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코로나19 사라지지 않아'… 금리 인상 이유 밝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관리 중 한명인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메리 댈리 총재가 기존 입장을 바꿔 경기부양책 조기 종료를 결정,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댈리 총재는 21일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에 대해 설명했다.
앞서 연준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매월 1200억 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 경기 부양책을 시행했다가 지난 11월부터 매월 150억 달러씩 자산 매입 규모를 줄이기로 했다.
이때는 당시 나타났던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하며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은 고용시장 안정화 이후로 미뤘었다.
그러다 지난달 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미국 상원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지 않다고 종전의 입장을 번복했고 이달 초 FOMC에서는 자산 매입 축소 규모를 월 300억 달러 수준으로 늘리고 이르면 내년 3월로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겠다고 발표했다.
몇 주 사이 달라진 정책에 시장에선 혼란이 일기도 했으며 연준이 기조를 바꾼 것에 대해선 갖가지 해석이 뒤따랐다.
댈리 총재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올가을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있는 약국 체인 월그린스에서의 경험담을 밝혔다.
인플레이션 심화로 인해 발생한 상황을 목격했다는 것이었다. 한 여성의 뒤에 줄이 길게 늘어섰는데 그 여성이 매월 사던 물품들을 구매하지 못해 사지 않을 물건을 빼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 여성은 "이 물건들은 제가 한 달에 한 번씩 사는 것들인데 평소보다 훨씬 더 비싸다"고 했고, 장바구니에 있던 모든 것을 살 여유가 없어 감자칩만을 골랐다.
댈리 총재는 이 광경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연준의 고위 관리 18명 중 한 명으로서, 고용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고 상품과 서비스 가격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경제 정책을 세우는 사람들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댈리 총재 역시 경기가 정상화되면 인플레이션이 내년이면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가 경기 회복을 방해하고 점점 더 큰 폭의 물가 상승으로 노동력 부족이 지속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쏟아졌다.
연준 관계자들은 이전에는 대유행 기간 직장을 잃거나 그만둔 사람들이 더 많이 고용시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오랫동안 금리를 낮게 유지할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으로 인해 연준은 경기부양책 철회 계획을 가속했다.
그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걱정한다고 말하고 있다"며 "제게 많은 영향을 준 것은 노동 시장에서 물가 상승, 교통비 및 주택 임대료 상승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다. 이들을 인식하는 것이 많은 영향을 줬다"고 했다.
이에 채권 매입 등 경기부양책 조기 종료를 지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