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조선업의 우려되는 리스크
miguel…
일반
0
231
11.22
-조선업은 성장세를 유지
-폐선량 증가, 신조선가 상승(153p)은 호재
-테이퍼링 이후 금리인상은 선주사와 해운사의 발주를 재촉시키는 요인
-IMO환경규제가 2050년으로 예상보다 늦어졌지만 정해진 미래
-효율적인 초대형선박의 추세에서 리쇼어링으로 인한 해양물류의 비효율화는 새로운 선박수요를 창출
등등의 구조적인 장점은 있지만 우려되는 리스크가 존재
-조선업은 수주산업이며 대부분의 수주산업이 그러하듯이 수주계약과 동시에 인도날자가 정해짐
-조선수주잔고가 마냥 늘어나는게 좋을수가 없는게 현재 국내조선사의 인력수급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
-지난 극심했던 수주가뭄으로 대부분의 숙련기술자들이 조선업을 떠난상태
-조선업의 실질임금이 하락하고 상승률도 제한됨
-주52시간 근무제로 급여의 상한선이 정해짐
-최저임금의 상승으로 굳이 조선업에서 일할 이유가 없음
(현재 조선업 숙련공의 시급은 1만~1.1만정도. 주52시간, 내년 최저시급 9160원)
-조선업 특성상 작업환경이 좋지않고, 매년 사망자가 발생하는점도 조선업 기피이유
-펜데믹으로 인한 외국인노동력 수급도 제한된 상황
-적시에 인력이 수급이 되지 않는다면 수주된 선박의 인도일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음
-이런 우려는 조선사로 하여금 더 이상의 수주를 받기 힘들게 하는 요인
-카타르의 대형발주가 시작되고나면 인력의 수급문제는 본격화 될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