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인프라
????[메리츠증권 스몰캡 이상현] [2021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18] 시간과 거리의 싸움, 전기차 충전 인프라
[PART1] 2023년BEV 침투율11% - 2023년 글로벌 전기차 침투율 11.2% 전망 -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 = 전기차 양적 성장 - 주요 자동차업체의 EV 전용 플랫폼, 배터리 기술 진보 = 전기차 질적 성장
[PART2] 충전인프라가속페달을밟을시점 - 전기차 보급의 저해 요인: 1) 짧은 주행거리, 2) 차량 가격, 3) 긴 충전 시간, 4) 충전 인프라 부족 - 1), 2), 3) 문제는 대량 양산을 통한 규모의 경제, 배터리 기술 진보로 해결 가능 - 전기차 산업 가속화를 위해서는 양질의 충전 인프라 구축이 전제되어야 함 - IEA, 글로벌 공용 전기차 충전기 607~836만개 구축을 전망. 2020년 대비 4~6배 이상의 규모 - 글로벌 충전 인프라 확대 수혜는 밸류체인내 해외 진출이 가능한 급속 및 초급속 충전기 제조 업체
[PART3] 충전인프라현재와미래 - 전기차 충전 방식 지역마다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 - 이는 배터리, BMS, 충전기 등의 성능 신뢰성과 연결됨 - 5분 충전에 100km 주행 가능한 초급속 충전 기술: 배터리, EV내 충전 시스템, 충전기 기술 상향이 필요 -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무선충전, 자율주행 로봇 충전 개발을 진행 중임
[기업분석] 원익피앤이(131390) Toppick으로 제시 - 원익피앤이(131390) 전기차 충전기 날개를 달다 - 시그넷이브이(260870) 전기차 충전 솔루션 글로벌 플레이어 보고서(요약) 링크: https://bit.ly/3z6DsTU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