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투자자와 전 경제기관장이 보는 향후 경제전망(앤드류 볼슨 핌코CIO,로렌스 서머스)
핌코(PIMCO)
글로벌채권 최고투자책임자 앤드류 볼스-(
21.11.20한경인터뷰
)
-연준의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에 동의, 내년에는 정상화 예상
-그러나 인플레이션상승으로 각국의 중앙은행은 곤란한 상황
-연준은 이미 제시한 가이던스가 있으므로 연준에 대한 '신뢰'를 생각한다면 가이던스는 변하기 힘들것
-향후 인플레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금리인상시기가 앞당겨 질 수 있으나 당사는 금리인상을 2023년으로 예상
(같은 PIMCO의 CIO 대니얼 이바스킨은 내년(22년)후반 금리가 인상될것이라 예상함-관련기사. 연합인포맥스21.11.12 )
-인플레가 지속된다면 금리연동채권과 원자재 투자가 적절
-현재시점으로 주식과 채권은 이미 높게 평가되고 있음. 향후 10년은 큰 기대수익을 전망하기 힘듬
-현재 금리수준으로 볼때 주식시장의 거품은 크지않지만, 기대치가 높은 주식은 위험
-연준이 제시한 금리인상 가이던스가 예상과 다를경우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
-향후 5년간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예상됨(관련 보고서- Age of transformation )
-그에따라 광범위한 자산에 분산투자해야하고, 유동성 저하에따른 프리미엄 보장이 필요
-앞으로 중앙은행은 변동성통제가 점점 어려워질것
-투자에서 승자를 선택하는것보다 패자를 걸러내는게 중요해질것
-중국의 공동부유는 장기적으로 전세계의 저성장을 초래
-여러가지 우려점은 있지만 중국은 매력적인 시장
-아시아신흥국은 매크로한 관점에서 발전가능성이 크다
-세계 신흥국들은 정치,경제적 불확실정이 크지만 적극적투자를 견지해야 수익을 낼 수 있다.
-현재 신흥시장에 특별히 큰 비중을 두고 있지는 않다
-기술과 자동화를 선도하는곳에 투자하라(미국과 아시아 일부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