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이주열 한은 총재, ‘빚투’ 과열 경고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뉴스]이주열 한은 총재, ‘빚투’ 과열 경고

기후변화 0 310
이주열 한은 총재, ‘빚투’ 과열 경고...기준금리는 동결
정원식 기자 [email protected]

이 총재는 1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회위윈회 회의가 끝난 직후 인터넷 생중계 기자간담회에서 “코스피 버블(거품)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여러 지표를 보면 최근 주가상승 속도가 과거에 비해 대단히 빠른 것이 사실”이라면서 “주요국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변경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발생하는 경우, 코로나19 확산세가 예상을 뛰어넘거나 백신 공급에 차질이 생기는 등의 충격이 있으면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에서 ‘빚투’라고 표현하는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반한 투자 확대는 예상치 못한 충격으로 가격 조정이 발생할 경우 투자자가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어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만 “어느 정도의 자산가격 조정이 있더라도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전반적인 복원력이 그렇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사상 최대 증가폭(100조5000억원)을 기록한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가계부채의 부실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현재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의 어려움이 상당히 크고 앞으로의 경기 회복 흐름에도 불확실성이 크다”면서 “이러한 실물경제 여건을 감안하면 여러 가지 조치를 정상화한다든가 금리정책 기조를 바꾼다든가 하는 것은 현재 고려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일부 인사들이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국내에서 금리 정상화 시점이 앞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자 통화정책 완화 기조 유지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
.
.
한은 금통위는 이날 연 0.50%인 기준금리를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동결했다.
.
.
.
금통위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 11월 전망한 대로 3%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0%대 중후반 수준에 머물다 점차 1%대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