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의 금리인상과 2022년의 그것에 대한 뷰

2015년의 금리인상과 2022년의 그것에 대한 뷰

베르티바 10 231

개인적으로는 차트를 신뢰하지는 않습니다만 

짧은 스냅샷으로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줄을 그어봤습니다.


2022년 1월 현재

16429187539235.png





2020년 3월 코로나 당시

- 같은 상황은 아닙니다만, 장기 저점을 이탈했을 때 어떤 돌발현상이 생기는지 볼만한 자료로 보입니다.

(그래프 우측 이후의 그래프는 bias가 생길 수 있어서 같이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16429187542922.png




2015년 8월

- 피셔 연준 부의장이 제로금리를 중단, 이어지는 9월에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고 예고한 앞뒤 상황

(점선으로 크로스마킹된 지점이 FED 공식 발표일입니다.)

16429187546591.png


물론 2015년 8월 이후에는 더 심한 하락이 오지 않고 오히려 회복했습니다.

이번에도 같은 조건일지는 사실 저는 모르겠습니다. 

중요한 건 장기추세를 이탈했고, 새로운 균형점을 향해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는 점이죠.


개인적으로 보는 지표상으로는 이미 블랙스완급의 신호가 형성되었습니다. 

다음주부터 뭐가 오든,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형태가 한차례 올 것이라 봅니다.


10 Comments
해피콜 2022.01.23 15:00  
개인적으로는 턴어라운드는 아직 멀었다고 생각하고 단기적인 상승 시점이 올까 하는건데, 아무래도 다음주가 관건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
increa… 2022.01.23 15:00  
표면상으론 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라고 하지만, 뭔가가 또 있나... 생각이 드는군요.
베르티바 2022.01.23 15:00  
@increasing님 우크라이나 리스크가 점차 표면으로 올라오고 있고, 바이든 발표나 유럽 대응으로 봤을 때 적극적 보호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러시아는 그 기회를 놓치지않을 것으로 예상. 그렇다면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밖에는 답이없고 그건 결국 고물가에 대한 현재 위기를 높이는 방정식이 될 것이며, 이는 FED가 전혀 생각지 않은 측면에서 금리인상+인플레이션지속이라는 신종 위협을 잉태할 수 있죠
surina 2022.01.23 15:00  
베르티바님// 궁극적으로 유럽에서 (천연가스 포함) 러시아의 영향력을 떨궈내려는 목적으로 보이는데, 뭐 우크라 문제가 아니어도 트럼프때부터 노드스트림 못하게 하려고 미국이 정말 열심이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 공격을 내심 바라는듯한 모습도 느껴지는게.. 아마 러시아가 우크라를 치지 않고서는(꼭 치지 않더라도 분리독립 투쟁이라든가 등등) 버티기 힘든 상황까지 만들어서 어쨌든 뭔가 경제제재 할 건수를 잡아낼거 같긴 합니다.
OS폐인 2022.01.23 15:00  
시장참여자들이 과거를 모르는거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이번 조정이 금리 때문이라고 생각해선 안된다고 봅니다.
Summer… 2022.01.23 15:00  
다음주 수요일 FED 발표가 너무 재밋을것 같네요. 3월 0.25프로, dot차트 미공개, QT시점 추후에 데이터 보고 한다고 적당히 얼버무리기 예상합니다. 다음주는 단기 릴리프 반등, 3월 CPI 발표 전 까지는 인플래 데이터 눈치싸움 하면서 약세장. 그후 CPI따라서 3개월 추가 약세장 또는 서서히 반전 예상합니다. 다들 2018년 데이터 가지고 센티먼트 + algo로 싸우는 와중에 buy-the-dip하는 리테일 + 펀디멘털 진영을 숏 진영에서 쓸어먹은게 저번주였네요. 금요일 옵션 거래량만 1 트릴리언달러 넘었네요;;;; 2015년 2018년 금리인상기 데이터는 누구나 다 알고있는 싱글데이터 포인트 하나일 뿐입니다.
퐈이아 2022.01.23 15:00  
매수시점 인것이 맞습니다. 금리인상은 올해 주요 이슈이지 시장이 붕괴되는 것이 아닙니다. 신흥국은 위험하겠죠. 미국은 물가상승율 둔화와 실업율이 줄어들꺼라 생각합니다.
Pazz 2022.01.23 15:00  
저는 긍정론자인데, 역사적으로 보아도 금리 인상 초기 시점에는 대부분 주식시장이 상승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유동성이 너무 많이 풀려있기 때문에 일부 회수를 한다고 하더라도 자산시장 자체가 과거 수준으로 회귀하는건 거의 불가능해 보이고, 재료에 따라 단기적 등락이 있긴 하겠으나 코로나 종식과 맞물려서 주식시장은 회복세로 갈거라 생각합니다.
목동소년 2022.01.23 15:00  
현금화하고픈데 어제 타이밍을 놓쳐서 ㅜㅜ
퐈이아 2022.01.23 15:00  
다들 현금화해야하나 생각할때 개인의 자금의 회수가 참 쉽지 않을까요

제목

정보/뉴스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