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News & Comments(10/19)
■ 반도체/전기전자 이재윤(02-3770-5727)
▶️글로벌 반도체 기업 주가
- 상승: AMD +3.8%, Applied Materials +1.3%, TEL +0.9%
- 하락: TSMC -1.7%, ASE -1.7%, Micron -0.6%
▶️News & Data
Commodity DRAM, 1Q22까지 15-20% 하락 가능
- link: https://bit.ly/3mZdVqE
삼성전자/Intel, 11월 베트남 공장 풀가동 회복 예상
- link: https://bit.ly/3lTFbrf
■ 디스플레이/이차전지 김광진(02-3770-5594)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CATL +4.6%, Baoan +3.1%, Sumitomo +2.7%
- 하락: Umicore -3.9%, TCL -1.4%, BOE -0.8%
▶️News & Data
LG엔솔, '세계 4위' 스텔란티스와 배터리 합작법인 세운다
- link: https://bit.ly/3DRHWj2
중국 BOE·CSOT, 삼성D와 갤럭시A73용 OLED 개발
- link: https://bit.ly/3AUvMnz
■ 전기/전자 백길현(02-3770-5635)
▶️글로벌 전자부품 기업 주가
- 상승: Sunny Optics +1.3%, Apple +1.2%, Skyworks +0.5%
- 하락: Walsin -2.1%, Yageo -1.6%, Largan -1.0%
▶️News & Data
콩나물 길이 짧아졌다…애플, 무선이어폰 '에어팟3' 공개
- link: https://bit.ly/3DRP9zt
'수주잔고 1조' 엠씨넥스 전장 넘어 자율차로 영토 확장 채비
- link: https://bit.ly/2Z4OY5b
■ 화학/정유 황규원(02-3770-5607)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Sinopec +2.0%, LUKoil +0.4%, Formosa Plastics +0.4%
- 하락: BASF -1.4%, DuPont -0.3%,
▶️News & Data
GS 국내기업 최초로 ‘블루 암모니아’ 도입
- link: https://bit.ly/2Z6P8Jh
달러 강세·유가 급등으로 인플레 확산…중앙은행 금리인상으로 잡힐까
- link: https://bit.ly/3AOEdRb
The fight between Joe Manchin and Bernie Sanders over the Biden agenda is getting very, very personal
- link: https://cnn.it/3FSRkEV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10월 18일)
- 상승폭 大: 가성소다 +15.64% 클로로포름 +15.27% 염산 +3.73% 하락폭 大: 2-EH △7.53% DME △7.05% DOP △4.70%
▶️코멘트
(주간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 2020년 4분기 1.2$ → 2021년 3분기 3.9$ → 2021년 9월 5.2$ → 10월 3주 7.3$/배럴 (과거 평균 5.8$, 손익분기점 4.0$) → 10월 18일 7.8$/배럴
특징) 휘발유 마진 13$, 등경유 마진 12$까지 회복됨. 본격적인 난방 수요 증가로, 등경유 마진은 15$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임. 이를 경우, 복합정제마진은 8.5$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임. 4분기 정유업체 실적이 3분기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주간 NCC 업체 스프레드 동향)
- 2020년 4분기 480$ → 2021년 3분기 397$ → 2021년 9월 405$ → 10월 3주 448$/톤 (과거 평균 430$/톤, 손익분기점 250$)
특징) 중국 전력문제 등에도 불구하고, 에틸렌 가격 상승이 멈추었음. 아시아 1110$과 미국 770$로 가격차이가 발생되면서, 11월부터 미국산 에틸렌 수입이 늘어날 전망임
■ 철강/금속/자동차 이현수(02-3770-5718)
▶️글로벌 철강/금속 기업 주가
- 상승: JFE Holdings +3.3%, Nippon Steel +2.3%, China Steel +1.4%
- 하락: U.S. Steel -1.2%, ArcelorMittal -0.1%
▶️글로벌 자동차 기업 주가
- 상승: NIO +5.0%, Tesla +3.2%, Toyota +2.3%
- 하락: Volkswagen -3.2%, Daimler AG -2.0%, GM -1.9%
▶️News & Data
10월 들어 중국 철강 생산 ‘회복 모드’?
- link: https://bit.ly/3pghwU8
10월 말까지 미국-EU와 금속 수입관세 협상 타결?
- link: https://bit.ly/3ATr1dY
수입 철근 재고 ‘꺼지지 않는 증가세’
- link: https://bit.ly/3BTESlH
베이징현대 '제1공장' 리오토에 매각 확정…순이구 당국 밝혀
- link: https://bit.ly/2XmNqCN
애플 협력사 폭스콘, 전기차 시제품 최초 공개
- link: https://bit.ly/3DOWnUN
LG와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하는 스텔란티스, 삼성과도 협력할까?
- link: https://bit.ly/3FPw3vE
도요타도 미국에 배터리공장 짓는다..전기차시장 각축전 가열
- link: https://bit.ly/3n8dJp0
베트남 토종 車기업 빈패스트, 연말 본격 美 진출
- link: https://bit.ly/3FYoiUo
■ 건설/건자재 김기룡(02-3770-3521)
▶️글로벌 건설 기업 주가
- 상승: Chiyoda +7.0%, JGC +2.6%
- 하락: Technicas -2.5%, Saipem -1.3%, Fluor -0.1%
▶️News & Data
‘반값 복비’ 시행 코앞인데 오락가락…현장 혼선 우려
- link: https://bit.ly/3AQob9x
대출규제·사전청약 총력전에...부동산 소비심리지수 '주춤'
- link: https://bit.ly/3AWQT8B
LH직원 '내부 정보 이용 투기' 첫 유죄…다른 판결도 영향 전망
- link: https://bit.ly/3n21DOo
'상가 공실 늘어난 이유'…LH 주상복합 상가 낙찰가 폭등
- link: https://bit.ly/3lTaGl7
국토부, 지분쪼개기 등 이상거래 조사에 AI 활용 검토
- link: https://bit.ly/3ARkFvt
행복주택 재청약 제한 폐지…거주자격·기간 제한도 완화
- link: https://bit.ly/3pdHYgY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최남곤(02-3770-5604)
▶️글로벌 통신 기업 주가
- 상승: Plug Power +4.3%, Siegfried +0.1%
- 하락: AT&T -1.4%, Verizon -0.7%
▶️News & Data
티빙-웨이브 합병론엡“결합은 NO, 제휴는 OK”
- link: https://bit.ly/30FndR9
SK그룹, 이번주 ‘CEO 세미나’ 끝나면···연말인사 방향 정한다
- link: https://bit.ly/2XuhtbO
■ 인터넷/게임 이창영(02-3770-5596)
▶️글로벌 인터넷/게임 기업 주가
- 상승: Baidu +4.5%, Facebook +3.3%, Amazon +1.1%
- 하락: EA 0.0%
■ 화장품/음식료 박은정(02-3770-5597)
▶️글로벌 화장품 기업 주가
- 상승: Shanghai Jahwa +0.1%
- 하락: YSG -2.7%, Kering -2.4%, LVMH -2.2%
▶️글로벌 음식료 기업 주가
- 상승: EVK +0.9%
- 하락: Ajinomoto -2.0%, Asahi -1.2%, Coca Cola -1.0%
▶️News & Data
4%대로 주저앉은 중국 경제…4분기가 더 문제(종합)
- link: https://bit.ly/3BVpdCA
中, 화장품 ‘이상반응’ 감독관리 강화 나선다
- link: https://bit.ly/3C0XbFW
글로벌 CBD 화장품시장 규모, 2025년 30억 불 넘길 것
- link: https://bit.ly/3n3a2kp
신세계인터내셔널, '집에서 화장품 공병 수거 신청하세요'
- link: https://bit.ly/3lSV8y0
아모레퍼시픽 방판, '아동건강 이음 캠페인' 전개
- link: https://bit.ly/2XpkWbr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공병 반납하면 포인트 적립"
- link: https://bit.ly/3vnsEzx
거리두기 완화에 주류업계, 연말 특수 기대감 '모락모락'
- link: https://bit.ly/3FVbXjI
풀무원, 아시아 500대 브랜드 '우뚝'…중화권 선전 영향
- link: https://bit.ly/3lSbzuk
홍원식 남양 회장 '매일유업 비방' 유죄 인정…벌금 3천만원
- link: https://bit.ly/3n3cOpX
경욱호 CJ제일제당 부사장 "한식브랜드 '비비고 키친' 美 재진출 모색"
- link: https://bit.ly/3voeQVi
■ 제약/바이오 서미화(02-3770-5595)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 상승: Spectrum +2.0%, Evolus +1.2%, Lonza +0.3%
- 하락: Athenex -5.1%, Biogen -4.1%, Arvinas -3.3%
▶️News & Data
셀트리온 합병서 스킨큐어 빠진다…"반대 매수청구권 행사"
- link: https://bit.ly/3aOaPQq
휴젤 "유럽의약품청 춘천 공장 실사 완료"
- link: https://bit.ly/3ATcGyd
한미약품, 당뇨 신약 심혈관계 안전성 란셋 등재
- link: https://bit.ly/3peE5s1
카이노스메드, 美 FDA에 파킨슨병 치료제 임상 2상 계획 제출
- link: https://bit.ly/3AT7iee
▶️ 코멘트
휴젤 유럽의약품청 춘천 공장 실사 완료 관련 코멘트
- link: https://bit.ly/3ATGSJv
- 유럽의약품청(EMA)의 현장 실사가 12-14일 진행되어, 큰 문제가 없다면 올해 하반기 유럽 허가 가능한 상황
- 미국 FDA 실사는 8월 완료되어 내년 미국 허가를 위한 과정도 진행되고 있음
- 최근 미용관련기업의 주가하락 및 인수 이벤트 종료 등으로 주가가 하락하였으나 기허가된 중국 매출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 및 유럽 허가 준비도 잘 진행 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 소매/유통 이진협(02-3770-5659)
▶️글로벌 유통 기업 주가
- 상승: Macy's +17.5%, Nordstrom +5.5%, Target +3.2%
- 하락: Dufry -2.1%, Aeon -1.8%, Seven&i Hodings -0.3%
▶️News & Data
이마트 성수동 본사 매각 공식화..."1조원 실탄 확보"
- link: https://bit.ly/3n1QLA4
백화점 3사 가을세일 매출 두 자릿수 증갉여성의류 '쑥'
- link: https://bit.ly/3AN9Evb
"퀵커머스도 골목상권 죽인다" 정부, 영향분석 착수
- link: https://bit.ly/3DX4pv9
"총력투쟁, 총파업 동참" "유감이다"…코웨이 노사 갈등(종합)
- link: https://bit.ly/3vl1NE6
W컨셉, 첫 브랜드 캠페인…"신세계와 온·오프 시너지 극대화"
- link: https://bit.ly/2XmPbjg
중고명품 쇼핑몰 필웨이 경영권 매각 추진
- link: https://bit.ly/3voOsKQ
“공항면세점 잡아라”...김포공항 입찰 4社4色 셈법
- link: https://bit.ly/3lRu5TK
■ 은행/증권/보험 정태준(02-3770-558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Goldman Sachs +1.9%, MUFG +0.5%, HSBC +0.3%
- 하락: Credit Suisse -1.2%, Morgan Stanley -0.7%, Berkshire Hath -0.6%
▶️News & Data
- 10월 18일 거래대금 20.1조원 (vs. 2020년 평균 23.0조원, 1Q21 평균 33.3조원, 2Q21 평균 27.1조원, 3Q21 평균 26.3조원)
- 10월 15일 신용공여 잔고 42.1조원 (vs. 2020년 평균 30.4조원, 1Q21 평균 39.3조원, 2Q21 평균 41.7조원, 3Q21 평균 44.1조원)
▶️코멘트
저축은행 부동산 PF 급증…"제2 저축은행 사태 우려"
- link: https://bit.ly/2Xl3Rzm
- 저축은행 부동산PF 잔액이 과거 대비 크게 증가하여 부동산 경기 침체 시 부실화 될 수 있다는 내용
- 과거 2011년 부실화는 수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상과 부동산 공급 증가로 미분양이 급등했기 때문. 현재는 당시보다 현저히 낮은 기준금리와 현저히 부족한 부동산 공급으로 역대 최저 미분양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정반대 상황
- 향후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부동산 공급을 대거 늘린다면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임박하지는 않았다는 판단
유안타 리서치센터 기업분석팀 채널
유안타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채널
유안타 티레이더 인포 채널
www.myasset.com/tradarinfo
유안타 리서치센터 카카오톡 채널