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산정기준 (2019년분)
hobodo…
잡담
2
241
11.04
FIRE 시뮬레이션을 이리저리 해보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에 휴가를 내고 건강 보험 공단에 들러서 직장 -> 지역으로 바뀔 경우 보험료가 얼마나 되는지 묻다가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종합소득세 처럼 1월부터 12월 기준으로 보는 게 아니라, "2019년분"이라고 부르고 실제 기간을 2020년 11월초 ~ 2021년 10월말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정하더군요. (2020년분은 2021년 11월초~2022년 10월말)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기간의 산정 때문에 계산이 조금 더 복잡해집니다...
물론 전 아직 직장 가입자라 회사서 받는 근로 소득 만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산정 되고 있지만, 만약 퇴직을 했고 지역 가입으로 전환 되었다면, 그 기간 중 소유한 부동산 가치와 금융 소득 (이자+배당), (지금은 자가 주택에 살고 있지만, 이걸 임대 하게 되면 임대 소득까지 )에 해당 되는 점수에 얼마를 곱하면 매월 보험료가 계산 되는 구조라는 걸 배웠습니다. (차량은 이미 10년을 넘겨서 재산으로 취급을 안함... -.-a) 3년간 직장 가입 조건으로 남아있는 것 보다 곧장 지역으로 전환하는 게 저한텐 더 유리한 조건이라는 것도 알게 됐습니다.
회사 생활이나 근무 조건이 나쁘지 않기에 SIDE FIRE만 생각을 하고 있지만, 실제 이렇게 알아보고, 생각을 해보고, 계산을 하다 보니, 실제 이게 그리 멀지 않을 수도 있겠구나... 하는 묘한 느낌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