㅎㅎㅎ 그래도 운동 식단 조절 잘해서 건강히 오래 살아야  


아.. 개인연금의 경우, 만약 56세에도 뭔가의 이유로... (놀면 뭐하니... ???  그러나 나는 놀고 싶다!!!! ) 

퇴직을 안하고 임금 피크제 등으로 일을 계속 하고 있게 된다면 

연금 개시를 퇴직 이후로 연기시켜서 종합소득 고율 과세를 피해야죠. 

이 때 연금 받아버리면 연금세 5.5% 대신에 종합소득 과세 35%나 38% 대역 세율로 세금을 내야하니까요... 


근데 위 0번 리스크 국민연금 개시시까지 연금액이 적다는걸 생각하면 

임금 피크제 등의 제도를 활용하여 퇴직시기를 최대한 늦추는게 노후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거긴한데,

58세 이럴 때도 벽에 똥칠하며 일하고 있기는 싫네요. 


FIRE족 해보면 첫 한두달만 좋지 점점 나태해지고, 노는 것도 지겨워진다고는 하지만...  

저는 좀 나태해져 보고 싶습니다. ㅋㅋㅋ 

(대학교수가 정말 부러웠던건 안식년이 있다는 거였죠. 교사는 방학이 있고요)



3. 퇴직연금은 현재 회사에서 DB 확정급여형으로 운용 되고 있는데, 

이제 진급이 사실상 불가능한 부장님이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급격한 연봉 상승은 없을 거 같습니다.

그래서 DC형으로 바꾸고 싶은데 회사에서는 안해주네요. 

DC형 전환은 집 사거나 큰 질병 수술 등의 사유가 있어야 퇴직금 중간 정산 형태로 가능한가봐요.


퇴직시 퇴직금을 연금저축 계좌나 IRP 계좌로 당연히 일시금 수령 안하고  연금 수령할건데  (퇴직금 소득세 30% 공제)

IRP는 70%만 주식 운용 가능, 연금저축계좌는 100% 주식 가능. 

(연금 개시후 ETF로 운용 가능한지에 대해서 이슈도 있었지요.

  삼성증권 고객센터 문의 결과 :  연금저축 펀드는 연금수령 개시 이후 ETF 거래  가능.  IRP는 아직 안된다고 하여 개선 요청함.

  미래에셋은 연금저축 계좌 내 ETF를 일부 청산해가며 연금을 지급할수있다.

  키움은 ETF는 다 팔아 예수금으로 전환하고 펀드로만 유지해야한다. ETF 거래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 고려)



아무튼 이때부터 주식형으로 운용을 현재 적립식 처럼 한국 시총 1위 및 상위 ETF 같은 방식으로 해나갈 겁니다.

(개별 주식이 운용 불가능 하다면, 일반계좌에서는 개별 주식만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ETF만 운용해야할수도 있겠군요)

다만 이때는 좀 더 안정적인 자산 운용을 위해서 IRP 계좌 내 해외 지수 ETF로도 분산을 할 거 같습니다. S&P 500, 나스닥 100 ...


아. 퇴직이후 IRP 나 연금저축계좌 내에서의 배당 수익은 비과세로 과세 이연 될텐데.... 

일반 주식 계좌에 있는 주식 배당 수익과 합산은 안되는지... 연금 계좌는 별도 이연 및 합산인지는 확인이 필요해보이네요. 

아마도 아닐 거 같아요.



4. 주식 배당에 대한 리스크는 오히려 크게 보지 않습니다. 

1.5% 수익율도 보수적으로 본거고요.

원금은 배당 외  +1.5%로 불어나갑니다. 이렇게 시뮬해보니 90세 때 원금 주식이 16.6억이 되어있더군요.

사실 이렇게 원금 주식이 늘어가면 배당액도 매년 늘거지만, 인플레를 고려하면 생활비도 늘거니까.



5.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 유지 ??? !!!! 

급여소득이 있는 아들 직장 의료보험에 피부양자가 안되면 

의료보험 지역가입자가 되어서 저 소득에서 또 의료보험료도 내야할텐데... 

2022년부터는 종합소득 2000만원이 기준이 된다네요. 


저로서는 이건 벗어날 방법이 없을거 같네요. 

배당+국민연금, 살고있는 아파트 공시지가도 문제가 될거고요.. T T 




## 상속과 증여에 관해서.... 


이렇게 살다가 저 세상으로 가게 되면, 남은 자산들은 제 자식 손자 손녀 에게 상속 하게 되겠죠.


그런데 자식들 입장에서 보면, 부모가 자산이 많아도 

부모에 장수에 따라 상속을 못 받아(?) 자기 삶의 질이 잘 안올가는 리스크(?)도 있을테니 

(제가 90살에 죽는다면 우리 첫째는 60세에 저에게 상속을 받게 되겠죠...  

 인생은 30대에 즐겨야 하는데 이미 즐길만한 인생은 꽤 지나가버린 상황 ㅋㅋㅋ )


10년에 5000만원씩은 비과세 증여가 가능하니 증여를 지속 해서, 아이들의 인생도 풍족하게 해줘야 할 거 같습니다. 

(아~버지는 말하셨지~ 인생을 즐~겨라~)


현재 저희 아이들에게는 2000만원씩 증여해서 Tiger TOP 10 ETF 사둔 상황이고 3000정도로 불어있습니다.

19세가 되면 바로 3000 증여하고....


첫째 아이  기준 10년 마다 5000씩 증여 하여 주식을 사게 하다보면 

16세   2000

19세   3000

26세   2000

29세   3000

36세   2000

39세   3000

46세   2000

49세   3000 


  -> 첫째 아이 49세 ㅋㅋㅋㅋ  저보다 많은 나이군요. 

      49세까지 제가 증여한 원금은 2억이겠지만  30년 이상의 배당 재투자와 주가 상승으로 이때는 이게 30억 16억은 되어있을겁니다. 

      그때 물가로는 30억 16억이 현재 3억이 안될수도 있겠지만요

  (수정 추가 코멘트: 30년이 넘는 긴 기간인데 그냥 막연히 시뮬없이 30억이라고 했네요. 

      연 10% 기준 16억이 좀 넘을거같습니다. 사실 더 좋은거 같긴합니다만 ㅎㅎ)


첫째 둘째 저렇게 주려면 주식 배당용 원금 주식이 조금씩 줄어들겠네요 

이건 근데 리스크 라기 보다는 어차피 넘겨줘야할 상속 재산에 대한 절세 ㅎㅎ




글 쓰다보니 엄청 길어졌는데...

이 주식을 사모아 쌓아가고 자손에게 증여하는 이 방식은 

제 아이들도 제 손자 손녀  증손자 증손녀에게 계속 해나가게 해야죠. 자본주의가 망하지 않았다면요 ^^


졸리네요... 

둘째 아이가 배드민턴 치러가자는데....간밤에 엑셀과 이 글 쓰느라 잠을 거의 못자서 

잠깐이라도 눈 붙였다가 배드민턴 치러 가야겠네요 ㅋㅋㅋ


59 Comments
lanmei 2021.05.23 20:45  
그회사이상하네요 보통 dc로 전환못시켜서 안달인데.. 저희화사는 dc밖에 못합니다. 물론 전 dc를 선호하지만요.
뽀물 2021.05.23 20:45  
@lanmei님 이게 회사의 마지막 무기라는 설이 있습니다
엔별 2021.05.23 20:45  
딴건 몰라도 1200 넘으면 무조건 종합과세가 아쉽죠.. 1200까진 분리과세 후 종합과세면 몰라도 참..
사람이사람답… 2021.05.23 20:45  
엔별님// 1200넘어선 금액만 종합과세인걸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엔별 2021.05.23 20:45  
@사람이사람답게님 정말 슬프게도 넘으면 전액 종합과세로 들어갑니다…
사람이사람답… 2021.05.23 20:45  
@엔별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6608&cntntsId=7888 찾아보니까 소득공제 받은 금액하고 발생한 수익으로 1200을 넘겼을때 종합과세하는거였네요. 25세 취직 55세까지 연금저축계좌로 30년 굴린다고 보면 400만원 x 30년 = 1.2억 연금수령 개시가 55세부터 가능하니 15년 수령한다면 필요금액 1.8억 즉 원금 1.2억으로 수익을 6천만원을 넘기면 종합과세로 가는거군요. 뽀물님은 월 100씩 넣으시니까 수익이 훨씬 클테니 연금 수령기간을 대폭 늘리던지 소득공제를 안받는 방향으로 가는게 좋겠네요..
뽀물 2021.05.23 20:45  
@사람이사람답게님 계산해보니 소득 공제 안 받는 방향이 나중을 생각하면 오히려 깔끔하겠더라구요
table 2021.05.23 20:45  
아버지!
뽀물 2021.05.23 20:45  
@table님 ㅎㅎㅎ 저 계획대로 안되더라도 최대한 아이들에게 해주려고요. 아이들은 손자 손녀에게 성공할 수 있겠죠? 중요한건 아이가 스스로 현금 흐름을 만들수 있어야 한다는거죠.
slowbl… 2021.05.23 20:45  
이렇게 까지 디테일하게 생각하셨다니 자산관리같은거 하셔도 되겠네요... 요즘 카푸어 자산관리사들 보면 ㅜ.ㅜ
뽀물 2021.05.23 20:45  
@slowblue님 ㅎㅎ 이제 은퇴가 10년 정도 앞으로 다와가 있다 생각하며... 엑셀로 이것저것 해보니 재밌더라구요
뽀물 2021.05.23 20:45  
@5cfb3309551057.gif님 당주님!!
BMW-M 2021.05.23 20:45  
1200/2000으로 자르는 과세 기준은 올리지 않을까요? 세금 걷는거라 인플레고 뭐고 신경안쓰고 내버려두려나요
뽀물 2021.05.23 20:45  
@BMW-M님 시간이 지나면 기준이 올라가기는 하겠죠. 그게 언제일지 모르니 우선 보수적으로 ㅎㅎ
내일이있다 2021.05.23 20:45  
잘 참고하겠습니다. ^^ 좋은 아빠!!
뽀물 2021.05.23 20:45  
@내일이있다님 계산하다보니 생각보다 나올 구석이 있어서 다행이었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6bedd8cbcc7844ed842.gif님 국민연금, 퇴직연금은 회사만 다니셔도 자동으로 적립되고 있을겁니다. 개인연금은 연말정산 소득공제 준비한다 생각하고 꽉 채우지는 않더라도 미리미리 조금씩 넣어보시죠.
tb99 2021.05.23 20:45  
아빠아~~??
뽀물 2021.05.23 20:45  
@tb99님 ㅎㅎㅎ tb99님도 좋은 아빠 되실거에요
야하하하 2021.05.23 20:45  
1.2억이 10년뒤 3-4억은 수익률을 너무 좋게 예상하시는거 아닌가요
뽀물 2021.05.23 20:45  
@야하하하님 ㅎㅎㅎ 사실 도전적인 목표는 더 높은 값이에요.
사람이사람답… 2021.05.23 20:45  
연금저축계좌는 수익하고 소득공제 받은거만 제외하고 인출 가능하니까 퇴직금 개시 이전에 그 금액만 빼고 인출해서 일반계좌 운용하면 되는거 아닐까 싶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사람이사람답게님 아... 소득공제 뱉어내지않는 최소 유지기간 이런게 있다고 본거같긴하네요. 한번 살펴보고 이런 방법도 생각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Bmvsau… 2021.05.23 20:45  
좋은글이네요 아직 퇴직연금이런거는 고려해본적이 없는데 저도 관심 가져야겠네요 파이어족이 될려면 공부가 많이 필요하네요 ㅎㅎ
뽀물 2021.05.23 20:45  
@Bmvsaudi님 퇴직연금이라는게 사실 일만 하면 회사에서 강제 가입입니다. FIRE 족이 되고 싶지만... 세월이 빨리 흐르네요
달콤한딸기쨈 2021.05.23 20:45  
엄청 디테일하네. 저도 참고하겠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달콤한딸기쨈님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코알라코를 2021.05.23 20:45  
부모의 증여외에 친족 증여도 있어서 형제가 있으시다면 천만원씩 서로 증여해주시는거도 좋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코알라코를님 네 친척들끼리 엇갈려서 증여한다는 얘기는 들었습니다. 근데 서로 말 맞추고 ㅎㅎ 다 또 나름의 사정들이 있어서...
seyon 2021.05.23 20:45  
국민연금 사이트에 보면 가입한 모든 연금을 매월 연금으로 얼마 받을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55세부터 받을수 있는 연금이 100만원이 안되는 저로서는 부러운 금액이네요 ㅜ.ㅜ. 개인연금 수급은 55~70세까지 수령시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저의경우 IRP계좌는 60세 이후로 자동 설정이 되어있는데 이걸 어떻게 55세로 땡길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뽀물 2021.05.23 20:45  
@seyon님 네. 가끔 국민연금 공단에서 오는 우편물에 예상연금 수령액이 저 정도 금액이 쓰여 있었던 거 같습니다. 개인연금 수급 시기는 연기하면 더 큰 금액울 주긴하더군요. 근데 첫 구간 금액이 너무 부족해요 ㅜㅜ IRP계좌 수령시기는 증권사 연락해보시면 잘 알려줄거 같습니다. 운용사도 자유롭게 바꿀수있다는데 기간정도는 안바꿔줄거 같지 않아요.
킬라시 2021.05.23 20:45  
20년에 1억이면 20년내내 최고액 불입해도 될까말까할거같은데요 부동산 처분하신걸로 보면 자가주택도 있으실거같고 벌써 자산이 20억근처 아니실까 싶네요
뽀물 2021.05.23 20:45  
@킬라시님 20년 1억... 아. 국민연금 적립액이요? 음. 제가 잘못 본걸까요. 얼핏 그렇게 봤던거 같은데... 지금 사이트 가서보니 예상 월 수령액 세전 149만원으로 나오네요. 기납입금액은 어디 나오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총 410개월 예상납입액은 1.5억으로 나옵니다. 대충 20년이라 치고 240개월 240 / 410 = 58.5% 인데.. 앞으로 170 개월을 넣어라? 170/12 이면 대략 14년 더? 얘들은 60세까지 일하는걸로 시뮬해놓나보군요. 싫은데.... 암튼 20년 내내 최대로 넣지는 않았을 거 같은데 제가 저 미래 적립액 부분을 잘못 보고 기억했던건가 봅니다. ㅎㅎ 아... 자산 관련해서는 노후에 부동산 자산은 안 건드리고 생활해보려고 합니다
인생을즐겁게 2021.05.23 20:45  
복잡한 내용을 잘정리하셨네요. 반복해서 읽고 정리해야겠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인생을즐겁게님 간밤에 구글링하면서 정리한게 아래 유튜브에 거의 다 나오네요 ㅎㅎ 아래 유튜브 영상들 한번 보시고 본문 보시면 더 빨리 정리가 되실거 같습니다.
NEDVED 2021.05.23 20:45  
오 저도 3단 연금 준비하고 있는데 동지를 만나 반갑습니다ㅎㅎ 제 주변은 본인 노후에 신경쓰는 친구들이 하나도 없어서 은퇴 후에 놀 사람 없어서 심심할까 걱정입니다ㅎㅎ 저는 주로 미국 S&P / 나스닥 지수 ETF로 준비하고있습니다. 미국을 선택한 이유는 미국이 패권을 유지하는 한 장기 우상향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전체적으로 개인연금/IRP/퇴직연금 관련해서는 유튜브 박곰희TV가 제일 잘 정리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아래 영상들도 참고하시어 풍요로운 노후 되시길! - 세금 관련 :

- 개인연금 수령 관련 :

뽀물 2021.05.23 20:45  
@NEDVED님 두개 다 보고 왔습니다. 정리가 확실히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obodo… 2021.05.23 20:45  
@NEDVED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짧은데 정리가 잘 되어 있네요!
천천각자 2021.05.23 20:45  
월 100만원씩 10년 적립하시면, 월 복리 20%로 계산하고, 과세가 없다고 하더라도 3억8천만원 입니다. 10년 평균 수익율을 20% 이상으로 잡으시는건 너무 긍정적 전망아닐까요?? /// 자제분들 10년에 5천만원씩 연이율 10%, 비과세로 계산하면 러프하게, 최초 5000만원 30년 10억, 2번째 5000만원 20년 3억6천만원, 3번째 5000만원 10년 1억4천만원, 4번째 5000만원은 거의 이자가 없을듯 하고요. 합산하면 16억이 좀 안될것 같은데, 제 계산이 잘못되었을까요?
뽀물 2021.05.23 20:45  
@천천각자님 ㅎㅎㅎ 쌓인 예상액은 적당히 도전적으로 적은거였는데.. 수정을 해야겠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근데 월적립 100만원 10년 120개월 매월 1% 수익 복리면 2.3억이긴합니다. 애들 증여는 더 대충 생각한거라 ㅎㅎ 년 10%로 15.7억대 맞습니다.
hobodo… 2021.05.23 20:45  
공유 감사합니다. 결국 세금과 건보료를 고려해서, 투자 초기부터 계획을 잘 짜야하는데 세금 계산 등이 복잡해서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제일 아래 영상 두 개와 중간에 세금 관련 링크가 참 유용하네요.
뽀물 2021.05.23 20:45  
@hobodon님 네 어제밤 구글링 하면서 정리하던 내용이 다 나오네요. 아주 유용한 영상! ㅎㅎ
hobodo… 2021.05.23 20:45  
@뽀물님 볼 때 마다 읽을 때마다 새로운 걸 알게 되는 거 같습니다. ㅎㅎ 처음에 제대로 이해를 완벽히 못했다는 증거겠죠. 1200만원/년 수령하되, 세액공제와 무관하게 700만원/년 초과해서 납입한 건 비과세고, 그 금액을 먼저 수령할 수 있으니 실제 월수령액은 100만원/월 (+ 비과세 부분으로) 넘길 수 있을 거 같습니다.
hobodo… 2021.05.23 20:45  
@뽀물님 ISA계좌는 안쓰시나요? 만기시, 연금계좌로 이전해서 연금으로 운용 가능하고 세금이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hobodon님 사실 ISA는 전에 얘기가 있다가 요새는 말이 잘 없던데 잘 몰라서 검색해보니.. 아래 장단점 적힌 사이트가 조회가 됐네요 https://md2biz.tistory.com/365 ○ 장점 ① 연간 손익합계 200만원까지는 비과세, 초과분은 9.9% 농특세를 적용함. ② 계좌 내 모든 상품들의 손익을 통산함. ③ 계좌 내에 가입한 금융상품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음. ④ 예금부터 펀드, 파생결합증권 등 다양한 상품에 가입이 가능함. ○ 단점 ① 의무가입기간이 존재하며(3~5년), 이 기간 내에 중도해지할 경우 세제혜택을 받지 못함. ② 운용수수료(보수)가 존재함. (투자금액의 0~1% 수준) ③ 계좌 내에 예수금 형태로 돈을 예치할 수 없음. (무조건 특정 상품에 가입해놓아야 함.) ④ 만기가 되면 무조건 ISA계좌가 자동청산됨. 이 상품은 잘 모르는 부분이라 확인해봐야겠네요 . 감사합니다.
hobodo… 2021.05.23 20:45  
@뽀물님 단점이 많이 보완되서 중개형 ISA로 요즘 많이 소개 됩니다. 링크글은 2018년 내용이라 오래된 정보입니다. ① 의무가입기간이 존재하며(3~5년), 이 기간 내에 중도해지할 경우 세제혜택을 받지 못함. -> 3-5년 선택 후, 만기시 추가 연장 가능해졌습니다. ② 운용수수료(보수)가 존재함. (투자금액의 0~1% 수준). -> 비대면 중개형으로 개설시, 수수료 없습니다. (KB기준) ③ 계좌 내에 예수금 형태로 돈을 예치할 수 없음. (무조건 특정 상품에 가입해놓아야 함.). -> 예수금 형태로 놓고 etf등 매수 하면 되고 잔액은 예수금 형태로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KB기준) ④ 만기가 되면 무조건 ISA계좌가 자동청산됨. -> 만기시, 추가 연장 가능합니다. KB직원 말론 10년 이상 가능할 거라고 들었습니다. 제한이 따로 현재 없나봅니다. 전 IRP700, 신연금저축1100, ISA2000 가득 채워서 운용중입니다. 셋 다 계좌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NEDVED 2021.05.23 20:45  
@hobodon님 해당내용도 박곰희 님이 정리를 잘 해주셔서 추가로 공유드립니다. 저도 지난주에 ISA통장 만들었어요ㅎㅎ - ISA 통장 설명 1 :

- ISA 통장 설명 2 :

- ISA 통장 Q&A :

채널 홍보 아닙니다..ㅠ 영상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깔끔하게 정리를 잘해주셔서요ㅎㅎ 저도 hobodon님도 50전에는 은퇴 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ㅎㅎㅎㅎ
신속정확 2021.05.23 20:45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연금 관련 고민중인데 남 복잡하더라구요 ㅠㅠ
EuPhon… 2021.05.23 20:45  
임금 Peak제 되기 전에 DC형으로 전환 가능하실거에요. 회사를 게속 다니실 예정이면 55~57세쯤에 DC형 전환이 가장 이익입니다.
뽀물 2021.05.23 20:45  
@EuPhony님 네. 임금피크제 들어가게 되면 그때 DC형으로 전환 되더군요. 근데 이제 급격한 연봉 상승이 없을 예정이라서요 ㅎㅎㅎ 바꿀수만 있다면 지금이라도 DC 하고 싶네요.
NEDVED 2021.05.23 20:45  
@EuPhony님 직장마다 케이스가 다를 것 같습니다. 30년을 근속한다고 가정했을때 1) 과장 달고 나면 임금 상승률이 꺾여 물가상승률 정도만 오르는 직업 2) 임금 피크제까지 꾸준히 물가상승률 대비 임금 상승률이 좋은 직업 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고, 제 직종 같은경우에는 (1)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저같은 경우에는 임금 상승률이 가파른 시기를 지나고나서 DC로 전환하여 본인이 직접 굴리는게 훨씬 이익이 됩니다. 계산은 위 그림과 같습니다. 임금상승률도 보수적으로 물가상승률정도인 2.5%로 잡았고, 수익률은 5~12% 내외를 희망하지만 희망회로를 돌려 8%로 가정해서 계산해보았습니다. 다만, 위 가정은 복리가 기본적으로 지수함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DC 전환 후 적어도 20년은 굴러가야 리스크를 감수하고 직접 굴린 효과를 좀 드라마틱하게 볼 수 있다고 생각되며, 중간에 깨먹으면 안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뽀물 2021.05.23 20:45  
@NEDVED님 작년 부장 진급 상황이라 이제 임금상승율이 확 오리기는 어려워보입니다. ㅎㅎㅎ 작년 부장 진급후 3개월 지나고 코로나 폭락 상황일 때 퇴직금 모두를 DC로 바꿨다면 퇴직금이 2배로 늘었을텐데 말이죠
무장원소걸아 2021.05.23 20:45  
근데 진짜 삼전이랑 top10만 하시나요. 포플이 저랑 비슷해서요...
뽀물 2021.05.23 20:45  
@무장원소걸아님 네. 삼전+삼전우+타이거TOP10만 합니다. 애들 증여 계좌에는 타이거TOP10만 있고요
-태군- 2021.05.23 20:45  
공감 꾹 스크랩 해놓고 챙겨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뽀물 2021.05.23 20:45  
@-태군-님 도움이 되시길...
에르실 2021.05.23 20:45  
개인적으로는 저출산으로 인한 세원부족으로 장래 연금 관련 증세가 불가피할것으로 생각되네요.. /Vollago
뽀물 2021.05.23 20:45  
@에르실님 슬프지만 전체 국민의 소득에 있어서 연금의 비중이 커진다면, 연금 관련 증세가 불가피 하겠죠.
futuri… 2021.05.23 20:45  
개인적으로는 1, 2, 3, 4 말고 5번 항목이 생길 것이라 봅니다. 쓰신 글들을 몇개 봤는데 차후에 글을 쓰시던 유투브를 하시든 하셔서 추가 수입이 발생하고 그게 꽤 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목

정보/뉴스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