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vs 베트남 vs 중국 어디를 더 긍정적으로 보시나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인도 vs 베트남 vs 중국 어디를 더 긍정적으로 보시나요?

해처리22 25 1042



앞으로 10여년정도 술값정도 아껴서 일정금액을 위 3국가의 etf를 주기적으로 구매해 보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소액이지만 보이면 상당할듯한데요...


인도는 니프티 50 추종

베트남은 vn50

중국은 항셍 차이나 테크 etf


셋중 혹시 어느것을 더 긍정적으로 보실련지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25 Comments
버니맨 2021.05.23 20:41  
현재 지디피 순위와 그간 지디피 성잘률을 잠깐 확인해본 바로는 지속해서 크게 성장할 만한 나라는 베트남인 거 같습니다. 다만, 20초도 안되는 시간으로 서치한거니까 믿진 마시고요 ㅎㅎㅎ
해처리22 2021.05.23 20:41  
@ 버니맨님 조정업이 급격히 올라 고민중입니다..
그대는나의 2021.05.23 20:41  
인도죠 쿼드 들어간 애들은 다 잘나갈것입니다. 바이든이 닭한테 한말은 세상의 진리입니다 미국에 맞선 나라는 다 망했다 그 나라 편든 나라들도 다 망했다 역으로 미국편 든 나라는 다 흥해왔습니다.
해처리22 2021.05.23 20:41  
@그대는나의님 동감합니다. 인구수도 곧 앞지를텐데 국민성이문제라고 생각합니다
IloveD… 2021.05.23 20:41  
단기적으로는 베트남이 더 우위를 보일 수도 있겠지만 결국은 인도라고 생각합니다. 중국은 슬슬 비중을 줄이는게 좋지 않을지 ? (뭐 어쨌든 그 규모에서 비즈니스 기회는 항상존재하겠지만요...)
해처리22 2021.05.23 20:41  
@IloveDaughter님 공산주의라는 한계가 명확하지욤..
허리까지다크… 2021.05.23 20:41  
인도는 아직 멀었다에 한표입니다. 언제쯤 성장이 가시화될지 아직 까마득해보입니다. 베트남은 어쩐지 모르겠고. 중국은 발전은 하겠지만 분배가 잘 될지 의문입니다.
해처리22 2021.05.23 20:41  
@허리까지다크써클님 인도는 코로나 환자급증에도불구하고 그닥영향이없는거같아요. 아울러 제각 격은 인도사람들은....흠..
해처리22 2021.05.23 20:41  
@8c096762158e442d9d2.gif님 좋은사이트감사합니다!
silver… 2021.05.23 20:41  
@8c096762158e442d9d2.gif님 거시적인 흐름을 볼수있겠군요!
이게아닌가? 2021.05.23 20:41  
인도. 장벽이 많태유~~~~~
lskfsl 2021.05.23 20:41  
전세계를 통틀어서 중진국함정에 빠지지 않고 선진국 도달한 나라는 유례없이 고속성장한 한국 대만 정도 말고는 최근에 없어요 모든 나라들이 후진국일때는 저임금 싼가격으로 성장하다가 기술 극복 못하고 중진국 함정에 다 자빠졌지만 한국은 3만불 선진국 도달한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베트남 인도 저나라들은 이제 시작이니까 한국처럼 성장할거라고 생각하면 안되는 함정이 많은 나라들입니다. 한국 대만은 중국이 커지기전에 먼저 자본주의 경제개발 스타트 치고 나가면서 중국과 격차를 벌리고 수월하게 성장한 부분도 있습니다. 미국의 도움을 받겠지만 베느남 인도는 중국의 인해전술 세계의 공장들과 가격경쟁으로 직접 싸워야 되는데 이를 극복할건 기술뿐이 없습니다. 베트남 인도가 중국 기술 따라가기는 글렀고 계속 선진국 기업들 하청생산기지 역할뿐이 못할겁니다. 베트남의 성장이 그나라 자본과 기술로 성장하는게 아니라 싼인건비로 조립공장 역할만 하는거고 임금 올라가서 선진국 기업들 빠져나오는 순간 폭삭 망하는 구조입니다. 이런 난관을 극복해서 바늘 구멍 만큼 들어가기 힘든 선진국에 도달한 나라는 한국 대만 외에는 없었습니다.
mdkapp… 2021.05.23 20:41  
신흥국은 물론 포텐셜이 엄청나니까 좋은 투자처지만, 그만큼 비중을 아주 낮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도 포텐셜 좋죠. 근데 그게 대체 몇십년째 제자리인지 생각해보면 '이번엔 다르다'도 위험하다고 봅니다. 나스닥(선진국)이 70%, 한국대만중국 20%, 나머지 신흥국은 다 합쳐 10%정도가 어떨까 싶네요.
전가복 2021.05.23 20:41  
세군데 모두 믿고 투자할만한 곳은 아니죠.
noelcr… 2021.05.23 20:41  
셋다 본인이 21세기의 중심이라 생각하는 나라네요...다 불가하지만 꼭 뽑으라면 인도에 조금 넣겠습니다.
에이허브 2021.05.23 20:41  
저는 경제는 인구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믿는 사람인지라...30년 이상 관점으로 봤을 때는 인구구조가 가장 좋은 인도를 찍고 싶네요. 베트남과 중국은 고령화가 너무 빨라서... 10년 이내 범위라면 여전히 중국이라고 생각합니다.
터키산피스타… 2021.05.23 20:41  
세 나라 중에선 베트남을 고르고 싶습니다 생동감 있는 나라죠. 자식 성공시키려는 욕구도 강한 나라이고요, 최근들어 교육 수준도 많이 올라와있죠. 일도 열심히 공부도 열심히, 성장 동력이 무궁무진 합니다 개방적인 중국 이라고 하면 알맞을것 같네요.. 인도는 고령화 문제가 없긴 한데, 한 나라에서 여러 언어를 쓰는 환경과 공중 위생 및 치안이 아직 부족합니다. 그래도 중상류층의 수학 교육은 엄청나다는건 부인할 수 없죠..;;; 미국에서 이주한 인구 대비 가장 잘 정착한 동양계 이민자들이 인도인이니깐요..
할줄아는게뭐… 2021.05.23 20:41  
저는 제돈 걸라고 하면 베트남에 걸고 싶네요. 중진국함정을 논하기엔 베트남은 아직 너무 바닥에 있거든요. 1인당 gdp가 3,000불 언저리인걸로 아는데... 당분간 중국에서 이전해오는 생산공장들 유치하는 것만으로도 한참동안 고성장을 구가할거 같습니다. 거기에 더해 유교주의 바탕의 중앙집권 전통이 강하다는 것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라고 봅니다. 저는 이 부분이 2차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들의 공통점 중에 하나라고 봅니다. 일본, 한국, 대만, 중국, 싱가폴 등등...
Real_G 2021.05.23 20:41  
인도요. 베트남 실제로 가보면 생각보다 너무 후져서 경제 올라오려면 정말 오래 걸릴거같아요. 한국 같이 빠른 성장은 아무데나 되는게 아니더라고요.
킬라시 2021.05.23 20:41  
@Real_G님 혹시 인도는 가보셧나요
치킨한마리 2021.05.23 20:41  
베트남에 한표! 근대 정말 뜬금 없지만 저는 인도네이아쪽에 관심있게 보는중입니다.
터키산피스타… 2021.05.23 20:41  
@치킨한마리님 저도 인도네시아가 큰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도네시아도 인구 대국이고, 이미 중상류층들의 교육수준은 많이 높아져있죠. 또한 석유도 나오는 나라이죠!
해처리22 2021.05.23 20:41  
@치킨한마리님 인도네시아면 인도네시아 etf를 보시는건가요
사니겐 2021.05.23 20:41  
너무 어려운 질문이라 확실한 답이 있을까 싶습니다.
햇살아이 2021.05.23 20:41  
나라전체로 보면 당분간은 베트남이라고 생각하는데 주식으로 보면 인도가 아닐까요 인도는 위랑 아래가 너무 차이가 나서 말이죠 베트남은 아직 제대로된 기업이 없는거 같아요 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