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올해 한국 물가 2.3% 전망 ‘0.3%p 상향’···성장률 4.0% 유지
ADB, 올해 한국 물가 2.3% 전망 ‘0.3%p 상향’···성장률 4.0% 유지
안광호 기자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와 내년 한국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각 0.3%포인트씩 상향 조정했다.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의 4.0%, 3.1%를 유지했다.
ADB는 14일 발표한 ‘2021 아시아 경제 보충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2.3%, 내년 1.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9월 전망치보다 0.3%포인트 상향한 것이다. ADB는 올 4분기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소비 등 일상 경제 회복과 유가 상승 때문에 전망치를 올렸다고 설명했다.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4.0%, 내년 3.1%로, 지난 9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ADB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은 견조한 수출과 설비 투자 등을 고려해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ADB는 4월 연간전망, 7월 보충전망, 9월 수정전망, 12월 보충전망 등 1년에 네 차례 경제 전망을 발표한다.
9개 아시아 역내국 중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을 제외한 46개국의 내년 평균 경제 성장률은 5.3%, 올해 성장률은 7.0%로 9월보다 모두 0.1%포인트씩 내렸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와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급망 충격을 적게 받으면서 확진자 감소로 경제활동도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고 ADB는 설명했다.
아시아 46개국의 내년 평균 물가 상승률은 2.7%로 9월과 동일하게 전망했고, 올해 물가 상승률은 2.1%로 9월(2.2%)보다 0.1%p 하향 조정했다. ADB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올해 글로벌 물가 상승을 이끌었으나, 공급망 차질이 아시아 국가들의 물가상승률 상방 압력으로 전이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ADB는 “오미크론 등 새로운 변이, 일부 지역의 낮은 백신 공급과 백신 효과성 감소 등 코로나19 관련 위험이 여전히 역내 경제성장에 주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코로나19로부터 경제가 회복되면 기상 이변, 기후 변화와 관련한 중기적 위험이 주요 리스크로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