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매입가 계산방법은 무엇인가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평균매입가 계산방법은 무엇인가요?

philz 4 243

안녕하세요

 

주식관리를 구글스프레드시트로 만들어서 관리하고 있는데요,

평균매입가의 계산이 좀 복잡합니다.

 

수차례 걸쳐서 매수하고, 부분매도할 경우 증권사의 수치와 오차가 좀 나옵니다.

일단 증권사에서 계산하는 방식은 매도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매수분부터

차감해서 평균매입가를 산정하는것 같습니다.

 

즉 매도물량이 매입물량보다 적을경우, 남아있는 잔여주식의 매입평균가는

초기에 매입한 금액들의 평균으로 계산되는거죠…

 

예를 들면 같은주식인데,

1월에 1만원짜리 10주를 사고

2월에 2만원으로 오른후 10주를 사면

평균매입가는 1만5천원이지만

3월에 3만원에 10주를 매각하면 남는 주식에 대한 평균매입가는 1만5천원이 아닌 1만원인거죠

2만원 짜리 주식 10주를 3만원에 매도했으니 평가차익은 10만원이 되는거구요

 

저는 처음에 단순히 그동안 매입한 금액을 합해서 주식수로 평균을 내어

매도시 평균금액으로 차감하는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그게 아닌거 같은데,

재가 계산하는게 맞나요?

 

그럼에도 장기적으로 매수매도했던 종목은 약간의 오차가 나던데,

잘 모르겠네요…

 

정확한 산식이 있을까요?

/Vollago

4 Comments
곰돌이 2021.11.03 10:40  
매도분은 확정손익으로 별도 관리해야하지않나요 평단적용은 쉽지않을텐데요
mindsl… 2021.11.03 10:40  
일부 그런 증권사앱이 있는거 같은데 개인적으로 시트에 정리할때에도 평균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개울물 2021.11.03 10:40  
(매수총액-매도총액)/잔여주식수 아닌가요?
Eighth… 2021.11.03 10:40  
1월, 2월 합해서 총 20주에 대한 평단가 1만5천원, 총 매수액 = 30만원(원금) 3월 3만원에 10주(절반) 매도 했다면... 이 때 매도 전 20주에 대한 총평가액 = 60만원(30만원은 원금) 절반(10주)을 매도 했으니 회수금 = 30만원(원금 15만원), 남은 주식에 대한 총평가액 = 30만원(원금 15만원) 실현수익 = 15만원. 매도 할 때는 평단이 변하지 않죠. 남은 10주에 대한 평단 = 1만5원 유지, 수익금 = 15만원 입니다. 총 투자금 / 주식수 = 평단 입니다. 매도 시에는 원금과 수익이 같은 비율로 회수 되는 거라서 평단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