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증권거래소에서의 코스피 순위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세계 증권거래소에서의 코스피 순위

하늘보리 7 235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으로 보면 코스피가 15위 안에 드네요. 대단하네요 ㅎㅎ

 

그러나 물적분할후 IPO 상장, 공매도 개선 가능 여부 등 논란은 내년에도 계속 될 것 같습니다!

7 Comments
Ciacco… 2021.12.22 12:43  
GDP에 비하면 전체시총은 작은편이랍니다 거대한 중국이랑 이머징마켓으로 묶여 있어서 상대적으로 자본유입이 적은 편이죠 뭐 다른 이유들도 있겠지만
<img s… 2021.12.22 12:43  
하.. 진짜 이머징으로 분류되는게 아직도 뼈아프네요ㅠ
얼음과얼음 2021.12.22 12:43  
이머징에 투자하는건.. 도박을 하는것과 같다는.. 외국 투자서에서 본거 같으네요.
<img s… 2021.12.22 12:43  
근데 예전부터 버핏지수도 그렇고 gdp대비 그나마 주식시장 시가총액이 얼마다 얼마다 하는데 이게 의미가 있는 수치인지.... 뭐 90년대?이전까진 버핏도 저걸만들고 실제로도 저게 통했다고쳐도 이제는 의미없는 수치아닌가 싶네요 만약에 저게 통했다면 이미 버핏옹도 미국주식 전부 버리고 중국으로 갔어야...ㅋㅋ 지금 gdp대비 시가총액이 가장 낮은 나라중 하나가 중국이죠... 가장 높은 나라는 미국시장... 미국은 gdp대비 거의 2배가까이 중국은 gdp대비 거의 반토막수준...ㅋㅋ   근데 이걸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연히 그럴수밖에없어뵈는게 gdp란게 결국 국내총생산... 즉 자국기업뿐만아니라 타국기업이라도 자국에 공장짓고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하면 거기서 생산된 최종소비재의 모든 물동량이 포함된수치죠 가령 예를들면 gm이 한국공장에서 생각하는 자동차도 기업으로보면 최종적으로 gm의 이익이겠지만 gdp로 따지면 한국의 gdp로잡힐테고 그외 gdp는 여러요소가 혼합되어있긴하지만 어쨌든 저것만봐도 이미 gdp에서 중국이 어마어마하게 유리할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당장에 아이폰을 예로들면 아이폰의 최종조립 생산을 대다수 중국에서할텐데 그렇다는건 아이폰 최종소비재로써 물량대부분은 중국의 gdp를 올려주는데 일조할것이고 하지만 기업으로써의 그 이익의 대부분의 미국시장에 상장된 애플이라는 기업에서 가져가는거니.. 이뿐만 아니라 전세계 25퍼수준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공장과 그외에도 수많은 소비재 의류 등등 생산공장이  현시대에는 중국에서 빨아들인 경우가많죠 하지만 그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중국시장에 상장된 중국기업들 제품을 만드는 공장들이 아니라 그들 대부분은 글로벌기업들이니   그러니 전셰게 공장이된 중국의 gdp는 지난 10~20년간 엄청난 성장을 햇지만 그 gdp상승분이 온전히 중국기업에게  돌아간게아니라 글로벌기업들의 이윤으로 돌아간거라고봐도 무방할테니 당연히 주식시장에서 평가라는건 어느나라가 얼만큼 성장했냐가 아니라 이윤을 많이 내는 기업에게 흘러가는게 당연하고 그건곧 gdp와 무관하게 전세계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미국기업들에게 더 많이 흘러가는게 어찌보면 당연해보이기도.. 그리고 실제 미국의 빅테크들이 미국gdp에 차지하는 비중이 그들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가 총액에비하면 훨씬 낮죠 ㅋㅋ 위 프로세스만봐도 당연해보이는 사실아닐지   버핏지수 즉 gdp로써 그 나라의 증시를 판단하는건 과거 금융과 제조업이란게 전세계 기반사업이었고 그렇다는건 결국 자국내 기업이 자국에 공장짓고 판매하는 모든 상품의 총합 gdp가 올라갈수록 그나라 경제는 올라가는거고 또 그만큼 내수 경제가 상승하면 또 그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는 기업이 성장하고 선순환구조가 이어지니 그당시에는 버핏지수가 잘 맞았을지 몰라도 다국적으로 영업을하고 특정 재화와 서비스를 본사가있는 곳에서만 최종생산해서 판매하는게아닌 전세계적으로 거점을 확보하고 활동하는 이런 시대에서는 gdp대비 얼마다 얼마다 하는 수치가 과거대비 시사하는게 적어진게아닌가싶네요   사실 한국도 마찬가지죠 따지고보면 한국 gdp가 정체되거나 못오른다고 주식시장이 못갈거냐 한다면 그렇지않다고봅니다 gdp가 오른다고 주가가 무조건 오른다고 생각하지도않고   한국도 제조업이 주력이국가긴하지만 이중에 글로벌화된 기업도 많고 그들도 대부분 국내뿐만아니라 여러 나라에 공장이있을거고 수출이 주력이라면 더더욱 국내 경제상황과 무관하게 gdp와는 무관하게 글로벌리하게 성장하면 그 기업의 주가는 오르겠죠
Ciacco… 2021.12.22 12:43  
요즘같은 글로벌경제에서 GDP 의미가 별로 없어지긴 했죠 경제규모를 얘기할 때 습관적으로 GDP를 언급하는데 딱히 대표할만한 지표가 없어 그런듯 그래서 주식시장의 규모가 어떻다라고 이야기하고 싶을때 한번식 언급되는게 gdp 대비 시총인거 같은데 우리나라 시장이 외국인 수급에 영향을 많이 받으니 자본이 썰물처럼 빠질때면 경제규모에 비해 시장을 인정받지 못한다라는 푸념을 하며 한번씩 얘기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투자를 할때 분산투자를 하듯이 금융선진국 시장에 비해 이머징마켓은 투자비율이 낮을 수 밖에 없겠죠.. 거기에 같이 커다란 중국이 껴있으니 먹을게 더 없는거 같다라는거 그래서 때만되면 선진국으로 분류되야 더 자본이 들어와서 양적으로 커지고 더 좋아진다라고 하는데 말만하지 노력은 하나... 그리고 또 그게 양적인 문제만 문제겠습니까... 사이클산업인 반도체가 시총에서 엄청난 크기를 차지하고 제조업이 주기반인 우리나라가 변동성 크고 경기에 따라 출렁이는 것도 어쩔 수 없는 것이고 시장룰이나 주주정책, 거버넌스 등 시장 자체의 문제 등 고칠게 한두개가 아닌거라...
소철 2021.12.22 12:43  
선물옵션 대단할걸요 요즘은 장벽이 높아서 많이 줄었지만 얘전엔 기본예탁금이 5백이었죠
-익명을요구… 2021.12.22 12:43  
파생시장은 세계 3위권이고, MB 때 개혁 전에는 세계1위 시장규모였다고 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